▲채널A <금쪽같은 내 새끼>의 한 장면
채널A
"(금쪽이) 이 아이를 제대로 크게 지도하려면 뭐가 필요할까요. 학부모님들의 신뢰와 지지입니다. 교단에 서 있는 선생님들이 자긍심을 가질 수 있게끔 믿어주고 신뢰를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교단이 무너지기 시작하면 아이들이 학교에서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거, 질서를 지키는 거, 싫은 것도 해내는 거, 학교에서 배울 수 있는 걸 못 배웁니다. 교단이 단단하고 선생님들이 버텨주셔야 아이들이 사회를 배워 나갑니다. 다시 한번 선생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오은영 박사의 음성이 잠시 떨렸다. 지난 14일 방송된 채널A <금쪽같은 내 새끼>의 말미, 오 박사는 이처럼 교권의 위기를 언급하며 일선 교사들이 "안쓰럽다"며 일말의 위로를 보내고 있었다. 마침 이날 출연한 금쪽이는 학급 친구들은 물론 담임교사와 교감에게까지 격한 폭언을 일삼고 폭행과 난동을 부리는 아이였다.
초등학교 2학년 아이의 난동이 지속되자 급기야 담임교사는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오 박사는 "선생님 입장에서는 아이들을 지도할 수 있는 많은 방법과 힘을 잃어버렸다. 두 손 두 발을 다 놓은 입장"이라며 "그런데 이런 상황이 생기면 선생님으로서의 위치에 잘 있어야지만 선생님 역할을 해내시는데 그 위치를 여러 아이들 앞에서 위협당하게 된다"고 안쓰러워했다.
해당 방송이 방영되고 불과 며칠 뒤, 서울 서초구 S초등학교 교사 사망사건이 발생했다. 24살 임용 2년 차 여성 교사의 사망 소식이 알려진 이틀 후부터 S초등학교 교문 앞을 시작으로 전국적인 추모가 전개됐다. 전국의 교사들이 전례 없는 추모제를 열며 젊은 동료의 안타까운 죽음에 눈물을 흘리며 개탄했다. 며칠 사이 교권 추락을 넘어 교권이 붕괴되어 버린 현실에 대한 분석과 개선 요구가 교계를 넘어 일반 국민들에게까지 빗발치는 중이다.
이처럼 S초등학교 교사 사망사건이 발생하기 며칠 전 방송에서 오 박사는 학부모들을 향해 교사들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당부했다. 그와 별개로, 사망사건 이후 오 박사의 훈육법 등에 대한 찬반 여론을 넘어 직접적인 비난이 출몰했다. 10만 팔로워를 자랑하는 오 박사의 소셜 미디어에 교권 추락의 책임을 묻는 비난 댓글이 빗발치고 있다. 예상 그대로였다.
오은영과 금쪽이, 그리고 방송국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의학박사. <요즘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 <오은영의 금쪽상담소>, <오은영 리포트>, <오케이? 오케이!>, <써클하우스>.'
오 박사가 본인 소셜 미디어 계정에 적은 자기소개다. 출연 프로그램이 무려 4개다. 웬만한 유명 예능인 뺨치는 숫자다. 오 박사는 학급 분위기를 흐리고 학급 친구들의 학습권을 침해해 온 일명 '금쪽이'들의 치료와 상담을 미디어를 통해 전파해 왔다. 학부모를 향해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라"거나 "문제 아이는 없다, 양육에 문제가 있을 뿐"이란 오 박사의 주문은 유행이 된 지 오래다.
오 박사가 처음 방송에 출연한 건 무려 2006년부터다. SBS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고정 패널이 시작이었다. '정신과 전문의'이자 '방송인' 오은영의 위상이 달라진 건 그가 종편과 지상파로 보폭을 넓히면서부터다.
이후 오 박사는 <금쪽같은 내 새끼>가 인기를 얻고, 유사 프로그램이 생겨나며, 아동을 넘어 성인이나 부부를 대상으로 한 심리 상담 프로그램에까지 출연했다. 방송국이 환호할 만한 유형이 맞았다. 반면 오 박사가 출연한 성인 대상 상담 프로그램은 자극적인 소재가 지적되기도 했다. 어찌 됐든 한 회 한 회 화면 속 문제 아동을, 성인들의 심리를 꿰뚫고 솔루션을 내려주는 오 박사의 '치료'법은 말 그대로 방송에 최적화된 아이템이라 할 수 있었다.
요식업계의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개통령' 강형욱 보듬컴퍼니 대표와 함께 오 박사를 방송국이 만들어낸 '대한민국 3대 해결사'로 일컫는 이들이 늘어날 만했다. 하지만 요식업계나 애견 훈련과 아동 심리 치료나 상담은 전혀 다른 영역일 것이다. 무엇보다 학부모에 대한 영향력이나 공교육과의 접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19일 서천석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도 페이스북에 S초등학교 교사 사망사건을 안타까워하며 이런 글을 적었다.
"정신과 의사라면 노력해도 바꾸기 어려운 아이가 있고, 상당수는 장기간의 노력이 필요하며, 그런 노력에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안다(...). 그런 진실을 말해야 하는데도 프로그램은 흥행 내지 권위를 위해 의도적인지 아니면 은연중에 그러는지 환상을 유지하려 든다."
더 정확히는 오 박사가 출연하는 방송을 향한 지적이라 할 수 있었다. 서 박사는 "금쪽이 류의 프로그램들이 지닌 문제점은 방송에서 제시하는 그런 솔루션으로는 결코 해결되지 않을 사안에 대해서 해결 가능하다는 환상을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매우 심각해 보이는 아이의 문제도 몇 차례의 상담, 또는 한두 달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듯 꾸민다"고 부연했다.
그러한 환상의 대상은 누구인가. 금쪽이를 자식으로 둔, 혹시 내 아이가 금쪽이일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안고 사는 부모이자 학부모들이 주요한 대상이라는 사실은 두 말할 나위 없을 것이다. 이를 넘어 자신의 유년 시절을 떠올리는 비학부모나 예비학부모 또한 '금쪽이'의 주요 시청자일 것이다. 그렇다면 그 환상의 반대편에 선 일선 교사들의 생각은 어땠을까.
현직 교사들의 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