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새로울 것이 없는 청춘 남녀의 성 바꾸기, 그 '므흣'한 설정이 알콩달콩하게 풀어내 지던 영화가 중반 이후, 설정의 비밀을 풀어가기 시작하면서 가슴 속에서 뜨거운 것이 솟구쳐 올라왔다. 그리고 결국 영화의 클라이맥스 '사라짐'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현재와 과거 두 사람의 모습을 보며 참았던 눈물이 쏟아지고 말았다.

눈물을 쏟게 한 건 애니메이션이었지만, 그리고 그 애니메이션이 있게 한 건 타국의 재난이었지만, 결국 내 눈물의 의미는 지금 현재 여전히 우리 땅에서 풀어내지 못한 '세월호'라는 그 날의 슬픔 때문이다.

이국의 재난 영화를 통해 우리는 우리 가슴 속에 응어리진 감정을 물밀 듯이 끌어올리고 만다. 천일 여전히 학부모들을, 그리고 힘들게 생존 학생들을 차가운 거리로 불러모으고 있는 것은 바로 <너의 이름은.>이 하는 그것 때문이다.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의 홍보 기간에 배려 없는 아저씨의 행태로 물의를 빚는 바람에 배우 김윤석의 홍보는 빛이 바래고 말았다. 그런 아쉬운 행보에 묻힌 것 중에 그의 진심 어린 한 마디도 있다.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면 무엇을 하고 싶냐는 기자의 질문에, 김윤석은 답한다. 2014년으로 돌아가 '타지 마라, 그 배에 타지 마라'라고 할 것이라고. 이 간단 명료한 소망, 그 소망을 <너의 이름은.>은 들어준다.

 시간은 물론 되돌릴 수 없다. 하지만 <너의 이름은.>에서는 다르다.

시간은 물론 되돌릴 수 없다. 하지만 <너의 이름은.>에서는 다르다. ⓒ 메가박스㈜플러스엠


<당신, 거기 있어 줄래요?>와 <너의 이름은.>은 똑같이 과거로 돌아가 죽음에 이른 연인을 구하는 드라마이다. 심지어 <당신, 거기 있어 줄래요?>는 우리나라에서 인기있는 기욤 뮈소의 동명 원작 소설의 리메이크로 익숙한 서사다. 하지만 다소 흥행이 아쉬웠던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와 달리, <너의 이름은.>은 정유년 새해 벽두부터 블록버스터 급 한국 영화들을 밀어내고 박스 오피스 1위를 수성하고 있다.

청춘 로맨스로에서 판타지 재난 블록버스터로 

 우리는 같은 시대를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같은 시대를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 메가박스㈜플러스엠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풋풋한 청춘 남녀의 성 바꾸기로 시작된 '청춘 로맨스'의 외양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 흔한 성 바꾸기의 설정조차도 <너의 이름은.> 버전이 되면 신선하고 새로워진다. 이야기의 테이프를 끊은 것은 시골 마을의 미츠하. 신사 의식과 개발이라는 발전과 전통의 과도기를 겪고 있는 시골 마을, 어머니가 죽은 후 집을 떠난 아버지 대신 신사 의식을 수행하며 도시의 꿈을 품고 사는 소녀 미츠하에게 벌어진 이상한 사건으로 영화는 서두를 뗀다.

영화는 미츠하의 시선으로 시작하며, 관객을 오롯이 미츠하와 미츠하가 사는 마을, 시간 속으로 끌어들인다. 이 시선은 일종의 트릭이자, <너의 이름은.>의 후반부 감동을 가져오는 주요한 장치가 된다. 관객들은 타키와 함께 '현재'에 존재한다. 하지만 영화는 그런 시공간의 개념을 제시하지 않은 채 대뜸 미츠하에게 벌어진 이상한 해프닝과 함께 이 소녀가 사는 시공간으로 관객을 흡인하면서 이후 벌어질 사건의 중심에 관객들을 놓이게 한다.

그저 미츠하에게, 그리고 타키에게 벌어진 이상한 일, 두 청춘 남녀에게 벌어진 '므흣'한 해프닝에 정신없이 '흐뭇'하게 빠져들던 관객들, 하지만 그저 도쿄와 외진 시골 마을의 공간적 격차가 벌이는 해프닝인 줄 알았던 에피소드는 중반에 비밀의 열쇠가 풀림과 동시에 '시간'의 격차가 더해진다. 그 충격은 영화 속 타키의 충격과 그리 다르지 않다. 왜? 이미 영화 초반부터 우리는 미츠하와 그녀의 동네를 동시대의 삶으로 수용했기 때문이다.

상실의 공유, 상실의 환기 

 애니메이션 영화 <너의 이름은>은 '상실'에 대해 이야기한다.

애니메이션 영화 <너의 이름은>은 '상실'에 대해 이야기한다. ⓒ 메가박스㈜플러스엠


아마도 <너의 이름은.>이 설정하고 있는 상실은 동일본 대지진의 상흔일 것이다. 하지만, 영화를 통해 너무도 생생하게 전해지는 그 상실의 감정에서 이곳에서 영화를 본 많은 사람은 피해갈 수 없이 우리 시대의 숙제를 떠올리게 된다. 바로 그렇게 영화는 '상실'을 말한다. 그리고 그 상실이 '역사' 혹은 '사건'의 저편으로 잊힐 수 없는 동시대성을 불러낸다.

애초에 미츠하와 타키가 시공간을 뛰어넘어 몸이 바뀌는 판타지답게 '사실'을 알아버린 타키는 시간을 돌이키기 위하여 죽음의 강조차 건너는 것을 마다치 않고 자신을 던진다. 마치 사랑하는 아내를 잃은 오르페우스가 아내를 구하기 위해 저승행을 감행하듯. 물론 타키의 헌신만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다. 타키가 자신을 던지듯, 시간 속의 미츠하 역시 '난 안 되는 걸까?'라는 소극적인 자아를 딛고, 마을을 구해낸다. 두 소년 소녀가 소극적이고 수동적이며 방관자적이었던 자신을 던지고, 더욱 적극적인 자아로 한 단계 성장하는 통과 의례와 함께, 역사 속 사건이 되었던 마을은 '현재'로 돌아온다.

물론 우리가 시간을 되돌릴 수 없다는 건 분명하다. 하지만 그 판타지를 넘어, <너의 이름은.>은 우리가 무엇을 잃어버린 것인가를 명확하게 상기시킨다. 남의 일, 다른 시간, 다른 곳이 아니라, 그것들이 지금 여기에 있다면 나와 관계를 맺을, 같은 공간의 '소중한 인연'임을 상기시킨다.

애써 주장하지 않지만, 그래서 더 공존의 울림은 강하고, 상실의 아픔은 진해진다. 우리 무속 신앙 중 바다에서 죽은 이를 보내는 신례에 넋 건지기라는 방식이 있다. 죽은 이의 바다에 가서 죽은 이가 사용하던 그릇에 끈을 연결하여 혼을 불러내 억울함을 풀어주고 저승으로 편히 보내주는 방식이다. <너의 이름은.>은 흡사 그 무속과도 같다. 아마도 <너의 이름은.>이 흥행을 이어가는 것은 무속의 넋 건지기 의식처럼 청춘 로맨스를 넘어, 우리 시대 사람들의 가슴 속에 잠재된 억울한 죽음의 상흔을 불러내어 위무하기 때문 아닐까.

너의 이름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