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 관람표에 포함된 영화발전기금
성하훈
따라서 현재 남아 있는 500억 원대 영발기금이 영진위가 확보한 예산의 총액이다. 올해 850억원 예산을 위해서는 300억 정도가 추가로 들어와야 한다. 올해 징수하는 영발기금으로 남은 사업비를 충당하면 되겠으나 지난해 징수액 180억 원 정도에서 보듯 징수 환경이 녹록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2022년 전체 관객은 2021년 6천만 관객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1억 1천 2백만이었다. 코로나19 이전 평균치 2억 관객의 절반 수준이다. 만일 영발기금이 정상적으로 걷혔다면 350억 원 정도였다. 하지만 영화산업의 위기 속에 영발기금 징수가 면제되면서 절반 정도인 180억만 징수될 수 있던 것이다.
이것이 올해 획기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매우 낮다. 영화계가 예상하는 올해 전체 관객 수는 코로나19 이전의 70% 안팎이다. 국내 대기업 상영관의 한 관계자는 "올해 관객은 코로나19 이전의 65%~70% 수준인 1억 4천만 관객 정도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물론 이보다 더 늘어날 수도 있으나 극장 관람료 인상과 넷플릭스 등 영화산업 변화로 인해 80% 이상 증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올해 관객을 1억 5천만 안팎으로 가정할 때 감면 없이 걷힐 수 있는 영발기금은 450억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이 정도만 걷힐 수 있다면 올해 예산 확보는 문제가 없다.
영발기금 예산 확보 위태
그러나 감면 조항에 따라 올해처럼 징수할 경우 확보할 수 있는 금액은 250억 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최소 금액 300억 이상 확보가 어려울 수 있기에 연말에 가면 영진위 직원 월급마저 못 줄 상황이라는 말은 단순한 빈말이 아니다.
영진위 측은 "영발기금 감면의 경우 일몰 조항이 없어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시행령(대통령령) 개정을 통해 원상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야 최소한 올해 예산을 맞출 수 있다는 설명이었다.
하지만 극장 측은 예민한 반응이다. "영진위야 기금 확보 차원에서 주장할 수 있으나 영화산업이 어렵고 극장도 위기인 상황에서 감면은 계속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CGV 황재현 전략지원 담당은 "코로나19 2년간 누적 적자가 6천억 원에 달한다"며 "지난해 관람료 인상 등의 효과를 보기는 했으나, 영발기금 면제가 경영에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또한, "2022년 경우 1월~4월, 9월~11월까지 7개월 정도가 적자였고, 5월~8월, 12월까지 5개월 정도만 흑자였다"며 "영발기금 면제도 지난 3년간 관객 수 감소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시장의 온전한 회복 전까지는 계속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대안없이 원상회복 시키면 극장 운영이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