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은 성정과 사심없는 포용력의 소유자였던 장일순

[무위당 장일순평전 26회]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늘 밑으로 기어라"를 실행하다

등록 2018.12.20 18:56수정 2018.12.20 18:56
0
원고료로 응원
a

장일순 선생의 생전의 모습 장일순 선생의 생전의 모습 ⓒ 전희식




장일순이 포도농장과 함께 시작한 협동조합운동 그리고 지학순 주교와 가톨릭센터를 열어 벌인 각종 문화행사는 원주시민은 물론 인근 지역 주민들의 의식을 크게 바꾸었다. 

그러는 과정에서 스스로도 정신적ㆍ사상적으로 크게 성장하였다. 그는 간디와 비노바가 물레를 돌리는 행위 뒤에 숨어 있는 이념을 간파하였다. 물레질은 노동 가운데 가장 힘들지 않고 가장 단순한 노동이다. 이를 통해 인도인들에게 적어도 자신이 입을 옷을 스스로 만든다는 생각, 지극히 약한 사람도 생산활동을 할 수 있다는 자부심을 일깨워 주려는 것이었다. 

장일순은 맑은 성정도 그러하지만 어디서나 어떤 조직에서나 군림하려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사심없는 넉넉한 포용력으로 사람을 대하고 촌로와 같은 소박한 심성과 차림새는 사람들과 쉽게 어울리고 그의 곁으로 모이도록 만들었다. 그를 잘 아는 사람들은 "구수한 숭늉과 같고 텁텁한 막걸리와 같다"고 입을 모은다. 

3년의 징역살이와 포도농사 그리고 민주화운동과 협동조합을 하면서 인간의 내면을 키우고 다양한 독서를 통해 사유의 폭을 넓혔다. 파편화된 지식으로 무장한 현대형의 지식인이 아닌 산성화된 인간의 심성을 녹이고 함께 대화하는 지혜의 사람이 되었다.

장일순은 민주화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도 늘 밑으로 기어라를 실행했다. 그는 "민중은 삶을 원하지 이론을 원하지 않는다. 간디와 비노바 바베의 실례에서 배워야 한다. 사회변혁의 정열 이외에 영혼 내부의 깊은 자성의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일순은 지식인이랍시고 민중 위에 군림해, 민중을 지도하겠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고 줄곧 강조하였다. (주석 1)

경향 각지에서 많은 사람이 그의 곁을 찾았다.
마치 사람들이 더운 날이면 큰 느티나무 밑으로 모이듯이, 추운 날씨에 어미닭이 병아리를 품듯이 그는 소외된 이들을 품어 주었다. 


곧으면서도 딱딱하지 않고 유연한 모습은 '시대와 불화(不和)'하는 청년들에게는 기대고 싶은 교사이고 머무르고 싶은 안식처였다. 그는 차차 러시모어 마운틴의 '큰 바위 얼굴'을 닮아가고 있었다. 정의감에 없는 포용은 위선이거나 삿됨이지만, 그의 시침(時針)은 언제나 '참되자'는 지점을 가르키고 있었다. 

우리나라 옛 역사에는 소되사상(蘇塗思想)이 전한다. 고대국가 단계에서 제의의 하나로 출발했으나, <위지(魏志)>에 따르면 "소도에 참석한 사람은 설혹 도망자(죄수)라 하더라도 돌려보내지 않고 받아들였다"한다.(諸亡逃至基中 皆不還之…). 소도는 일종의 금기지역의 역할을 하였다. 고대 서양의 asylum과 같은 비슷한 일종의 신성지역을 일컫는다. (주석 2)
 
a

동학 2대 교주 최시형 피체지 길목에 세워진 추모비와 장일순 선생의 글. 장일순 선생의 모심 사상(밑으로 기어라) 은 동학의 한울님에 뿌리를 두고 있다. 동학 2대 교주 최시형 피체지 길목에 세워진 추모비와 장일순 선생의 글. 장일순 선생의 모심 사상(밑으로 기어라) 은 동학의 한울님에 뿌리를 두고 있다. ⓒ 최장문




뜬금없이 소도(사상)를 소개한 것은, 1970년대 유신의 광기가 휘몰아칠 때 그리고 1980년대 살육의 피바람이 거셀 때 원주 장일순의 집은 일종의 '소도'와 같은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다. 

집주인은 포도농사에서 얻은 돈으로 '피신자'들의 도피자금을 대주고, 안주인은 텃밭에 심은 채소와 야산의 산나물을 뜯어다 굶주린 자들의 허기를 채워주었다. 그리고 다소 어눌하지만 진정어린 언어로 시대를 진단하고 미래상을 제시하였다. 

그러다보니 유신시대 권력에 쫓기는 자들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흔들리는 지식인들도 그의 문전을 찾는 사람이 많아졌다. 5공시절에는 군사령관, 지방경찰 책임자들도 연말연시면 찾아와 인사를 하였다. 이런 비화가 전한다.

천일공사(天日公事), 중앙정보부 원주지점이 바깥으로 내걸었던 이름이다. 그 천일공사 사장이 아침에 출근하면 제일 먼저 하는 일이 있었으니, 지학순과 장일순 사진을 보고 절을 하는 일이었다고 한다. 그 두 사람이 조용하면 원주가 조용하기 때문이었다나! (주석 3)
 
a

최시형 추모비 건립 당시의 장일순 선생 최시형 추모비 건립 당시의 장일순 선생 ⓒ 모심과 살림 연구소




장일순의 방에는 언제부터였는지 손때묻은 동학의 <동경대전>을 비롯하여 2세교조 해월 최시형의 문집과 노자(老子)의 <도덕경>이 놓여 있었다. 장일순과 긴 시간 '노자'를 논한 이현주 목사는 짧은 문장으로 장일순 사유의 세계를 짚었다.  

 도가의 관 쓰고 유가의 신발 신고 불가의 옷 걸치니,
 세 집안이 모여 한 집안을 이루었도다.

 道冠儒履佛袈裟 도관유이불가사
 會成三家作一家 회성삼가작일가.
(주석 4)

동학에 심취하고 2세교조 해월 최시형의 사상을 접하게 된 배경은 뒤에 별도로 쓰기로 한다. 

주석
1> 이창언, 앞의 책, 26쪽.
2> 김삼웅, <한국민주사상의 탐구>, 119쪽, 일월서각, 1985. 
3> 최성현, 앞의 책, 149쪽.
4> 이현주,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이야기>, 8쪽, 2004(초판4쇄), 삼인.

 
덧붙이는 글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위당 장일순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장일순 #지학순 #유신시대 #간디 #비노바 바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이 기자의 최신기사 언론인 송건호와 학문적 동반

AD

AD

AD

인기기사

  1. 1 타이어 교체하다, 대한민국의 장래가 걱정됐다
  2. 2 "김건희 여사 접견 대기자들, 명품백 들고 서 있었다"
  3. 3 유시춘 탈탈 턴 고양지청의 경악할 특활비 오남용 실체
  4. 4 제대로 수사하면 대통령직 위험... 채 상병 사건 10가지 의문
  5. 5 윤 대통령이 자화자찬 한 외교, 실상은 이렇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