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4.16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이후 매년 4월은 추모와 애도의 시간이 되어왔다. 한국사회는 압축성장의 후유증으로 잊을 만하면 위기의 징후처럼 어처구니없는 사회적 재앙에 노출되어 왔다. 안타까운 인명 피해와 사회적 불안이 세상을 발칵 뒤집어 놓다가도 이내 잊힌다. 그렇게 둔감해진 사회 일각에선 4.16이 뭐가 특별하냐며 볼멘소리를 하거나 비아냥거리기도 한다. 워낙에 재앙이 빈번해서 생기는 서글픈 현실이다.
물론 사회적 참사에 우열이란 없다. 모든 죽음은 애도의 대상이며 명백히 공공의 책임인 사회적 재난은 철저하게 평가되고 원인이 해결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세월호 참사는 소설가 김훈이 여러 차례 매체에 기고한 것처럼, 한국사회의 도덕적 파탄과 공동체의 붕괴를 절절하게 상징하는 사건으로서 독보적인 의미를 갖는다.
세월호 참사로부터 만 9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적지 않은 사람들은 이제 4.16을 과거의 역사로 기억(하거나 하고 싶어)한다. 계속 비극에 잠겨서만 살 순 없지 않느냐면서. 원론적으로 틀린 말은 아니다. 계속 주저앉아 있을 수만은 없으니 말이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별다른 반성과 개선책 없이 그저 요행을 기대하는 습성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다. 그래서 충분히 막을 수 있었거나 어떻게든 막아내야만 했던 사회적 참사를 주기적으로 거듭 반복하는 중이다. 어느새 반년여가 되어가는 이태원 참사 역시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면피할 궁리만 가득할 따름이다.
한술 더 떠 누군가는 온갖 입에 담지 못할 혐오로 진실 규명과 근본 대책을 요구하는 이들을 매도하기에 이른다. 소모적인 사회적 갈등 가운데 아직도 4.16은 역사적 평가로 온전히 정리되지 못했다.
그런 가운데 한편의 새로운 4.16 영화가 막 도착했다. 제목 하여 <장기자랑>이다. 통칭 '세월호 엄마'들로 불리곤 하는 단원고등학교 학생의 엄마들이 결성한 극단 '노란리본'의 세 번째 공연 제목이자, 공연 실황과 그 준비과정을 기록한 다큐멘터리 영화다.
세월호 유가족들은 어떻게든 슬픔과 비통함을 견디기 위해 참 많은 일들을 하기 시작했다. 우리 눈에는 농성과 시위의 풍경만 보였을지 몰라도 그들은 스스로를 지탱하기 위해 가족합창단을 결성했고, 사진을 배워 기록 작업에 나섰다. 원예와 바느질, 목공, 바리스타 기술을 집단적으로 배웠다. 배운 솜씨는
가족대책위원회 활동에 스며들듯 반영되었다. 그중에서 이 영화는 연극단 활동에 주목했다. 과연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까?
'세월호 엄마'들로 구성된 극단의 탄생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