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

본문듣기

매일 죽어가는 아버지를 지켜봐야 하는 딸

[김성호의 씨네만세 537] <어느 멋진 아침>

23.09.11 13:56최종업데이트23.09.11 13:56
원고료로 응원
상실은 언제나 버겁다. 어떤 상실은 한 순간에 닥쳐오고, 또 다른 상실은 서서히 다가온다. 그중 무엇이 더 괴로운가를 따지는 건 무용한 일이다. 빠르든 늦든 모든 상실이 닥쳐오리란 것을 알 뿐이다.
 
어렸을 적엔 삶이 무엇을 얻어가는 과정이라 믿었다. 정신을 차리고 보니 삶은 끊임없이 무언가를 잃어가는 과정이다. 삶은 모든 것을 허락한 것처럼 굴다가도 아무렇지 않게 그 모두를 앗아간다. 그리하여 삶은 비정하다. T. S. 앨리엇이 4월을 잔인한 달이라 노래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나는 짐작한다. 만물이 태어나는 봄이란, 마침내 죽고 말 것들이 태어나는 때이므로.
 
나의 어머니는 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다. 파킨슨이라 불리는 이 병은 그 자신에게, 또 그를 지켜보는 이들에게 해소될 길 없는 고통을 안긴다. 완치를 기대할 수 없는 질병이란 인간을 무력하게 한다. 상실의 고통을 잘게 쪼개어서는 매일 한 움큼씩 건네주는 것이다. 그렇게 나는 내 어머니를 매일 조금씩 잃어간다. 나와 같은 고통을 당하는 이가 이 세상에 널려 있다는 건 조금의 위로도 되지 않는다. 그들 각자가 감내하고 있을 고통을 나는 멀찍이 서서 그저 짐작할 뿐이다.
 

영화 <어느 멋진 아침> 포스터 ⓒ 찬란

 
아버지를 매일 조금씩 잃어가는 딸
 
여기 비슷한 이가 있다. 산드라(레아 세이두 분)는 아버지를 매일 조금씩 잃어간다. 한때는 존경받는 철학교수였던 아버지(파스칼 그레고리 분)다. 세상 모든 것에 명확하게 다가서 구분하려 했던 명민한 아버지다. 그런 그가 이제는 제 딸을 제대로 알아보지도 못한다.

10년 넘게 앓아온 신경퇴행성 질환은 그에게서 시력을, 인지능력을, 다시 또 많은 것을 하나씩 앗아갔다. 하루 몇 번씩 들르는 것만으로는 그를 더는 돌볼 수 없어 가족들은 요양원을 알아본다.
 
비슷한 상황에 처한 이들을 조금쯤 무너져 내리게 하는 장면이 있다. 산드라가 아버지의 책들 가운데서, 보다 정확히는 아버지의 책들을 나눠받은 어느 제자의 서재 앞에서 읊조리는 말이다. 이 책들을 가져가주어서 다행이라고, 이 책들 가운데 아버지가 있다고, 저기 병원 병실에 있는 육신은 껍데기일 뿐이라고, 나는 내 아버지를 이 책들 가운데서 느낀다고, 산드라는 제가 말하는 것이 무슨 뜻인지도 알지 못하는 어린 딸 앞에서 하염없이 이야기한다.

'할아버지가 쓴 것도 아니잖아요'하는 딸에게 '직접 고른 거잖아'하고 답하는 산드라의 모습이 애처로와서 나는 거진 눈물을 쏟을 것 같은 기분이 되고 말았다. 매일 조금씩 저를 잃어가는 퇴행성 질환이 그 질환을 앓는 아버지를 10년 넘게 보아온 딸을 어떻게 무너뜨려가고 있는지를 알 것 같아서였다.
 

영화 <어느 멋진 아침> 스틸컷 ⓒ 찬란

 
누구에게나 살아내야 할 일상이 있다
 
영화는 산드라의 일상을 비춘다. 남편이 죽고 여덟 살 난 딸을 홀로 키우는 산드라다. 통번역 일을 하고, 하루에 세 번씩 혼자 사는 아버지를 방문하고, 어린 딸을 챙기다보면 하루가 순식간이다.
 
매일이 똑같을 것만 같던 산드라의 삶에도 변화가 찾아온다. 하나는 아버지의 병세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심해졌다는 것이다. 아버지가 살 요양원을 구하는 일부터, 아버지의 집을 정리하는 일이 언제고 다가올 이별을 실감하게 한다.

다른 하나는 공원에서 우연히 만난 옛 친구 클레망(멜빌 푸포 분)이다. 남편의 친구였던 그는 몇 년 전 연구차 남극으로 떠나갔던 모양인데, 얼마 전 돌아와서는 파리에서 살고 있다는 것이다. 남편이 떠난 뒤 사랑은 제 것이 아니다 여겼던 산드라지만, 클레망과의 만남은 특별한 감상을 일으킨다.
 
가족이 있는 클레망과 미묘한 만남을 이어가는 산드라다. 그 만남이 때로는 그녀를 일으켜 세우고, 또 때로는 그녀를 무너뜨린다. 툭 건드리면 와르르 무너질 것 같은 삶으로부터 유일한 해방구가 되어주는 그와의 만남을, 산드라는 도저히 포기할 수 없다.

아내와 아들을 배신한다는 괴로움과 산드라에 대한 열망 가운데 고민하는 클레망, 이를 무력하고 간절하게 바라보는 산드라의 모습이 관객에게 쉬운 도덕적 판단을 허락하지 않는다.
 

영화 <어느 멋진 아침> 스틸컷 ⓒ 찬란

 
일어날 일은 마침내 닥쳐온다
 
좌충우돌하는 둘의 감정 사이, 일어날 일들은 쉴 새 없이 일어난다. 아버지는 갈수록 쇠잔해지고 딸은 매일이 새롭게 자라난다. 딸의 성장통과 아버지의 쇠락을 번갈아 비추는 이 영화의 연출이 나는 너무나 서러워서 가장 아름다운 순간마다 울 것 같은 표정을 짓는 산드라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된다.
 
잠들기 전 아파하는 딸에게 "몸이 자라려고 하는 거야"하고 말하는 산드라의 대사가 서럽다. 딸의 고통은 성장을 위해서지만, 이미 커버린 산드라의 고통 뒤엔 오로지 쇠락뿐일 걸 알기 때문이다. 시간은 아이를 희망차게 키우지만, 그 아이가 모두 자란 뒤엔 마지막 남은 영혼까지 빨아들일 것을 알기 때문이다. 산드라와 클레망의 불타는 사랑 또한 언젠가는 클레망과 그 아내의 관계처럼 싸늘하게 식을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시에 영화는 이야기한다. 온갖 불행으로 점철된 산드라의 삶 가운데도 어느 멋진 아침이 있다는 것을, 매일 무너지는 아버지의 정신 속에도 여적 중요한 사람과 기억들이 남아 있다는 것을, 그 모든 상실을 감당하며 인간은 살아간다는 것을, 인생이 죽음을 향한 상실의 과정일지라도 그 길 가운데 제법 찬란한 순간들이 있다는 것을 말이다.
 
삶은 계속되고 우리는 아직 귀한 무엇을 완전히 잃어버리지는 않았다. 어쩌면 내일은 아직 갖지 못한 귀한 것과 만나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언젠가는 그 모두를 잃어버릴지라도 아직은 좋은 것이 남아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왜 살아가지 않겠는가.
 

영화 <어느 멋진 아침> 스틸컷 ⓒ 찬란

 
  사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 내고
  추억과 욕정이 뒤섞고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

-T. S. 엘리엇, '황무지' 중에서
덧붙이는 글 김성호 평론가의 얼룩소(https://alook.so/users/LZt0JM)에도 함께 실립니다. '김성호의 씨네만세'를 검색하면 더 많은 글을 만날 수 있습니다.
어느 멋진 아침 찬란 미아 한센 러브 레아 세이두 김성호의 씨네만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영화평론가.기자.글쟁이. 인간은 존엄하고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을 간직한 사람이고자 합니다. / 인스타 @blly_kim / 기고청탁은 goldstarsky@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