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지진, 미 원전 추가건설 발목 잡나

미 정치권 "과잉반응 말라"-"새 원전 건립 중단" 논란

등록 2011.03.14 16:24수정 2011.03.14 16:24
0
원고료로 응원

미 원자력규제위원회(NRC)는 파괴된 일본 원전으로부터 미국에 미치는 어떠한 위험 수준의 방사능 검출도 없었다고 발표했다. ⓒ NRC


백악관 "미국은 방사능 경험하지 못할 것"

3월 11일, 일본 동북부에서 대지진이 발생한 시각부터 지금까지 미국의 이목은 일본에 집중돼있다. 지진과 더불어 발생한 쓰나미가 괌을 비롯한 미국령 영토는 물론 하와이와 미국 서부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염려가 컸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는 일본이 원자력발전소에서 유출되는 방사능 피해에 더 많은 우려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혹시 이 방사능이 미국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을지 우려하고 있다.

13일 저녁(현지시각), 백악관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미 원자력규제위원회(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이하 NRC)의 실험 결과를 백악관 대변인을 통해 소개하기도 했다.

같은 날 발표된 <NRC 소식>에 따르면, NRC는 미 정부내 다른 관련 기구들과의 조사결과, "수천 마일 떨어진 양국 간의 거리를 고려할 때 하와이, 알래스카, 미국령 영토 및 미국 서부지역은 어떠한 위험한 수준의 방사능도 경험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것은 방사능 물질의 유출과 그 경로 그리고 기상조건 및 다른 여러 상황을 고려한 이후에 나온 결론이라고 NRC는 덧붙였다.

NRC는 현재 일본에 두 명의 비등수형 원자로(boiling water reactor) 전문가를 파견한 상태이며, 미 정부내 여러 기구들과 함께 재해 지역 내 원자력 발전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일본 정부와 협력 중이다.

지금까지 후쿠시마 제1원전 내 2개의 원자로에서 폭발이 일어났고, 아직까지 일본 관리들은 이로 인해 외부로 유출된 방사능 물질의 양이 일본 안전 기준의 두 배 정도로 심각한 상태는 아니라고 말한다.


발전소에서 60마일 떨어진 곳에서 방사능 검출

그러나 13일 <뉴욕타임즈>는 미 국방부 관리의 말을 빌어, 발전소로부터 60마일(약 96.6km) 떨어진 곳에서 비행하던 헬리콥터가 적은 양의 방사능 미립자를 검출했다고 전했다. 이 물질은 현재 분석 중이나 환경 오염이 퍼지고 있는 것을 암시한다고 이 신문은 밝혔다.

또한 문제가 되고 있는 원자로의 운영자들이 원자로 내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막기위해 방사능이 포함된 수증기를 계속 밖으로 빼내고 있고, 원자로 냉각을 위해 사용했던 바닷물도 다시 밖으로 내보내고 있는 만큼 방사능으로 인한 환경 오염의 범위가 훨씬 더 넓어질 수 있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일본에 도착한 미국의 핵 에너지 전문가는 지난 3일간 일어났던 문제의 원인을 살피면서, "최선의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이것(방사능 유출문제)은 조만간 끝나지 않을 것"이며, 수주 혹은 여러 달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뉴욕타임즈>는 전했다. 이것은 쓰나미로 인한 발전소의 파손 상태가 얼마나 심각한지, 그리고 그로 인한 방사능 물질의 유출량이 얼마인지를 아직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 11일 백악관에서 참모들과 일본 지진 사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백악관


정치권, "과잉반응 말라" - "새 원전 건립 중단해야" 

한편 미국에서는 이번 일본의 원전 사고로 인해 새로운 원자력 발전소를 건립하는 움직임에 제동이 걸렸다.

지난 2011년 연두교서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원자력 에너지 기술을 더욱 확대할 것과 미국 내 최대 20개의 새로운 원자력 발전소 건립할 수 있도록 미 에너지부에 360억 달러를 지원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또한 2010년에는 조지아 주에 두 동의 새로운 원자로를 건설할 수 있도록 서던 컴퍼니(Southern Company)에 80억 달러의 차관을 승인해주기도 했다. 

이것은 미 행정부는 물론 민주-공화 양당의 많은 정치인들이 원자력 에너지를 지속가능한 에너지 공급원 및 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까지 선호하기 때문이다.

지난 13일 공화당 상원대표인 미치 멕코널 의원은 폭스 뉴스에서, "일본에서 일어난 일을 바탕으로해서 미국의 국내 정책을 만들어서는 안된다"며 일본에서 발생한 핵위기에 미국이 과잉반응 하지 말 것을 강력히 주문하기도 했다.

같은 날 클라크 스티븐스 백악관 대변인은, "일본에서 벌어진 일에 대한 정보가 계속 들어오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그 정보를 참고로 핵 에너지가 이곳 미국에서 안전하고도 책임있게 생산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미국의 차세대 에너지 정책에서 원자력 에너지를 배제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그러나 매사추세츠의 에드 마키 민주당 하원의원은 토요일 지난 12일 "지진과 쓰나미에 대비한 원자로 디자인, 긴급 대응 및 대피 계획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끝날 때까지 새로운 원자력 발전소 건립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3일 CBS방송에 출현한 조 리버만 무소속 상원의원도 "나는 이번 일이 여기 미국에 핵 발전소를 짓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일본에서 어떤 일이 벌어진 것인지를 우리가 이해할 때까지 잠시 휴식을 갖으라는 의미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양당 정책 센터의 대표이자 2008년 오바마 선거 캠프에서 기후 변화 분야를 책임졌었던 제이슨 그루멧은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의존없이 기존의 기술에 기대어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불가능하다"며, "일본에서 일어난 일로 미국에서 일어날 일을 연관짓는 결론을 내는 일은 아직 이르다. 그러나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 문제는 확실히 앞으로 수개월 간 가장 우선적으로 다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에서는 지난 1979년 펜실바니아 주에 위치한 쓰리마일 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새로운 원자력 발전소 건립이 거의 중단돼왔다.
#일본 대지진 #미국 핵발전소 건립 #쓰리 마일 아일랜드 #원자력 발전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7년 만에 만났는데 "애를 봐주겠다"는 친구
  2. 2 아름답게 끝나지 못한 '우묵배미'에서 나눈 불륜
  3. 3 스타벅스에 텀블러 세척기? 이게 급한 게 아닙니다
  4. 4 '검사 탄핵' 막은 헌법재판소 결정, 분노 넘어 환멸
  5. 5 윤 대통령 최저 지지율... 조중동도 돌아서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