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원정대의 하루살이 - 2부 임시정부를 구하라>

<독립원정대의 하루살이 - 2부 임시정부를 구하라> ⓒ MBC


임시정부 청사가 있었던 상해로 가서 당시 독립운동에 몸담았던 사람들의 생활상을 직접 체험해 보는 MBC <독립원정대의 하루살이-1부 '독립자금을 벌어라'>에서는 출연자 김수로, 박찬호, 강한나, 김동완, 공찬 등이 직접 윤봉길, 백산상회 등 당시 독립운동가들이 뛰어든 생활전선을 체험했다. 일주일 뒤인 14일 방영된 2부 타이틀은 '임시정부를 구하라'다. 프로그램은 자신을 던져 임시정부와 독립운동을 구한 윤봉길과 이봉창, 두 의사의 행적을 따라간다.

1919년 국제 금융도시 상해에 첫 임시정부 청사가 세워졌다. 3.1 운동의 열기가 남아있던 시절, 전남 함평의 지주 아들 김철이 자신의 가산을 정리해왔고 해외에 세워진 첫 임시정부이기에 각지에서 독립운동 자금이 답지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10여년이 흐른 1930년대 임시정부는 집세조차 내기 어려울 정도로 곤궁한 처지에 놓이게 된다.

당시는 일본이 한반도 내 식민지 체제를 갖춰가는 것과 함께 해외로 팽창 정책을 벌이며 만주로, 그리고 중국으로 그 야욕을 한껏 펼치던 시기였다. 일본의 토지 조사 사업으로 땅을 잃은 대다수 농민들은 만주 등지로 이주했다. 지린성 창춘의 만보산(완바오 산)에 일본이 개간을 계약한 땅을 빌리기로 한 우리 농민들은 수로를 만드는 과정에서 그곳의 중국인들과 충돌을 빚는다.
 
 <독립원정대의 하루살이 - 2부 임시정부를 구하라>

<독립원정대의 하루살이 - 2부 임시정부를 구하라> ⓒ MBC


실제 사건은 크지 않았지만 일본의 사주를 받은 <경성일보>가 이 사건을 부풀려 보도하는 하는 바람에 전국에 반중국인 정서가 강해졌고 중국인에 대한 무차별적인 폭력까지 이어지면서 다수의 중국인 사상자가 나왔다. 결국 <동아일보>가 사건을 바로잡으면서 국내의 사건은 일단락됐지만 이는 다시 중국내 반한 감정으로 이어졌다.

이렇게 '만보산 사건'으로부터 비롯된 중국내 반한 감정, 중국 전역에서 이루어진 조선인 박해는 상해 임정에 직접적인 타격이 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 등으로 중국내 일본의 영향력이 커져가면서 청사의 운영 자체가 위기를 맞게 된다.

이렇게 임시정부의 운영, 나아가 독립 운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김구 선생을 비롯한 상해 임시정부는 강력한 타개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것은 일본에 대한 강력한 한 방의 타격이었다. 이를 위해 1931년 10월 안중근 의사의 동생 안공근 선생을 비롯한 80여 명의 비밀 요원들이 모여 '한인애국단'을 결성한다.

'한인애국단'은 첫 의거로 난징을 방문하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우치다 총재 암살을 준비하였지만, 방문이 취소되는 바람에 실행하지 못한다. 그에 따라 첫 의거는 이봉창 의사에게 맡겨졌다. 이봉창 의사는 1932년 1월 8일 신년 연병식을 위해 가던 일왕의 마차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비록 일왕의 암살에는 실패하였지만 이 사건은 중국 내 팽배해있던 반한 감정을 잠재웠고,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의 활로를 열어주었다.

이봉창 의사의 의거로 하와이 등 전 세계에서 그동안 중단되었던 독립자금이 답지하기 시작했고, 중국의 호의적인 협조로 무기를 구하기가 한결 용의해졌다. 이런 이봉창 의사의 의거로 인한 분위기 반전이 있었기에 그로부터 1년 뒤 윤봉길 의사의 의거가 가능할 수 있었다.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의 행적을 따라
 
 <독립원정대의 하루살이 - 2부 임시정부를 구하라>

<독립원정대의 하루살이 - 2부 임시정부를 구하라> ⓒ MBC


<독립원정대의 하루살이- 2부 임시정부를 구하라> 출연진은 "길을 잃을 것 같으면 ㄹ 자를 길에 뿌려 찾아오도록 했다"는 이화림 선생의 회고록에 따라 '한인애국단' 숙소를 찾아본다. 또 '인민영웅기념탑'이 세워진 황포탄 부두를 찾아가 '나는 적성(참된 정성)으로써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야 한인 애국단의 일원이 돼야 적국의 수괴를 도륙하기로 맹세하였나이다'라는 명언을 남기고 일본으로 떠난 이봉창 의사의 행적을 짚어본다. 이곳은 이봉창 의사가 독립에 대한 결심을 가지고 떠난 장소이자, 윤봉길 의사가 항저우 공원 의거 후 압송되면서 지났던 곳이기도 하다.

이어 출연자들은 의거 전 윤봉길 의사의 행적을 따른다. 1930년 청도를 거쳐 상해에 도착한 윤봉길 의사가 김구 선생을 처음 만난 '사대 다관', 4월 27일 태극기 앞에서 사진을 찍었던 안공근 선생의 집터, 이력서와 유서를 남겼던 '중국기독청년회관(YMCA)', 의거 당일 아침 '농부가 논밭에 나가듯 태연자약했던' 윤봉길 의사가 김구 선생과 아침 식사를 하고 가지고 있던 돈을 주었던 '김해산의 집' 등을 둘러본다. 또한 윤봉길 의사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상해 '매헌 기념관'에 들러 죽음에 이르러서도 강직했던 그가 '강보에 싸인 두 병정, 너희가 피가 있고 뼈가 있거든 조선을 위한 용감한 투사가 되라'며 두 아들에게 남긴 유언을 다시금 아로새겨 본다.

막연한 역사적 사건으로만 남겨졌던 이봉창 의사와 윤봉길 의사의 의거. 하지만 출연진들이 직접 그곳을 찾아보고 윤봉길 의사가 담담하게 걸어갔다던 항저우 공원으로 향하는 길을 똑같이 걸어보는 여정은 그 자체로 한 세기의 간극을 넘어 출연진을 울컥하게 만든다.

거기에 윤봉길 의사가 자신이 가졌던 6원짜리 시계가 더는 필요 없다며 2원짜리 김구 선생의 시계와 바꿨다는 에피소드, 그리고 지금까지 우리는 도시락 폭탄을 던진 것으로 알았지만 사실은 그날 던져진 건 물병 폭탄이었으며 도시락 폭탄은 윤봉길 의사의 자폭용이었다는 예외적 진실을 비롯해 바짓가랑이 사이에 폭탄을 숨기고 일본으로 떠났던 이봉창 의사의 행적 등 우리가 미처 몰랐거나 잘못 알았던 사실을 퀴즈 형식으로 알려준다.

이외에도 <독립원정대의 하루살이-2부 임시정부를 구하라>는 육삼정을 찾아 같은 날 윤봉길 의사와 함께 의거를 준비했던 또 다른 열사의 행적도 소개했다. 일찍이 3.1운동부터 독립운동에 매진했던 백정기 의사는 비슷한 시기 김구 선생과 같은 취지로 상해 흑색 테러단을 조직하고 홍커우 공원에 들어가려 했지만 입장권을 구하지 못해 실패했다. 하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다시 1933년 일본 공사 암살을 준비하던 중 체포되어 일본으로 압송되었고, 결국 옥사하신 위인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독립원정대의 하루살이- 2부 임시정부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