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2 <달이 뜨는 강>의 한 장면.
KBS2
온달 부부의 아버지인 평강태왕(태왕이 공식 칭호)은 딸 부부가 '동화 속 주인공'처럼 되다 보니 그 자신도 '동화 속 임금님'처럼 됐다. 하지만 그의 삶은 동화와는 거리가 멀었다. 임금 생활은 특히 그랬다.
세상을 떠난 뒤에 그는 무덤 위치를 근거로 평강(平崗, 언덕 강)으로도 불리고 시호를 근거로 평원(平原)으로도 불렸다. 하지만 그의 군주 생활은 평(平)이란 글자가 주는 이미지와 거리가 있었다. 온달이 혜성처럼 나타나 서쪽 국방을 안정시킨 뒤로 심적 부담을 다소 덜기는 했지만, 그는 그때까지의 역대 고구려 군주들보다 훨씬 더한 불안정에 시달렸다.
고구려왕의 불안함
그런 그의 처지가 KBS2 사극 <달이 뜨는 강>에도 어느 정도 반영됐다. 구체적인 스토리는 작가의 상상력에 따른 것이지만, 이 드라마는 그의 처지를 상당히 불안정하게 묘사하고 있다.
드라마 속의 평강태왕(김법래 분)은 심리적으로뿐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좌불안석 같은 삶을 살고 있다. 귀족들이 태왕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고 국정을 자기들 뜻대로 이끌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2월 15일 방송된 제1회 초반부에서는 귀족들이 사병을 이끌고 궁궐까지 무단 진입해서 태왕을 압박하는 장면이 있었다. 방송이 5분을 경과한 대목에서, 귀족 정치가들을 따라온 사병 부대들이 태왕 집무실 앞에 진을 치고 격투기 시합을 벌이는 장면이 나왔다. 태왕과 왕실의 권위를 짓밟는 처사가 아닐 수 없었다.
사병들이 격투기 시합으로 시간을 때우며 소란을 피우는 동안에, 집무실에서는 최대 부족인 계루부의 고원표(이해영 분)가 다른 두 부족 수장들과 함께 평강태왕을 노골적으로 압박했다. 고구려를 구성하는 5부 중에서 세 부족이 태왕의 권위를 정면으로 무시했던 것이다.
압박감과 불쾌감을 동시에 느낀 평강태왕은 소금 전매권을 세 부족에게 영구히 귀속시켜 달라고 요구하는 귀족들을 쳐다본다. "하여, 사병을 이끌고 와서 나를 겁박하는 건가?"라고 반문하며 귀족들이 건넨 문서를 땅바닥에 집어던진다.
귀족 수장인 고원표는 문서를 집어든 뒤 태왕이 있는 어좌로 태연하게 올라간다. "수결해 주시죠. 지금의 고구려를 지탱시키는 힘이 누구에게 있습니까?"라고 그는 힘주어 말한다. 결국 평강태왕은 그들의 요구를 들어준다.
광개토태왕이나 장수태왕의 이미지를 근거로 고구려 군주의 위상을 떠올리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고구려 태왕의 실제 위상은 그다지 강하지 않았다. 작가의 상상력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지만, 위의 드라마 장면은 귀족들에게 억눌린 고구려 임금의 처지를 어느 정도 반영한다. 역사학자 신채호는 <조선상고사> '제5편 고구려의 전성시대'에서 이렇게 설명했다.
"고구려는 원래 1인 전제주의의 나라가 아니라 귀족 공화제의 나라였다. 국가의 기밀사항도 왕이 단독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왕과 5부 대신들의 회의로 결정했다. 형벌 같은 것도 회의의 결정에 따라 처리했다."
역대 고구려 군주들이 처한 이 같은 상황은 평강태왕에게도 당연히 영향을 미쳤다. 그 역시 어느 정도는 귀족들에게 억눌린 채 태왕 역할을 수행했다. <달이 뜨는 강>의 평강태왕은 문서를 집어던지고 화를 내는 방법으로 귀족들에게 불만을 표출했지만, 실제의 평강태왕은 그런 소극적 저항마저도 꿈꾸지 못했을지 모른다.
그런 내부적이고 고질적이었던 문제에 더해, 평강태왕은 대외관계에서도 상당한 애로를 겪었다. 대외관계에서 그가 받은 압박은 그때까지의 고구려 군주들이 겪어보지 못한, 전혀 새로운 것이었다.
고구려의 전성기는 4세기부터 6세기까지 있었던 중국의 분열에 힘입은 측면도 있다. 고구려가 만주를 지배한 원동력 중 하나는, 통일왕조가 등장하기 힘들 정도로 중국의 혼란이 극심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589년에 수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이후로, 뒤이어 당나라가 재통일한 이후로 고구려의 위기가 가중되다가 668년에 고구려가 멸망한 것도 '중국의 분열과 고구려의 성장'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관계를 반영한다.
평강태왕이 고구려를 이끈 기간은 559년부터 590년이다. 중국대륙이 분열기에서 통일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에에 나라를 운영했던 것이다.
이 시기의 최대 위협은 북중국 왕조인 북주(北周)의 팽창이었다. 북주의 기운은 수나라로 이어져 중국 통일로 이어졌다. 평강태왕은 그 같은 북주의 기운을 막고자 또 다른 북중국 왕조인 북제(北齊)와도 외교를 강화하고 남중국 왕조인 진(陳)과도 유대를 강화했다. 동시에, 북주를 상대로도 사대외교를 통해 평화적 제스처를 보냈다. 중국과의 전쟁을 막는 것이 당시 고구려 입장에서는 최대 현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