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의 포용성 지표 개발 및 정책방안 연구' 중간 발표.

‘한국영화의 포용성 지표 개발 및 정책방안 연구' 중간 발표. ⓒ 든든

 
한국영화 속 주인공 성별이 여성보다 남성이 크게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오후 서울시 마포구 인디스페이스에서 한국영화성평등센터 든든이 발표한 '한국영화의 포용성 지표 개발 및 정책방안 연구' 중간발표에 따르면 한국 영화 속 남성 주인공은 61.6%인 것에 반해 여성은 38.4%였다.
 
2017년부터 5년간 극장개봉영화를 기준으로 일반영화와 독립예술영화 흥행 상위 40%,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오리지널 작품 446편을 분석한 결과다.
 
남성과 여성의 인구통계는 각각 49.8%와 50.2%로 근소하게 여성이 많았으나 인구통계 대비 주인공의 성별은 여성이 11.7% 더 낮게, 남성은 11.7% 더 높게 재현됐다.
 
연령별로는 40대가 25.2%로 주인공으로 가장 많이 재현됐다. 2022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40대 비율 15.8%보다 9.4%포인트 높다. 60대 이상은 실제 인구의 25.9%를 차지하고 있지만 영화에서는 11.2% 밖에 등장하지 않아 가장 적게 재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인공의 성별은 일반영화와 독립예술영화를 비교했을 때 차이가 있었다. 일반영화에서는 남성 주인공이 80.5%인 반면 여성은 19.5%에 불과했다. 반면 독립예술영화에서는 남성이 52.9%, 여성이 44.7%로 6대 4의 비율을 나타냈다.
 
 ‘한국영화의 포용성 지표 개발 및 정책방안 연구' 중간 발표.

‘한국영화의 포용성 지표 개발 및 정책방안 연구' 중간 발표. ⓒ 든든

 
한국영화에서 장애인 주인공 비율은 9%로 실제 인구통계인 5%보다 높았다. 보건복지부 장애인 현황에는 치매를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이번 연구에는 치매를 포함했다. 발표를 맡은 김선아 책임연구원은 "일반영화는 다른 소수자의 재현보다 가장 관심 있는 부분이 장애인이었다"고 말했다.
 
일반영화와 독립예술영화만 놓고 봤을 때 대사를 가진 등장인물이 장애인인 비율은 상업영화가 18%, 독립예술영화가 10.4%였다. 주인공이 장애인인 경우는 상업영화가 7%, 독립예술영화가 8%였다. 장애 주제와 관련해 장애 문제에 대한 언급이 여러 번 나오는 비율은 상업영화가 23.5%였고 독립예술영화가 31.5%였다. 장애인 주인공이 장애를 주제로 다루는 경우는 상업영화에서는 5.9%였고 독립예술영화가 24.1%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주민은 총인구의 3%인데 영화 주인공 재현 비율은 4%로 재현 비율이 근소하게 높았다. 반면 성소수자의 재현은 3%였는데 통상 성소수자가 전체 인구의 7%(미국·독일 기준)인 것을 감안하면 크게 적었다.
 
 20일 서울시 마포구 인디스페이스에서 열린 ‘한국영화의 포용성 지표 개발 및 정책방안 연구' 중간 발표 현장.

20일 서울시 마포구 인디스페이스에서 열린 ‘한국영화의 포용성 지표 개발 및 정책방안 연구' 중간 발표 현장. ⓒ 김진수

 
주인공은 서울과 수도권에 제일 많았다. 지역에 따른 주인공 재현 비율을 보면 '서울 및 수도권'이 인구통계 대비 10.1%P 더 높게 재현됐다. 서울 및 수도권을 제외한 '그 외 지역'은 인구 평균은 6.2%였고 영화 속 주인공의 비율이 6.3%로 차이가 거의 없었다. 다만 '부산 및 경상도 지역'은 인구 비율은 24.7%인데 반면 영화 속 주인공의 비율은 14.2%로 인구통계 대비 10.5%P나 더 낮게 재현된 것으로 조사됐다.
 
든든은 이날 국내 영화산업에 적용될 수 있는 7대 포용성 지표로 ▲성별 ▲인종 ▲연령 ▲지역 ▲계급 ▲장애 ▲성(sexuality)을 발표했다. 든든은 "개인과 기업, 기관의 EDI(평등·다양성·포용력) 역량 개발에 초점을 맞춰 개발되었으며 7대 지표 항목을 바탕으로 61개 세부 항목을 구성해 영화를 대상으로 정교한 다양성·포용성 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고 했다.
한국영화 성별 포용성 든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