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1월에 시작해 6월 18일까지 광주 아시아문화전당에서 이어진 '원초적 비디오 본색' 전시회
성하훈
'5만 점의 비디오는 광주에 남을 수 있을까?'
지난 18일 아시아문화전당에서 7개월 동안 이어진 '원초적 비디오 본색' 전시회가 마무리됐다. 2022년 11월 23일 시작된 전시회는 조대영 광주 동구 인문학당 프로그램 디렉터가 소장하고 있던 5만 점의 비디오테이프를 비롯한 자료들이 처음 일반에 공개된 시간이었다. (관련기사:
불법 뛰어넘어 한국 영화 성장 '발판' 된 비디오테이프)
오랜 시간 창고에 잠자고 있던 비디오테이프는 뜻밖의 큰 반향을 일으켰다. 7개월 동안 10만 6천 명이 넘는 관람객이 찾았고, 광주 아시아문화전당이 생긴 이래 최고의 흥행 전시회로 우뚝 설 만큼 성황을 이뤘다.
원래 지난 2월까지 3개월로 예정된 전시였으나 관람 행렬이 이어지자 4개월 더 연장됐고, 마지막날까지 열기는 식지 않았다. 원래 예정보다 더 길게 전시 연장된 것도 특별한 일이었고, 덕분에 전시가 열렸던 아시아문화전당의 존재감도 한층 높아졌다.
이번 전시에서 흥미로웠던 점은 관람객이 모든 세대를 망라했다는 점이다. 한국영화의 한 시대를 상징하는 비디오를 다시 볼 수 있는 기회에 7080 세대가 움직였다. DVD나 블루레이, 온라인 동영상 등으로 인해 사라진 비디오 시대의 향수를 느끼기 위해 발걸음한 것이었다. MZ세대에게는 보기 힘든 옛 문물(?)을 볼 수 있다는 호기심이 작용한 듯했다. 급속한 변화 속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비디오를 통해 지난 시간을 체험했다.
하지만 전시회가 종료되면서 최고 흥행 전시를 만들었던 조대영 디렉터의 마음은 무거워졌다. 30년 이상 간직해 온 자식 같은 비디오테이프가 다시 창고로 들어가야 할지, 아니면 다른 곳으로 보내야 할지 기로에 섰기 때문이다.
긴 시간 창고 안에만 있다가 오랜만에 햇빛을 본 비디오테이프가 계속 생기를 얻기 원하는 것이 조대영 디렉터의 마음이었고, 이왕이면 계속 광주에서 그 가치를 이어가길 바라는 것이 조대영의 염원이었다. 단순히 조대영에 국한된 것이 아닌 광주 영화인들의 공통된 고민이기도 하다.
비디오에 담긴 한국 영화운동 역사
조대영의 비디오가 갖는 의미는 가볍지 않다. 자체가 광주 영화운동의 출발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일제 강점기에 활발했던 영화운동은 해방 이후 독재정권 시대를 지나 깊은 잠에 빠져 있었다. 다시 깨어난 것은 1980년대 들어서였다. 그 직접적인 계기가 5.18 광주민중항쟁이었다. 군부독재의 총칼에 유린당한 민중들의 모습에 영화 역시 부도덕한 권력을 향해 날아가는 저항의 도구가 됐다.
대표적인 것이 비디오였다. 광주항쟁의 진실이 왜곡되고 은폐될 때 비디오는 언론매체가 하지 못한 일을 감당해 냈다. 1980년대 중반 알음알음 보던 비디오는 광주의 실상을 전달했다.
1980년대 중반 광주 영화운동은 민중문화운동에 기반을 두고 5월 항쟁의 상징적 인물 중 하나였던 박관현(전남대 총학생회장) 열사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전개됐으나, 지속성을 갖지 못하고 약화된 이후, 1990년대 들어 시네마테크 운동이 발화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