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문제의 핵심은 난이도가 아니다

고등학교 교사가 본 윤석열 대통령 발언의 진짜 문제

등록 2023.06.21 10:47수정 2023.06.21 10:47
0
원고료로 응원
a

6월 모의평가 보는 수험생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열린 1일 오전 서울 양천구 목동 종로학원에서 수험생들이 문제를 풀고 있다 ⓒ 연합뉴스

 
"이 정도면 킬러 문제야, 내도 되겠어?"

요즘 교사들은 기말고사 문제를 출제하고 검토하기에 바쁘다. 오늘 고등학교 2학년 문학 문제를 검토하다가 아이들이 문제를 어려워하지는 않을지 고민하던 중 한 교사가 한 말이다. 물론 웃어 넘기는 농담이었지만 우리 모두 큰 한숨을 쉴 수밖에 없었다.

마냥 쉬운 문제만 낼 수 없는 이유는 바로 '등급제' 때문이다. 9등급의 체제에서 아이들을 적절하게 줄을 세우지 않으면 오히려 아이들에게 불리해지는 게 지금의 현실이다.

수능도 마찬가지다. 쉽게 내면 나쁠 게 없는데 그러려면 9등급 제도 자체가, 백분위나 표준점수 제도 자체가 사라져야 가능한 일이다.

입시 문제의 핵심은 난이도가 아니다

나는 일반적인 도시 고등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학생들'이란 < SKY캐슬 > 같은 드라마에 나올 법한 아이들이 아니라는 뜻이다. 그래서 나는 사교육 시장의 특별한, 혹은 비밀스러운 모습은 잘 모른다. 이것을 전제로 이 글을 시작해야겠다.

하지만 나 또한 교사로 임용되기 전 꽤 긴 시간 동안 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었다. 내 주변 사람들의 자녀들도 몇몇 학원에 다니고 있다. 초등학생 때는 주로 예체능, 영어 회화로 시작하고 중학생 즈음에는 영어와 수학 공부를 잘하기 위해 다닌다.

특목고를 목표로 하는 학원도 많다(나는 일반고 교사인데 우리 학생들 중에 중학교 때 특목고를 준비했었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고등학생이 되면, 수능과 학교 내신을 준비하기 위해 학원에 다니게 된다.

아, 생각났다. 한때 논술 학원이 사교육에서 붐이었던 적이 있었다. 수능 후 한 달 정도 논술 학원에 등록해 논술 공부를 하는 풍토가 있었는데 그때 학원비가 한 달에 백만 원이 넘었다(2000년대 초반이었다). 이 정도가 내가 아는 사교육의 모습이다.
​​
당연한 말이지만, 보통 고등학생들이 학원을 다니는 이유는 대학입시 때문이다. 지금은 내신 대비만을 위해 학원을 다니는 학생들도 많은데 수시 비율이 높은 게 그 이유이다. 정시 비율이 지금보다 더 높아지면? 학원들은 당연히 학교 내신 준비가 아닌 수능 준비를 더 많이 하게 될 것이다. 예전처럼 논술이 입시를 좌우한다면? 논술 학원이 더 많이 생기겠지. 당장 특목고와 자사고를 유지한다는 게 현 정부의 방침이므로 특목고, 자사고 준비 중학교 학원은 날개를 달 것이다.

그러니까 상황에 따라 변화하고 적응하는 학원이나 사교육 시장을 완전히 없애겠다는 것은 그야말로 명분이라는 생각이 든다. 뭔가를 주장하기 위해 정치가들은 사교육 시장을 악의 근원처럼 말하고, 평소 사교육에 꽤 많은 돈을 들여야 하는 부모들은 그 명분에 반대를 하지 못한다. 제대로 교육하자는 교사들도 평소 학생들에게 학원을 끊고 공부하라고 말하고 있으니 그 말에 반박하지 못한다.


교육은 사회의 다른 모습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생각해 보자. 1등 대학, 2등 대학으로 줄세워지고, 학과들조차도 줄이 세워지는 이 상황에서 과연 사교육이 모든 악의 근원일까. 부모들의 노동 시간이 과도하니 아이들을 밖으로 돌려야 하는 이 상황에서 사교육에 돈을 쓰는 부모들이 잘못인 걸까?

더 근본적인 사회 변화를 함께 이뤄야지, 교육만 혁신될 거라고 보는 건 헛된 믿음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의사, 검사, 변호사 정원을 늘려야 과도한 의대 입시, 로스쿨 입시 경쟁이 사라질 것이다. 노동 시간을 줄이고 기본 소득을 일부라도 보장해주는 것, 우리 사회의 차별과 혐오를 없애는 것 등등이 교육 문제와 함께 이뤄져야 한다. 사교육을 핑계삼으며 교육을 바꾸려는 의지가 있는 것처럼 굴지 말라는 말이다. 지금 정부가 가고자 하는 방향에선 그 의지를 찾아보기 어렵다. 

윤석열 대통령이 말한 '교육과정 내 수능'은 너무나도 애매모호하다. 어려운 문제를 내지 말라는 걸 반대하는 게 아니다. 쉬운 수능으로 대학을 갈 수 있게 시스템을 뜯어고칠 것도 아니면서 그런 말을 던지니 하는 말이다.

또한 정부는 진단 평가를 통해 맞춤형 교육을 한다고 한다. 그래서 자사고, 특목고도 유지한다고 한다. 그런데 그 진단 평가는 맞춤형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진단할 수 있을까. 국영수의 성적으로 어떤 '맞춤형'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혹여 '맞춤형'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건 아닌가.

곧 정부의 교육 정책 발표가 잇따를 텐데 두 눈을 똑바로 뜨고 지켜봐야 할 문제이다. 제대로 된 교육이라는 과제가 그렇게 하나의 원인만 해결해서 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걸 다시 한번 상기해야 하는 시기이다.
덧붙이는 글 개인 브런치에도 실립니다.
#교육 #윤석열 수능 #사교육 #학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https://brunch.co.kr/@jey9595 사진은 우리집 양선생, 순이입니다. 저는 순이와 아들 산이를 기르고 있습니다. 40대 국어교사이고, 늘 열린 마음으로 공부하고 싶은 사람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모임서 눈총 받던 우리 부부, 요즘엔 '인싸' 됐습니다
  2. 2 카페 문 닫는 이상순, 언론도 외면한 제주도 '연세'의 실체
  3. 3 생생하게 부활한 노무현의 진면모... 이런 대통령은 없었다
  4. 4 "개도 만 원짜리 물고 다닌다"던 동네... 충격적인 현재
  5. 5 "4월부터 압록강을 타고 흐르는 것... 장관이에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