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아바타: 물의 길'(아바타2)이 1천만 관객을 돌파한 24일 서울 시내 한 영화관에 상영표가 전광판에 표시되고 있다.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달 14일 개봉한 '아바타: 물의 길'이 이날 누적 관객수 1천만 명을 넘어서며 코로나 사태 후로 관객 1천만 명을 모은 첫 외화가 됐다.
연합뉴스
영화 산업을 둘러싼 우려가 끊이지 않는다. 특히 한국 영화가 위험하다는 말이 많다. 실제로 한국 영화는 <대외비> 이후 한 달이 지나도록 일일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한 적이 없다. 시간을 조금 더 거슬러 가면 작년 여름 <외계+인 1부>와 <비상선언>이 흥행에 실패했다. 최근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더 퍼스트 슬램덩크>와 <스즈메의 문단속>이 예상을 벗어난 흥행을 기록한 충격도 커 보인다.
이유야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많이 거론되는 원인은 영화 가격이다. 갑작스레 오른 영화관 가격 때문에 관객이 줄었다는 지적은 작년부터 이어지고 있다. 장항준 감독도, 최동훈 감독도 제발 영화 가격을 내리자고 공개적으로 말할 정도다. 하지만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티켓 값을 두고 영화관 측과 나머지 영화계 측 의견이 대립하고 있는 까닭이다.
한 편에 1만 5천 원, 부담스러운 가격이지만
일반 관객 입장에서 볼 때, 지금 영화 가격은 분명 부담스럽다. 영화 한 편에 1만 5000원, 팝콘을 먹는다면 2만 원 넘는 비용을 써야 하니 인지상정이다. 그래서일까? 언젠가부터 영화 예매를 할 때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세 가지를 먼저 확인한다. 첫째, 조조 영화가 있는지. 둘째, 쿠폰함에 할인 쿠폰이 있는지. 마지막으로 다른 이벤트는 없는지. 셋 중 하나라도 걸리지 않으면 영화관 가기를 망설인다.
그런데 이상하다. 고민은 언제나 같은 곳에서 끝난다. 넷플릭스나 디즈니+ 시작 화면이 눈앞에서 어른어른할 때도 많지만, 정신을 차려 보면 '나'는 결국 영화관에 와 있다. 주변에서도 왜 그렇게 영화관을 자주 가냐고 묻는 일이 많다. 물론 겉으로는 여러 이유를 댄다. 스크린이 넓어야 감독의 의도대로 감상할 수 있다, 아이맥스나 돌비 관의 음향을 집에서는 결코 따라갈 수 없다, 할인 쿠폰 받으면 생각보다 안 비싸다.
하지만 속으로는 진짜 이유를 안다. 극장에서 보는 영화는 결코 대체할 수 없는 독특한 공동체 경험이기 때문이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와 <어벤져스: 엔드게임>을 봤을 때처럼. 물론 지금도 침대에 누워서 디즈니+를 틀면 두 영화를 바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두 경험은 질적으로 전혀 다르다. OTT는 500명이 넘는 사람이 같은 장면에 숨죽이고, 충격을 먹고, 환호하고, 눈물을 흘리고, 박수치는 벅차오르는 순간을 만들 수 없다.
아무리 축구나 야구 중계를 많이 보더라도, 경기장에 가면 전혀 다른 경험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 경기 시작 전부터 끓어오르는 관중의 열기, 득점과 함께 터져 나오는 환호성, 실점했을 때의 진한 탄식, 열광적인 응원소리까지. 비록 스타디움만큼 열정적이지는 않아도, 영화관에서 충분히 맛볼 수 있는 경험이다.
그렇기에 시네마(cinema)는 일차원적이지 않고, 또 단선적이지 않다. <인천상륙작전>을 볼 때처럼. 이 작품은 자칫 목적과 메시지가 뻔히 보이는 철 지난 반공 영화에 불과할 뻔했다. 하지만 극장에서 본 <인천상륙작전>은 달랐다. 앞에 앉은 할아버지들의 반응 때문이다. 내가 지루해할 때 그분들은 눈물을 훔쳤다. 내가 별로라고 고개를 내저을 때 그들은 쉽사리 자리를 뜨지 못했다. 그날 영화관을 가지 않았다면, 평생 태극기 집회에 나서는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이해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다른 이들과 함께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는 시네마이기에 가능했던 경험이다.
영화관에서만 할 수 있는 '경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