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세계최초로 공개된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를 첫 상영에 때맞춰 볼 수 있었다. 실은 그 영화를 만든 김세인 감독에 대해서는 단편 시절부터 주목하고 있었다. 감독의 단편 전부를 보진 못했지만 그중 <불놀이> (2018)과 <컨테이너> (2018)를 접할 기회가 있었기 때문이다. 두 단편 모두 나이어린 또래 여성들이 갈등을 겪어가며 회복할 수 없는 파국으로 연결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었다. 그런 암울한 전개가 끝까지 가는 결말이 섬뜩하면서도 인상적이었다.
<불놀이>는 야밤에 추수가 끝난 시골 논밭에 쥐불놀이를 하러온 두 친구 사이에서 벌어지는 우정의 종말 이야기다. 내가 무사하기 위해 너를 이용해야 하는, 그야말로 무저갱이 펼쳐진다. 혹은 둘 중 하나는 죽어서 나갈 수밖에 없는 검투사의 투기장 같은 설정이다. <컨테이너>는 여름철 수해를 입은 동네 사람들에게 임시 피난처로 제공된 컨테이너 안에서 두 소녀가 사회적 계급과 동정 없는 세상에 관해 체험하는 잔인한 일기장 같은 내용이다.
두 단편 모두 어쩌면 서로를 가장 잘 이해하고 보호해줄 것이라 믿었던 또래 소녀들이 (관객이 그래도 혹시나 하고 기대했을법한) 위로와 화해로 향하는 결말을 사뿐히 배반해버리는 이야기다. 감독은 그런 우울한 결말에 만족하지 않는다. 두 소녀들의 다툼 중에도 주인공에 가까운 캐릭터는 가장 절박하고 고통당하는 존재가 아니다. 오히려 나락으로 떨어져가는 친구의 불행과 발악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관찰자 포지션이다. 쉽게 보기 어려운 전개가 아닐 수 없다.
그렇게 여태껏 참 독한 이야기를 만들어온 감독의 첫 번째 장편을 접했다. 이전 단편들은 딱 단편다운 그리 길지 않은 러닝타임인데 비해 장편 데뷔작품은 2시간20분이라는, 꽤나 만만치 않은 분량으로 그 모습을 드러낸다. 하지만 감독의 세계관이나 이야기 전개방식은 그리 차이나 보이진 않는다.
모성의 신화가 사라진 그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