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본문듣기

당신은 괴물입니까? 두 아이의 비극이 던지는 묵직한 질문

[리뷰] 영화 <괴물>

23.11.29 14:24최종업데이트23.11.29 14:24
원고료로 응원

영화 <괴물> 스틸컷 ⓒ (주)NEW

 
* 이 기사에는 영화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싱글맘 '사오리'(안도 사쿠라)는 아들 '미나토'(쿠로카와 소야)와 저녁을 먹던 중 아들의 행동이 평상시와 다르다고 느낀다. 그다음 날도, 그다음 날도 집에 늦게 들어오고 다치길 반복하는 미나토. 이에 학교에서 문제가 있음을 직감한 그녀는 담임교사 '호리'(나가야마 에이타) 및 교장 '후시미'(다나카 유코)'와의 상담을 신청한다. 그러나 학교 측은 사오리의 문제제기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갈등의 골만 깊어진다. 

그렇게 학교를 오가던 와중 사오리는 왕따를 당하는 '요리'(히이라기 히나타)를 만난다. 그녀는 요리와 대화를 나누면서 요리와 미나토 사이에 자기가 모르는 깊은 사연이 있다는 것을 깨닫고, 엄마에게도 감춰야 했던 아들의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니기 시작한다. 

<괴물>, 일본에서 건너온 카나리아
 

영화 <괴물> 스틸컷 ⓒ (주)NEW

 
어두운 탄광 속 어울리지 않는 색깔이 하나 있다. 환한 노란빛을 몸에 두른 새. 카나리아다. 광부들은 그 새의 존재를 잊은 듯 일한다. 상관없다. 카나리아의 역할은 존재가 아니다. 오히려 카나리아는 존재하지 않을 때 진가가 드러난다. 공기 중 산소 농도에 민감한 작은 새가 울지 않는다는 말은 곧 갱에 산소가 없다는 뜻이니까. 사라져 버린 카나리아의 울음소리는 타나토스의 등장이나 다름없다. 

사회적으로는 예술이 카나리아일 수 있다. 예술은 사람들이 질식사하기 직전까지 산소가 없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경고한다. 일례로 <오펜하이머>와 <잠>은 전혀 다른 영화다. 하지만 유사한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편견에 눈이 멀고, 양극단에 갇혀 다양한 가능성을 인정 못하는 사회상을 보여줬다. 전자는 매카시즘의 희생양이 된 물리학자의 비극을, 후자는 서로 다른 세상에서 자기 말만 반복하는 부부의 파국을 통해. 

이제는 일본 영화 차례다. 칸 영화제 각본상을 비롯해 여러 시상식을 휩쓴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신작 <괴물>이 주인공이다. 영화는 계속해서 같은 질문을 던진다. "괴물은 누구인가?" <괴물>은 괴물의 정체를 보여줄 듯 말 듯 줄다리기를 펼치며 관객을 미궁 속으로 초대한다. 그러고는 돌연 역습을 가한다. 중요한 건 괴물의 정체가 아니라고. 사실 진짜 중요한 질문은 "너는 괴물이 아니니?"라고.  

각본으로 쌓아 올린 미궁
 

영화 <괴물> 스틸컷 ⓒ (주)NEW

 
<괴물>의 재미는 기본적으로 각본에서 나온다. 사카모토 유지의 각본은 관객을 미궁에 빠트린다. 서로 다른 세 주인공의 시점에서 같은 이야기를 풀어내며 괴물의 정체를 쉽사리 확신하지 못하게 만든다. 물론 같은 사건이 반복되다 보니 자칫 지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카모토 유지는 시점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고 숨기기를 반복하면서 쉬어갈 틈을 주지 않는다. 

영화는 미나토의 이상 행동을 비추며 시작한다. 평소와 다른 아들을 보며 학교폭력을 의심하는 엄마 사오리. 그녀는 아들과 대화를 하고 난 후 담임교사 호리가 체벌을 했다는 확신을 갖고, 곧장 학교로 향한다. 그런데 학교 측 대응이 엉망이다. 호리는 잘못을 인정하지도, 사과하지도 않는다. 교장은 제대로 된 조사를 부탁하는 학부모의 탄원을 한 귀로 듣고 흘린다. 그러니 괴물의 정체는 확실하다. 학생을 보호하지 않는 학교가 괴물이다. 

하지만 관객의 확신은 호리의 시점이 등장하자마자 바로 부서진다. 2막은 앞서 보인 호리의 부정적인 면모를 모두 반박한다. 그가 유흥업소에 출입했다는 소문, 미나토를 때렸다는 의심을 모두 제거한다. 오히려 미나토가 고양이를 죽이거나 같은 반 친구 요리를 때렸다는 새 정황을 제시한다. 심지어 체벌 교사로 몰린 후 호리의 일상이 잔인하게 무너지는 모습도 비춘다. 그 결과 3분의 2 지점이 되도록 <괴물>은 여전히 미궁이다. 

미궁 속 진짜 괴물의 정체
 
그러다 보니 <괴물>이 무슨 이야기인지도 좀처럼 파악하기 어렵다. 얼마 전까지 핫한 이슈였던 교권 문제를 떠올릴 수도 있고, 일본 못지않게 항상 문제인 학교 폭력 이슈에 대한 이야기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고레에다 히로카즈답게 아이들의 시점에서 세 번째 이야기가 펼쳐지면 비로소 괴물의 정체도 밝혀진다. 

미나토와 요리의 시점에서 그들이 처음 만나게 된 계기, 함께 보낸 시간, 그들의 비밀장소와 비밀 놀이가 등장한다. 편지를 쓰는 그들만의 규칙, 마니토가 요리를 때린 이유 등 이전 시점에서 좀처럼 이유를 알 수 없던 사건의 전말도 비로소 드러난다. 우정이라기에는 깊고, 사랑이라고 하기에는 어린 그들의 미묘한 관계가 한 꺼풀씩 모습을 보인다. 

이 지점에 이르면 괴물의 정체를 특정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관용 없는 편협한 시선이 그 답이다. 두 소년은 그들의 관계를 떳떳이 드러내지 못한다. 부모와 교사를 비롯해 주변 사람들이 그들을 어떻게 볼지 걱정하니까. 실제로 아이들을 있는 그대로 봐야 할 어른들은 미리 재단해 놓은 세상에 아이들을 끼워 맞추기 바쁘다. 그 결과 걱정이 낳은 사소한 오해, 오해가 쌓인 편견은 미나토와 요리를 막다른 길로 몰아간다.  

누구든 괴물이 될 수 있다
 

영화 <괴물> 스틸컷 ⓒ (주)NEW

 
흥미롭게도 <괴물>은 메타적인 질문을 던지며 관객에게도 책임을 지운다. 실제로 <괴물>은 구조적으로 관객을 거듭 시험한다. 앞서 봤듯이 <괴물>은 일부러 관객을 혼란스럽게 한다. 처음 엄마의 시점에서는 학교 관계자를 몰인정한 괴물로 보도록 유도한다. 호리의 이야기를 펼칠 때는 과도하게 간섭하는 학부모와 자기 보신에 급급한 학교 시스템을 괴물로 여기게 만든다. 

마지막 순간에 도달하면 이 혼란이 의도대로 정교하게 설계된 미궁임을 알 수 있다. 관객은 영화를 보면서 자기 자신을 자각한다. 카메라가 보여주고 짜깁기한 현실에 동조하는 모습은 세상을 자기 시점에서 짜 맞추는 등장인물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 즉, <괴물>은 아이들을 비극으로 내몬 괴물이 누구에게나 있고, 모두가 괴물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체감하게 만든다.  

그렇기에 영화가 끝을 향할수록 두 아이의 비극은 더 무겁게 느껴진다. 그들의 낙원이 행복할수록, 그들이 해방에 가까워질수록 마냥 기쁘지 않고, 좋아할 수도 없다. 그 상황을 초래한 책임이 사오리, 호리뿐만 아니라 관객에게도 함께 지워지기 때문이다. 사카모토 류이치의 음악도 이 양가적인 감정이 커지는 데 한몫한다. 

미노스로 남을 것인가, 테세우스가 될 것인가

그렇지만 <괴물>은 희망을 놓지 않는다. 괴물을 만들 수도 있고,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태풍이 몰아치는 미래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이야기한다. 미나토와 요리의 낙원을 보는 이의 심정은 불편할지 몰라도, 낙원 자체는 여전히 아름다운 이유다. 

결국 <괴물>은 테세우스가 될지, 미노스가 될지 묻는 영화인 셈이다. 다양한 가능성을 인정 못하는 편협한 괴물을 악용하는 폭군이 될지, 아니면 미궁에 들어가 그 괴물을 죽이는 영웅이 될지. 만약 답이 후자라면, 일본에서 건너온 카나리아는 죽더라도 마지막 숨을 기쁘게 내뱉지 않을까. 
덧붙이는 글 개인 블로그(https://blog.naver.com/potter1113)와 브런치(https://brunch.co.kr/@potter1113)에 게재한 글입니다.
영화리뷰 괴물 고레에다히로카즈 사카모토류이치 사카모토유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영화를 읽는 하루, KinoDAY의 공간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종교학과 정치경제철학을 공부했고, 지금은 영화와 드라마를 보고, 읽고, 씁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