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늘은 2025년도 대입 수학능력시험일이다. 매년 이맘때가 되면 수능 한파가 닥치고, 모진 한기가 다가오는 중에도 부모들은 영험한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 지성으로 기원한다. 시험 당일에는 전 사회적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출근 시간마저 조정된다. 그야말로 입시가 모든 것을 지배하는 나라의 실체가 한 번에 드러나는 셈이다. 물론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가 유행어가 된 1980년대 이후 대학입시의 폐해는 널리 공인되었지만, 단 한 번도 그 지위가 흔들린 적은 없었다. 정작 효율성이 입증된 적도 없는데 말이다.
대학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는 문제제기 역시 오래전부터 수면 위로 올라왔다. 매년 10대 청소년들이 입시 스트레스로 목숨을 끊는다는 뉴스가 끊이지 않지만, 소수의 안타까운 사례 혹은 심지어 인내력이 부족한 '요즘 애들'로 치부되기 일쑤다. 그렇게 다들 견디며 참을 따름이다. 수학능력시험에 실업계나 학교 외 청소년이 무려 3할이나 응시하지 않아도 세상은 그들의 존재를 인지하지 않는다. 그렇게 어렵게 입시를 치르면 이제 취업 전쟁이다. 평생 앞만 보며 전투를 치르듯 달려야 한다. 궤도를 이탈하면 큰일이 날 것 같다는 강박만 팽배한 사회에서 남들 다 하는 순서를 벗어나는 건 인생을 건 모험이 되고 만다. 하지만 그게 왜 그렇게 문제란 말인가. <괜찮아 앨리스>는 그런 바늘귀 같은 틈새를 포착하는 작업이다.
콜럼버스의 달걀처럼 1년의 유예 기회가 발견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