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N <구미호뎐 1938>의 한 장면.
tvN
tvN 판타지 사극 <구미호뎐 1938>처럼 일제강점기가 배경인 드라마나 영화에 거의 어김없이 등장하는 장면이 있다. 천장의 화려한 조명이 실내를 환히 비추는 고급 클럽이나 술집에서 고위층 일본인이나 상류층 한국인들이 먹고 마시며 환담하는 모습이 그것이다.
그런 장면에서는 일본어 노래를 간드러지게 부르는 여성 가수가 곧잘 등장한다. 이런 가수와 느낌이 좀 다르기는 하지만, <구미호뎐 1938>에도 클럽에서 노래하는 가수가 나온다. 이 드라마 등장인물인 장여희(우현진 분)는 낮에는 양품점에서 일하고 밤에는 클럽 파라다이스에서 노래한다.
일제강점기 사극에 자주 나오는 상류층 문화는 당대를 풍요롭게 보이게도 만들고 낯설게 보이게도 만든다. 일본인과 소수 한국인들이 누린 그런 풍요는 한국인 일반 대중의 삶과 크게 대비됐다. 어느 시대나 빈부격차는 있었지만, 이 시기의 격차는 더욱 컸다. 일본인과 상류층 한국인이 누리는 화려함만큼, 일반 한국인 대중의 삶은 비참했다.
바다를 건너 일본으로 가야 했던 이유
지난 21일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에서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를 함께 참배했다. 7만 혹은 10만 명의 한국인들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서 원폭 피해를 입은 것은 당연한 말이 되겠지만 그 시기에 많은 한국인들이 일본에 있었기 때문이다.
식민지 한국인들이 일본으로 대거 넘어가게 된 것은 강제징용이나 강제징병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생활 문제 때문이기도 했다. 식민지 경제정책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도저히 살 수 없게 된 사람들이 바다를 건너간 결과였다.
그로 인해 <구미호뎐 1938>의 배경인 1930년대 후반에도 재일 한국인들의 규모가 상당했다. 2010년 <제2기 한일공동역사연구보고서> 제5권에 수록된 하종문 한신대 교수의 논문 '일본 본토 거주 조선인의 생활과 동원'에 따르면, 3·1운동 이듬해인 1920년에 3만 명을 넘은 재일 한국인 숫자는 1930년에 약 30만이 됐고 1936년 말에는 약 70만이 됐다. 이 숫자는 1945년이 되면 약 237만으로 불어난다.
한국인들이 일본으로 넘어가면 먹는 것부터 달라졌다. 가난한 한국인들도 마찬가지였다. 일본에 가서 특별히 큰돈을 벌지 않더라도, 일단 일본에만 들어가면 상황이 판이해졌다. 그만큼 한국에는 먹을 게 부족했던 것이다.
2019년에 <한국사학보> 제75호에 실린 이송순 고려대 연구교수의 논문 '일제강점기 조선인 식생활의 지역성과 식민지성'은 한반도에 거주하는 한국인의 식생활과 관련해 "주식은 전체적으로 쌀만을 섭취하는 경우는 13%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보리 및 다양한 잡곡을 혼용했다"라고 설명한다. 또 "조선인 중 약 30%는 1년 내내 육류·생선·계란 등의 어떠한 동물성 단백질도 먹지 못하는 처지였다"라고 말한다.
한국인뿐 아니라 일본인들까지 먹일 만한 쌀이 한국 내에서 생산됐다. 그런데도 한국인 87%는 쌀을 제대로 먹지 못해 잡곡을 혼용해야 했다. 건강을 위해 일부러 혼식을 한 게 아니라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본으로만 건너가면 사정이 달라졌다. 일본에 가서 육체노동이나 날품팔이를 하는 경우에도 그랬다. 위 논문은 "재일 조선인은 주식으로 백미를 섭취하고 있었다"라며 "이들은 일본 내에서 거의 최하층이었지만, 쌀을 구입해서 쌀밥을 지어먹었다"라고 설명한다.
한국에서 생산된 쌀이 한국에서 소비되지 못하고 일본에서 주로 소비됐기에 위와 같은 현상이 생겨났다. 한국 농민들이 제값을 받지 못하고 쌀을 수탈당했기에 발생한 현상이다.
빈곤의 나락으로 몰아넣은 토지조사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