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어들기는커녕 나날이 도를 벗어나고 있는 학교 폭력. 과연 그 '폭력'의 악순환을 멈출 수는 없을까?

학교 폭력의 시작은 아주 사소한 사건으로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들어주기 힘든 부탁을 받은 학생이 미안하다고 거절한 이후, 그 학생은 비난을 받았고, 고립되었다. 누구도 그 학생의 편이 되어주지 않았다. '따돌림'은 폭력으로 이어진다.

'너 미쳤냐?', '요즘 안 맞았지?' 등의 상시화된 폭력은 피해자를 지옥으로 몰아간다. 하지만 가해자들은 뻔뻔하게 장난이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또 어른들은 말한다. '싸우면서 크는 거지.'

여전히 우리 사회는 학교 폭력을 친구사이의 장난으로 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 '장난'이 피해자를 피폐한 삶이나, 죽음으로 이끄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EBS는 지난 8월 29일부터 3부에 걸쳐 <학교 폭력 공감프로젝트>를 통해 학교폭력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했다.  
 
 EBS 다큐프라임 - 학교 폭력 공감 프로젝트 1부

EBS 다큐프라임 - 학교 폭력 공감 프로젝트 1부 ⓒ EBS

 

이 프로젝트는 그동안 학교 일선 및 정부가 앞장서서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각종 조치를 취했음에도 왜 효과가 없었는가라는 의문에서 시작됐다. 프로젝트는 그 의문의 답을 당사자인 학생들로부터 구한다. 초등학생을 비롯하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교폭력의 주범을 기소하고자 한다. 선생님들이 '배심원'으로 자리하고, 학생들이 기소한 '주범'들이 드러난다. 과연 우리 시대 학생들은 학교 폭력의 주범을 누구라고 생각했을까. 

'어른'을 기소합니다

'제설제 먹이고 폭행', '오물 뒤집어 씌우고 폭행'.

학교 폭력과 관련된 언론의 보도 내용들이다. 학생들은 먼저 이런 '언론'을 고소한다. 언론은 진정으로 학교 폭력에 대한 우려와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게 아니라 학교 폭력이 얼마나 잔인하고 폭력적인가에만 초점을 맞춘다. 바로 이런 언론이 '학교 폭력'의 주범이라는 것이다.  

학생들은 말한다. 언론을 비롯하여 어른들이 만든 콘텐츠는 지루하거나, 폭력적이라고. 언론의 자극적 헤드라인은 피해자를 부각시키며 학교 폭력을 선정적으로 소비할 뿐이라. 또한 유튜브를 비롯한 SNS 역시 관심을 끌기 위해 자극적인 내용을 앞다투어 게시함으로써 학생들에게 폭력을 조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언론이나, 유튜브만 문제가 아니다. 학생들은 입을 모아 교육 동영상의 유죄를 '기소'한다고 말한다. 어른들의 일방적인 폭력 예방 캠페인은 학생들 입장에서는 '눈 가리고 아웅'식이라는 것이다. 무엇보다 학생들은 교육부의 캠페인이 '느린 예방 교육'이라 냉소한다.
 
 EBS 다큐프라임 - 학교 폭력 공감 프로젝트 1부

EBS 다큐프라임 - 학교 폭력 공감 프로젝트 1부 ⓒ EBS

 

여전히 캠페인은 학생들을 본드나 하고 삥이나 뜯는 구시대적인 관점으로 바라본다. 하지만 학생들에게는 '사이버 폭력'이 새로운 폭력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 그러기에 일방적으로 틀어주는 학교 폭력 동영상은 시대에 뒤떨어진 '졸린 영상'일 뿐이다.  

학생들은 '선생님'도 기소한다. 폭력 상황이 벌어지면 책임을 면하기 위해 절차에 매달리는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믿을 수 있는 어른의 모습이 아니었다. 그런 면에서 당연히 '학교'도 책임을 피해갈 수 없다. 늘 안일하게 사건을 덮기에만 급급한 것이 아이들 눈에 비친 '학교'의 모습이다. 당연히 그런 학교와 선생님들의 태도에 학생들은 무력감을 느낀다.  

선생님과 학교만으로 달라질 수 있을까? 그러기에 학생들은 '대한민국'을 기소한다. 자본주의, 외모 지상주의, 그리고 성취 중심의 경쟁 사회는 학생들을 경쟁으로 내몬다. 학생들은 서로를 무시하고 왕따와 은따를 양산하게 된다. 지금의 사회 분위기가 개선되지 않는 한 학교 폭력은 근절되지 않을 것이라고 학생들은 입을 모은다. 즉 학교 생활을 만들어 가는 총제적인 권력 구조, 그 시스템이 바로 지금 학교 폭력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EBS 다큐프라임 - 학교폭력 공감 프로젝트 1부

EBS 다큐프라임 - 학교폭력 공감 프로젝트 1부 ⓒ EBS

 

우리 자신을 '기소'합니다

하지만 학교 폭력이 학교·선생님·언론, 나아가 우리 사회만의 문제뿐일까? 학생들은 알고 있었다. 학교 폭력에서 결코 자신들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을. 

한 여고 뮤지컬 동아리에서 '빈방 있어요'라는 게임을 한다. 술래가 된 한 사람이 둥글게 원으로 자신을 둘러싼 친구들에게 돌아가며 '빈방 있어요?라고 물어본다. 둘러선 학생들의 역할은 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술래가 뒤돌아서서 '빈방 있어요?'라고 물어보는 동안, 뒤에 선 학생들은 마치 '방'을 바꾸듯 자리를 바꾼다. 

처음에는 게임이니 자신있게 웃으며 '빈방 있어요?'하고 물어보던 술래는 친구들의 거절이 이어지자, 점차 목소리가 작아지고 떨리더니 급기야 울음을 터트리고 만다. 

이 게임은 바로 이른바 '은따(은근한 따돌림)'을 시뮬레이션 해본 것이다. 술래가 된 친구는 말한다. 게임이지만 세상에서 동떨어진 느낌이었고, 막막함이 앞섰다고. 반면 둘레에 서서 거절한 친구들 역시 죄책감을 느꼈다고 고백한다.  

이처럼 학생들은 마치 '러시안 룰렛'처럼 형성된 분위기에 압도당해 나서지 못하는 자신들의 방관을, 그리고 무관심을 방관의 카르텔이라며 기소한다고 말한다.
 
  EBS 다큐프라임 - 학교 폭력 공감 프로젝트 1부

EBS 다큐프라임 - 학교 폭력 공감 프로젝트 1부 ⓒ EBS

 

산격중학교에서는 형사 재판의 형식으로 괴롭힘당하는 친구를 방관한 학생에 대한 모의 재판을 열었다. 과연 그 결과는 어떻게 나왔을까. 

5:4, 유죄와 무죄의 비율이다. 학생들은 비록 한 표 차이지만, '방관'이 유죄가 된다는 판결을 내렸다. 방관하는 자리에서 한 걸음 나서는 것이 '대단한 용기'라고 배심원이었던 선생님들은 말한다. 그리고 그 방관의 카르텔에 몸을 숨긴 학생들을 바꾸면 폭력이 만연한 현실도 조금씩 변화될 것이라는 희망을 가져본다.  

학교 폭력은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 행복지수 2위·경쟁없는 교육을 지향하는 덴마크에서도, 국가 학력 조사 최상위국인 핀란드에서도 학교 폭력의 관행은 피해갈 수 없다. 학교 폭력에 대한 고민을 공유한 이 나라의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의견에 적극 공감을 표한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서의 연대감, 그리고 사회적 감정 교류의 능력을 고양시켜야 학교 폭력의 악순환을 끊어낼 수 있다고 말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 https://5252-jh.tistory.com/에도 실립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게재를 허용합니다
EBS 다큐프라임 - 학교 폭력 공감 프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