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열 개의 우물>이 2024년 10월 30일 개봉했다. 1970-80년대 여성노동과 인천 빈민지역의 탁아운동을 함께 했던 여성들을 조명했다. 그녀들은 어떻게 서로에게 기대어 그 시대를 살았는지, 그 이후의 삶의 이야기를 따듯하게 담고 있다. 가난한 여성들과 아이들을 따듯하게 함께 품어냈던 그녀들의 이야기를 알리기 위해서 열 편의 기획기사를 준비했다.[편집자말] |
김미례 감독의 다섯 번째 장편 다큐멘터리 <열 개의 우물> 개봉을 앞두고 영화를 보기 전에 혹은 본 후에 읽을 거리, 생각 거리가 될 수 있는 연재 기사를 기획했다. 열 편의 기사에는 영화의 잔향이 깃들어 있기도 하고, 영화에서는 미처 다 하지 못했던 감독과 출연진의 말이 담겨있기도 하다.
원고를 받고 정리하는 편집 과정에서, 특히 출연진이 꾹꾹 눌러 쓴 손 글씨로 보내준 원고를 타이핑하면서 글자 하나하나가 내 마음으로 달라붙는 느낌이 들었다. 강렬하지만 따뜻했고 치열하지만 다감했던 출연진의 글에 흔들리고 휘청이며 위로 받은 소중한 시간이었다.
<열 개의 우물>은 1978년 동일방직에서 해고된 여성노동자, 인천 십정동, 만석동, 화수동에서 빈민운동 혹은 탁아운동을 하던 여성활동가들 , 피난민과 철거민으로 인천과 부평 일대로 흘러 들어온 가난한 여성들이 어떻게 서로에게 기대어 그 시대를 살아냈는지, 그리고 그 '이후'의 시간들을 어떻게 지, 한 사람에서 또 한 사람으로 서로를 매개하고 보듬는 이들을 찾아 나선 다큐멘터리 영화다.
전국의 빈민지역과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100여 곳의 탁아소가 만들어졌던 1970~80년대는 '돌봄'이라는 말이 지금처럼 넘쳐나는 시대가 아니었다. 하지만 영화 속 출연진이 살아낸 그 시공간에는 분명 '돌봄 투쟁'이라 불려 마땅한 운동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른바 '탁아운동' 혹은 '공부방 운동'이 활기를 띠었던 시대였다. 이 영화를 통해 국가의 복지 체제로 편입되기 이전에 시도된 여러 관계들과 육아·빈곤·지역·여성 노동의 복합적인 문제군(群)을 사회화하는 변혁운동의 맹아를 만날 수 있었다.
이 영화에는 동일방직 해고와 복직투쟁을 겪은 여성노동자가 살아온 '이후의 삶'에 대한 단편도 담담하게 담겨 있다. '인천도시산업선교회'라는 공간을 채워나갔던 여러 존재들의 만남과 어긋남, 그리고 드러나지 않았던 분투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무엇보다 1970~80년대 '민주화운동'이라는 커다란 이름에 가려져 그 운동을 지탱하면서도 비가시화되었거나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던 여성들의 이야기가 길어 올려진 것에 대한 기쁨이 있다. 동시에 '겪지 않은' 세대로서 앞선 세대 여성들의 분투를 지금-여기를 살아내는 이들이 어떻게 자신의 언어로, 자신의 삶으로 가져올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하나의 과제로 다가온다.
기억에 남는 후원 상영회 에피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