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2TV 드라마 <붉은 단심>의 한 장면
KBS
KBS 2TV 드라마 <붉은 단심>에서는 왕실 여성들의 정치적 비중이 비교적 잘 나타나고 있다. 반정공신들의 지원을 받아 왕실 일원이 된 유정(강한나 분)과 조연희(최리 분)의 활약상도 나타나고, 조정에 대한 대비 최가연(박지연 분)의 막강한 영향력도 묘사되고 있다.
최가연은 반정공신인 박계원(장혁 분)의 연인이었지만, 후궁이 되어 궁궐에 들어간 뒤 왕후가 되고 대비가 됐다. 그는 임금 이태(이준 분)의 친어머니는 아니다. 하지만 조정 실세 박계원과 제휴하고 있기 때문에 이태가 그를 구박하기는 힘들다. 최가연은 이태를 억누르는 박계원과 손잡고 정치에 깊숙이 개입해왔다.
<붉은 단심>에서처럼 다수의 왕실 여성들이 주목을 받은 대표적 시기로 조선 전기인 성종시대와 조선 후기인 숙종시대를 들 수 있다. 두 시기에는 한두 명이 아닌 다수의 왕실 여성들이 현실 정치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양상이 이어졌다.
성종 시대의 3대비 체제
열두 살 된 성종이 임금이 된 1469년은 할머니인 정희왕후 윤씨가 수렴청정을 개시한 해다. 세조(수양대군)의 부인인 정희왕후는 손자를 대신해 국정을 운영했고 이 상황은 1476년까지 계속됐다.
그때 왕실에는 대비가 셋이나 있었다. 정희왕후가 대왕대비였고, 정희왕후의 첫째 며느리이자 성종의 어머니인 소혜왕후 한씨(인수대비)가 왕대비였고, 둘째 며느리이자 예종의 부인인 안순왕후 한씨가 대비였다.
성종의 전임자는 성종의 아버지가 아니라 작은아버지인 예종이었다. 성종의 아버지인 의경세자가 19세에 요절하는 바람에 의경세자의 동생인 예종이 왕이 됐고, 그 예종에 뒤이어 성종이 즉위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예종의 부인이 성종시대에 대비가 됐던 것이다.
그런데 소혜왕후는 왕대비이고 안순왕후는 대비였다. 왕세자와 세자가 동의어인 것처럼, 왕대비와 대비 역시 같은 말이었다. 그런데도 왕대비와 대비를 별도로 둔 것은 동서지간인 소혜왕후와 안순왕후의 위상을 구별하기 위해서였다. 이 경우에는 왕대비가 '왕의 대비'가 아닌 '큰 대비'라는 의미로 쓰였다. 한자 왕(王)에 담긴 '크다'라는 의미가 이렇게 활용됐던 것이다.
대왕대비-왕대비-대비의 3대비 체제 하에서 중심 인물은 정희왕후였다. 하지만 실질적 주도권은 인수대비로 불리는 소혜왕후에게 있었다. 정희왕후는 한문에 약하다는 이유로 한문에 능통한 큰며느리에게 국정을 맡겼다. 그래서 형식상으로는 정희왕후가 7년간 수럼청정을 했지만, 실제로는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가 실권을 행사했다. 인수대비의 카리스마는 이로 인해 생겨난 것이었다.
조선시대 왕실 여성들의 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