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버들아, 어찌 이렇게 생겼단 말이냐?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서 만난 왕버들

등록 2011.07.03 10:20수정 2011.07.03 13:16
0
원고료로 응원
a

왕버들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충효동 왕버들 ⓒ 하주성


왕버들은 버드나무과에 속하는 갈잎 큰키나무이다. 이 나무의 원산지는 한국이며 일본, 대만, 중국에도 서식한다. 왕버들은 물속에서도 썩지 않는 나무로 유명하다. 나무의 키는 10~20m로 크게 자라며, 주로 습지나 냇가에서 자란다.

나무의 모양이 좋고 특히 진분홍색의 촛불 같은 새순이 올라올 때는 매우 아름다워, 도심지의 공원수나 가로수로도 아주 훌륭하다. 왕버들 나무의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거나 긴 타원 모양이며, 잎이 새로 돋을 때는 붉은 빛이 돈다. 암수가 딴 그루이고, 4월에 잎과 함께 꽃이 핀다.


a

왕버들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충효동 왕버들 ⓒ 하주성


a

왕버들 많은 사람들의 쉼터가 되어버린 왕버들 숲 ⓒ 하주성


광주호를 끼고 있는 마을 충효동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은 조선 정조 때 충효리에서 유래된 충효동이, 1957년 광주시에 편입되면서 리가 동으로 되었다. 그 후 1998년 9월 21일 행정동인 충효동(법정동 : 충효동, 덕의동, 금곡동) 청옥동(법정동 : 화암동, 청풍동, 망월동) 장운동(법정동 : 장등동, 운정동) 3동을 통ㆍ폐합하여 현 석곡동이 되었다.

이 충효동의 왕버들은 광주호 동쪽 제방과, 충효동 마을 사이의 도로가에서 자라고 있다. 원래는 일송일매오류(一松一梅五柳)라 하여 마을을 상징하던 소나무 한 그루와 버드나무 한 그루, 그리고 왕버들 다섯 그루가 있었으나 현재는 왕버들 세 그루만 남아있다.

a

줄기 원줄기의 둘레는 6m 가 넘는다 ⓒ 하주성


a

왕버들 그 생긴 형태가 각양각색이다. 흡사 혹부리라도 된 듯 ⓒ 하주성


a

왕버들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충효동 왕버들 ⓒ 하주성


충효동 일대는 임진왜란 이전에는 정자가 많이 있어, 주변 조경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현재 광주광역시 지정 기념물 제1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왕버들도, 그 때 심어졌던 것으로 추측된다. 세 그루의 나무 중 가장 큰 나무의 높이가 12m, 둘레가 6.3m이고, 작은 나무의 높이가 9m, 둘레가 6.25m로 세 그루가 고른 크기로 자라고 있다.

왕버들에 빠져버리다


지난 6월 18일, 전북 순창군과 전남 담양군을 답사하면서 들리게 된 광주호 일원. 길을 가다가보니 큰 나무들이 보인다. 앞을 보니 문화재 안내판이 서 있다. 어찌 그냥 지나칠 수가 있나. 차에서 내려 나무가 서 있는 곳으로 가다가 그만 입을 쩍 벌리고 말았다.

a

가지 멋대로 휘어나간 가지를 버팀목으로 고여 놓았다 ⓒ 하주성


a

가지 생긴 모습이 기기묘묘한 광주 충효동 왕버들 ⓒ 하주성


수령이 400여 년이 지난 것으로 추정되는 왕버들 세 그루가 자리를 하고 있다. 그런데 그 왕버들의 모습이 정말 장관이다. 가지가 늘어져 버팀기둥을 세웠으며, 나무의 밑동은 그야말로 혹부리라도 된 듯하다. 이런 나무가 세 그루가 있다는 것이 놀랍다. 나무 근처에는 사람들이 자리를 펴고 한낮의 더위를 피하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

가까이 다가가보니 그 모습이 가히 놀랍기만 하다. 세 그루의 나무 모두가 각각 나름대로의 장관을 연출한다. 안쪽의 나무 한 그루는 가지가 늘어져 땅에까지 닿고 있다. 그 나무 가지 밑으로 잠시 들어가 본다. 한 낮의 더위를 가시기에 충분한 그늘이 생겼다. 그렇게 그늘을 만들어 주고 있는 충효동 왕버들. 모두 다섯 그루가 있었다는 왕버들의 두 나무는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남아있는 왕버들 나무의 모습으로 보아,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고사한 것은 아닌 듯하다.

a

가지 끝 가지는 땅에 닿아있다 ⓒ 하주성


기기묘묘한 형태를 자랑하는 충효동 왕버들나무. 그동안 많은 나무들을 보아 온 나로서도 이런 나무를 보기란 흔치가 않다. 어찌 이리 제 멋대로 생긴 것일까? 시간이 없어 빨리 돌아가야 한다는 동행자의 재촉도 나에게는 들리지 않는다. 조금이라도 더 그 나무에 손을 대고 있고 싶은 것은, 오랜 세월을 지내 온 왕버들의 이야기가 듣고 싶어서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왕버들 #광주광역시 북구 #기념물 #수령 400년 #기묘한 모습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 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3. 3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4. 4 대통령 온다고 수억 쏟아붓고 다시 뜯어낸 바닥, 이게 관행?
  5. 5 나의 60대에는 그 무엇보다 이걸 원한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