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집 앞 가게를 찾은 당신은 가게 주인이 따로 돈을 받지 않고 비닐봉지에 물건을 넣어줬다는 사실에 기분이 좋아졌을지도 모른다. 공짜로 생긴 비닐봉지라고 말이다. 지난 2013년 한국의 어느 편의점에선 비닐봉지를 놓고 실랑이하던 손님이 아르바이트생을 폭행하기도 했다.

최근 들어 대형마트나 편의점에선 구매한 상품을 담을 수 있는 무료 비닐봉지를 나눠주지 않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의 '비닐 인심'은 후하다. 한국 내 비닐봉지 사용이 일상적이라는 건, 한국의 비닐봉지 사용량을 보면 더 확실해진다. 한국의 비닐봉지 사용량은 아일랜드의 20배, 핀란드의 100배에 달해 1년에 211억 장에 이를 정도다. 2015년 기준으로 1인당 연간 420개의 비닐을 사용하는 나라가 바로 한국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무심코 사용하는 비닐의 여정에 대해 무지했다. 지난해 7월 중국이 갑작스럽게 폐비닐과 종이 쓰레기 수입 중단을 발표한 뒤 그 여파가 '비닐 수거 거부'라는 이름으로 우리 사회를 덮치기 전까지는 말이다. 아마 많은 사람은 그저 '분리수거라도 제대로 해서 버리면 내 책임을 다 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도 그럴까?

우리가 무심코 쓰고 버렸던 비닐을 다룬 한 편의 다큐가 있다. 다큐는 우리가 쉽게 사용하고 쉽게 버려왔던 비닐의 여정을 따라가며 '비닐 쓰레기'에 대한 국가간 커넥션을 그대로 들춰 보여준다. 추악한 커넥션의 이면은 중국 정부로 하여금 세계의 폐비닐과 종이 쓰레기 수입 금지 조치를 끌어내는 데 한 몫 한다. 하나의 비닐봉지가 버려지는 것에서 시작해 중국 정부의 쓰레기 수입 금지까지 가는 과정은 마치 작은 나비의 날갯짓이 거대한 토네이도를 몰고 오는 것처럼 보인다.

플라스틱 비닐의 여정, 그 종착지는 '중국'

 <플라스틱 차이나>의 한 장면

<플라스틱 차이나>의 한 장면 ⓒ CNEX


한국에서 <플라스틱 차이나>(2016)로 번역된 왕구량 감독의 다큐 원제는 <소료 왕국(塑料王國)>이다. 여기서 '소료'는 중국어로 '플라스틱'을 뜻한다. 우리가 물건을 살 때 거리낌 없이 받아 쓰는 비닐은 원료가 플라스틱이다. 석유에서 재료를 추출해 만드는 플라스틱은 가공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제품으로 재탄생한다. 그중 비닐로 만들어지는 건 열에 강한 고분자 화합물인 폴리에틸렌이다. 폴리에틸렌은 땅에 묻어도 잘 썩지 않고, 소각할 경우 인체에 해로운 다이옥신이 발생한다. 재활용률도 26%에 불과하며, 처리 비용도 많이 든다.

다큐는 컨테이너가 적재된 배가 항해하는 모습에서 시작된다. 여러 나라 간의 수입과 수출, 그리고 물류의 상징인 컨테이너. 그 컨테이너 중 하나가 항구에서 내려져 중국 산둥성의 작은 마을로 배달된다. 그곳에서 만난 건 거대한 산, 폐플라스틱과 비닐로 이루어진 첩첩의 산이다. 그리고 컨네이너 안에 들어있던 폐비닐이 그곳에 하나의 산을 더 만든다.

과거 중국은 세계 폐플라스틱 비닐의 56%를 수입하는 '최대 쓰레기 수입국'이었다. 중국은 2016년에만 730만 톤(31억 달러)의 쓰레기를 수입했다. 당시 영국의 폐지 55%와 플라스틱 25%, 미국의 전체 쓰레기 중 78%는 중국으로 갔다.

다큐는 폐기물 수입이 지난 30년간 중국의 '고도 성장'을 뒷받침해왔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국은 앞서 언급한 고체 폐기물을 수입하여 부족한 자원으로 활용했다. 미국에서 수입된 캔은 의류와 기계 제작용 금속이 되었고, 폐지는 포장재로 재활용되었다.

 <플라스틱 차이나> 포스터

<플라스틱 차이나> 포스터 ⓒ CNEX


다큐는 바로 '쓰레기 수입국' 중국의 현실을 그대로 지켜본다. 수입된 쓰레기가 도착한 산둥성의 쓰레기 산은 쓰촨성에서 농사를 짓는 열한 살 소녀 '이제'의 집이다. 이제네 아버지는 쓰레기 수입 업자 아래서 일하는 일용직 노동자로 일당 7500원(한화)으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진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고용된 건 아버지이지만, 아버지도 엄마도 그리고 이제 갓 열 살 남짓한 이제와 이제의 동생도 모두 쓰레기 더미 속에서 맨손으로 일을 하며 하루를 보낸다.

관절염으로 농사일을 견디기 어려운 이제 아버지가 선택한 쓰레기 재활용 업장의 일은 그저 '농사일보다 몸이 조금 덜 고된 일'로 여겨질 뿐이다. 병원 폐기물부터 온갖 오물에 범벅이 된 플라스틱 비닐 쓰레기 더미는 이제네 가족의 터전이다. 이제네 아이들은 보물창고 같은 쓰레기 더미에서 놀 거리를 찾고, 때론 배울 거리도 찾으며 살아간다. 마치 농부가 자연에서 그 삶을 일궈내듯 이제네 가족은 쓰레기 더미에서 가족의 삶을 일궈낸다. 그리고 그와 같은 상황은 갑과 을의 처지라지만 이제네 아빠를 고용한 사장 역시 마찬가지다.

플라스틱 비닐 더미에서 삶을 일구어 가는 사람들

쓰레기 더미를 삶의 터전으로 알고, 그곳에서 삶을 꾸려가며 아이들을 낳고 키우고 미래를 기약하며 살아가려는 사람들. 이들은 자신의 터전인 플라스틱 비닐 산이 가진 '함정'에 무지하다. 사장은 해가 갈수록 건강이 안 좋아져 시름시름 앓지만, 혹시라도 가장인 자신이 아파서 가족을 돌보지 못할까 봐 병원에 갈 엄두도 내지 못한다.

이제네 아버지는 가난한 자신의 처지가 가장 고민이다. 그는 보잘것없는 월급 탓에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엄두도 내지 못하고, 고향조차 갈 수 없다. 그들에겐 먹고 자고 아이들이 뛰어 노는 곳에서 쓰레기를 태워 시커먼 연기가 하늘을 뒤덮는 것이나 강 속 물고기가 배를 드러내고 죽어가는 건 고민될 수 없다.

다큐는 담담하게 '비닐 더미가 밭이 되고 논이 되기라도 하듯' 그곳에서 삶을 일구어 가는 이제네와 수입업자인 사장네 가족의 일상을 들여다본다. '어떻게 하면 여기서 돈을 만들고 가족의 안녕과 미래를 기약할 수 있을까'라는 소박한 소망으로 하루를 살아가는 사람들. 그들은 폐비닐 자체를 자신들의 삶을 보장하는 '환금성 작물'로 여길 뿐, 그곳이 자신들과 자식들의 삶·미래를 갉아먹을 늪이 될 거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않는다.

바로 이런 모습이 지난 30년간 환경에 무지했던 국민들을 이용하여 쓰레기 산업으로 성장을 이룩해 온 중국의 맨얼굴이다. 왕구량 감독의 주제 의식은 영화의 개봉과 함께 중국 사회를 강타했다. 그리고 중국은 2017년 세계 무역 기구에 '고체 폐기물 수입 금지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통보했다.

여전한 플라스틱 비닐 과소비에 경각심 가져야

 <플라스틱 차이나>의 한 장면

<플라스틱 차이나>의 한 장면 ⓒ CNEX


시간과 장소만 바뀔뿐, 쉬이 사라지지 않는 플라스틱 비닐. 쓰레기를 용광로처럼 집어삼키던 중국이 더는 '쓰레기 수입국' 역할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쓰레기 처리는 곧 세계의 문제가 되었다. 쓰레기 처리를 외주화했던 여러 나라와 한국에 '비상등'이 켜진 것이다.

중국의 '폐기물 수입 금지' 조치에 영국은 25개년 계획을 통해 쓰레기 감소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유럽 연합은 2018년까지 비닐봉지 사용량의 80%를 줄이고자 한다. 즉, 자원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생각을 바꾸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이 '세계 최대의 쓰레기 수입국'이었다는 충격적 오명은 잠시였다. 이제 쓰레기 대란은 고스란히 우리 사회를 강타했다. 중국이 '소화'해주지 않는 쓰레기는 각 지자체에서 '소화 불량'이 되어, 재활용 업체의 '비닐 수거 거부' 사태로 나타났다. 난항 끝에 비닐 분리수거가 재개됐으나, 모든 문제가 해결됐다고 보긴 어렵다.

오늘날 한국 마트에서 비닐봉지를 무료로 나눠주지 않는다지만, 여전히 코너마다 마련된 비닐 포장재 롤은 즐비하다. 그러므로 <플라스틱 차이나>에 대한 감상은 쓰레기로 고도 성장을 이룬 중국의 이면에 혀를 차는 것으로 그쳐서는 안된다. 여전히 우리가 '과소비'하고 있는 플라스틱 비닐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갖는 계기가 되어야 하며, 우리의 자원 재활용에 대한 구조적 고민을 하는 근본적 질문이 되어야 한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차이나 다큐 환경문제 폐비닐수입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