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13일에 개봉, 23일 기준 현재 695만 관객을 동원하며 올해 흥행 랭킹 7위에 오른 <럭키>는 현재 상영관 수 축소와 함께 IPTV에서 동시 상영 중이다.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서 기대했던 700만 관객동원은 다소 어려워 보인다.

하지만 현재 흥행 수치는 제작사 '용필름'도 놀란 수치라고 하는데, <럭키>의 흥행기록은 따지고 보면 나름 재미있고 의미 있는 구석이 많이 있다.

[하나] 감독과 배우들의 최고 흥행기록

 영화 <럭키>의 스틸 이미지.

ⓒ (주)쇼박스


우선 <럭키>를 각색, 연출한 이계벽 감독의 이전 최고 흥행기록은 바로 전 작품이자 자신의 데뷔작인 <야수와 미녀>이다. <야수와 미녀>는 2005년에 개봉하여 당시 156만 명을 동원했으나 손익 분기점인 170만 명에는 도달하진 못했었다.

이계벽 감독이 <럭키>를 통해 본인 기록을 넘기는 데 걸린 시간은 고작 개봉 4일 만이었다. 개봉 4일 만에 손익 분기점을 웃도는 2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이 감독의 첫 흥행작이 되었다.

그럼 주연배우 유해진 입장에서 따져보자 그의 작품목록에서 최고 흥행작은 지난해 개봉하여 1341만 관객을 동원한 <베테랑>이다. 이어 1230만 관객을 동원했던 <왕의 남자>가 2위이며, 3위는 866만 명을 동원한 <해적: 바다로 간 산적>이다. 그리고 4위가 바로 이 영화 <럭키>이다.

하지만 앞선 세 작품은 모두 유해진이 조연으로 출연한 작품으로, 유해진 주연작으로 한정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기존 유해진의 주연작 중 가장 흥행한 작품은 2014년에 김윤석과 공동 주연한 <극비수사>로 당시 286만 관객을 동원했었다. 이 기록은 <럭키>가 개봉 8일 차에 287만 명을 넘기며 깨지게 되었다.

<럭키>의 공동주연이라고 해도 이상할 게 없는 '이준'의 필모그래피를 따져도 <럭키>는 그의 최고 흥행작이다. 기존 최고 흥행작은 바로 그의 데뷔작 <닌자 어쌔신>이다. 이준이 어린 라이조 역을 맡았던 <닌자 어쌔신>은 2009년 국내 개봉 당시 전국 134만 관객을 동원했었다. 물론 월드 와이드 성적이 6160만 달러(한화 729억 원)로 매출로 따지면 현재 561억 원의 극장수입을 거둔 <럭키>보단 <닌자 어쌔신>이 더 흥행작일 순 있다.

<태극기 휘날리며>에 출연하여 나름 '천만 배우'인 조윤희를 제외하곤 주요 조연들에게도 <럭키>는 개인 최대 흥행작이다. 임지연은 <간신> 111만, 전혜빈은 <령> 110만, 이동휘는 <감시자들> 550만 명이 기존 개인 최고 흥행작이었다.

제작사 용필름을 기준으로 해도 <럭키>는 최고 흥행작이다. 기존 흥행 1위는 모호필름과 함께 제작한 420만 관객의 <아가씨>이다.

[둘] 코미디 장르에서 분석해본 흥행기록

 영화 <럭키>의 스틸 이미지.

ⓒ (주)쇼박스


<럭키>를 코미디 장르로 한정해서 보면 가히 역대급 흥행기록을 질주했었다.

개봉 3일째인 10월 15일 오후 3시 기준으로 100만 관객을 돌파했는데, 이 기록은 코미디 장르 최단 기간 100만 관객을 동원한 <전우치>와 타이기록이다.

개봉 9일만인 10월 21일에는 누적 관객 수 300만을 돌파하여 한국 코미디 영화 중 최단기간 내 3백만을 돌파한 영화가 되었고, 이틀 뒤인 10월 23일에 4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이 역시 코미디 영화 중 최단기간 내 4백만 관객 돌파기록인데 이는 역대 박스오피스 7위이자 1281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7번방의 선물>보다 하루 빠른 수치였다.

그리고 16일 만에 '럭키'는 500만 관객을 동원했는데, 이 기록은 심은경의 <수상한 그녀>가 18일 걸린 속도를 이틀이나 앞당기며 역대 코미디 최단 기간의 기록을 세웠다.

코미디 영화로 따져보면 역대 1위 <7번방의 선물> 1281만 명 2위 <검사외전> 970만 명 3위 <해적> 866만 명, 4위 <수상한 그녀> 865만 명, 5위 <과속스캔들> 824만 명, 6위 <써니> 736만 명에 이어 역대 7위에 해당한다.

[셋] 리메이크 영화

 영화 <럭키>의 스틸 이미지.

ⓒ (주)쇼박스


<럭키>는 일본에서 62만 명 관객을 동원한 우치다 켄지 감독 작품인 <열쇠 도둑의 방법>을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사실 우치다 켄지 작품은 한국에서 두 번째 이루어진 것인데, 첫 작품은 <내 마음의 이방인>을 리메이크한 <커플즈>인데, 공교롭게도 이 영화를 각색한 사람이 바로 이계벽 감독이다.

<커플즈>는 2011년에 개봉하여 38만 명을 동원하며 흥행에 실패했는데, <커플즈>의 기록과 원작의 일본 관객 기록은 <럭키>가 개봉 2일 만에 67만 명을 동원하며 모두 깨졌다. 원작이 불과 일본에서 관객 62만 명밖에 동원하지 못한 걸 고려하면 10배 넘는 관객 수 기록한 <럭키>의 흥행기록이 더 돋보이기도 한다.

범위를 넓혀서 <럭키>는 많은 일본 리메이크 작품 중에 국내 흥행 1위를 기록했는데, 기존 1위는 정재영이 주연했던 <바르게 살자>이다. <노는 시간은 끝나지 않았다>를 리메이크한 <바르게 살자>는 2007년에 개봉하여 219만 관객을 동원했었는데, 이 기록도 개봉 5일 만에 225만 관객을 넘기며 일찌감치 깨뜨렸다.

럭키는 역대 리메이크 역대 1위이기도 하다. 기존 역대 1위는 홍콩영화 <천공의 눈>을 리메이크하여 전국 550만 관객을 동원했던 <감시자들>이다. 럭키가 18 일차에 563만 관객을 동원하며 이 기록도 깨지게 되었다.

[넷] 10년 넘어 복귀한 감독들의 복귀작으로 볼 때

 영화 <럭키>의 스틸 이미지.

ⓒ (주)쇼박스


이계벽 감독은 11년 만에 내놓은 작품인데, 이 감독처럼 10년 이상의 공백을 가졌던 감독들로 이준익, 김성수, 장준환, 이우철 감독도 여기에 해당한다.

<럭키> 10년 이상 공백기를 가졌던 감독 복귀작 중에서도 김성수 감독의 <감기> 311만 명을 제치고 가장 흥행한 작품 1위를 기록 중이다. 10년 넘어 복귀하는 케이스가 그리 많지 않다고 볼 때 한동안 이 부문 1위를 유지 할 듯하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구건우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blog.naver.com/zig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럭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두 아이의 아빠이자 영화 좋아하는 네이버 파워지식iN이며, 2018년에 중소기업 혁신대전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보안쟁이 입니다.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