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된다. 진실을 찾으려는 사람들의 노력이 계속될 때 역사는 흘러간 과거가 아니라, 살아 숨 쉬는 현재이자 미래가 된다. 4월 6일 방송된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에서는 '백골시신과 시멘트-1948, 사라진 사람들' 편을 통하여 한국 근현대사의 가슴아픈 비극인 '제주 4.3'의 진실을 조명했다.
1991년 크리스마스를 불과 3일 앞둔 제주도, 월랑봉(다랑쉬 오름) 인근. 당시 24세였던 김은희씨와 탐사대 일행은 억새밭을 헤치며 무언가를 찾고 있었다. 탐사대 일원인 김동만씨는 한 동굴을 발견했고 그 안에서는 놀랍게도 백골이 된 시신들이 굴을 가득 메울 정도로 가득차 있었다. 백골들의 정체는 무엇이며 그들은 왜 그곳에 모여 있었던 것일까.
이야기는 1947년의 제주도로 거슬러 올라간다. 3.1절 기념행사를 위하여 3만 명이 넘는 제주도민들이 모이며 성황을 이뤘다. 그런데 한 아이가 기마경찰의 말발굽에 치여서 다치는 사고가 벌어진다. 하지만 해당 경찰은 사고를 내고도 그 자리를 그냥 떠나버렸고 주민들은 경찰이 뺑소니를 치고 달아난 데 분노했다.
비극의 예고편
항의를 하러 군중들이 모여들자 위협을 느낀 경찰은 충격적이게도 민간인들에게 발포를 지시한다. 이 사건으로 8명이 부상을 당하고 6명이 사망했다. 피해자들은 모두 기념행사를 보러온 평범한 도민들이었다. 그리고 이 사건은 불과 1년 뒤에 벌어질 더 큰 비극의 예고편일 뿐이었다.
당시 한반도는 미소군정기로 광복 이후 미국과 소련이 남북한을 나누어 점령하여 통치하고 있었다.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까워 일제강점기에 더 큰 탄압을 받았던 지역이었다. 미군정은 행정 편의를 위하여 친일 경력의 경찰들을 다소 고용했다. 이런 상황에서 경찰의 손에 무고한 민간인들이 살해당하는 사태가 벌어졌으니 제주도민의 분노는 하늘을 찔렀다.
경찰은 사과 대신 성명문을 발표하고 "어쩔 수 없어 발포했다. 파괴의 집단은 철저 소청" "경찰관의 발포는 폭도를 선동하는 민중의 일부분이 있는 한 불가피한 일이었다"(1947년 한성일보 기록)이라고 주장하며 치안을 위한 정당방위로 합리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