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8월 24일 신경호 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은 ‘9월 4일 공교육 멈춤의 날’에 교사들이 학교를 지켜달라고 호소문을 보냈다.
▲ 신경호 교육감 호소문 지난 8월 24일 신경호 강원특별자치도교육감은 ‘9월 4일 공교육 멈춤의 날’에 교사들이 학교를 지켜달라고 호소문을 보냈다.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관련사진보기

    
서이초 교사의 49재를 맞아 전국의 교사들이 9월 4일 '공교육멈춤의날'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강원도에서는 휴업하는 학교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사들 사이에선 그 배경에 교육감 명의의 호소문이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신경호 강원특별자치도 교육감은 지난 8월 24일 '교권은 교육의 멈춤이 아니라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교실을 떠나지 않는 의연함 속에서 지켜진다'는 주장을 담은 호소문을 발표한 바 있다. 

8월 31일 기자와 한 통화에서 박세민 강원도교육청 대변인은 교사들이 "공교육 멈춤의 날'로 정한 9월 4일 임시 재량휴업일로 정한 도내 학교가 한 곳도 없다"고 밝혔다.

'임시 재량휴업일 지정 학교가 0'이라는 결과가 교육감 호소문 때문이 아니냐는 기자 질문에 교육청 대변인은 '학교 현장의 자율성'을 강조했다. 그는 "학교 현장이… 압력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학교 자체적으로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그런 문화가 굉장히 잘 돼 있다"라면서 "학교 현장의 자율성을 간과하는" 이야기라고 반박했다.

또한, 도 교육청과 학교 홈페이지에 띄워 놓은 교육감 호소문 '팝업창'과 관련해서는 "전례에 따라서 그렇게 하는 거지 이번 사안을 특정해서 어떤 강압적인 메시지를 주기 위해서 그런 건 아니"라고 했다. 대변인은 "(호소문에서 교육감이) 공감한다 말씀하셨고 공감하는 내용이 주였다"라면서, "강압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저희 입장에서는 대단히 노력했다"고 거듭 이야기했다.

하지만, 학교 현장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교사들은 교육부의 강경한 태도와 신경호 교육감의 호소문을 포함한 일련의 행보가 영향을 주었다는 의견을 밝혔다.

초등학교 교사 A는 "추모 집회를 '불법 행동'이라고 규정한 교육부를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교권 보호에 앞장서겠다는 교육감이 사실상 집회 참석을 막는 호소문을 보낸 것에 화가 난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고등학교 교사 B는 "임시 휴업일 지정을 바랐으나, 교육감 호소문에 부담을 느껴서 말을 꺼내기가 조심스럽다"라고 했다. 교육감 호소문이 부담을 주었느냐는 기자 질문에 B 교사는 "분명히 압력으로 느꼈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학교 교사인 C는 "지지는 못해줄망정, 호소문을 보내 참여를 막는 것이 말이 되느냐?"라고 되물었다.

신경호 교육감은 지난 8월 24일 업무용 메신저를 통해 <9월 4일 공교육 멈춤의 날 선생님께 드리는 호소문>을 모든 교직원에게 보냈다. 제목은 "선생님, 학교를 지켜주십시오.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이 교권 보호에 앞장서겠습니다"였다.

호소문은 "전국 교육청에서 최초로 추모 공간을 마련"했으며, '7개 교직원 단체 및 노조'에게 "우리 교육가족 모두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마련하자고 제안"했다는 내용으로 시작했다. '학교현장지원 강화를 위한 TF팀' 구성도 언급했다.

이어서 교육부를 포함한 국회 등 "대한민국 사회 전반이… 선생님, … 아이들이 미래를 걱정하며 시급히 대안을 마련하자고 힘을 보태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경호 교육감은 <호소문>에서 교사들이 흘리는 눈물에 "공감"한다고 했다. "코로나19 때에도 수업을 이어가셨던 선생님들께서 9월 4일 '공교육 멈춤의 날'을 준비하시겠습니까?"라면서도, 6문단에 불과한 호소문 가운데 마지막 두 문단에 걸쳐 '학교를 지켜달라'고 요구했다.

"교권은 교육의 멈춤이 아니라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교실을 떠나지 않는 의연함 속에서 지켜진다"면서, "강원도에서 선생님의 하루 빈자리"가 학생과 보호자에게 커다란 '혼란'과 '불편'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서 "헌법이 보장하는 아이들의 교육받을 권리와 공교육의 책무를 다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호소문 마지막은 "선생님만을 바라보는 아이들의 곁을 지켜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라는 문장으로 마무리했다.

교육감은 8월 30일 지역 언론과 만난 자리에서도 교사들이 '공직자'임을 강조하며, "학생들의 학습권을 포기할 수 없다"라고 호소문에서 밝힌 주장을 반복했다.

임시 휴업일 지정 0곳, 이게 '자율적인 결정'일까 
  
전교조 강원지부가 8월 31일 신경호 교육감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제목은 <9.4 재량휴업일 예정학교 취소 종용, 징계 겁박 신경호교육감 규탄한다!>이었다.
▲ 전교조 강원지부의 신경호 교육감 규탄 성명 전교조 강원지부가 8월 31일 신경호 교육감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제목은 <9.4 재량휴업일 예정학교 취소 종용, 징계 겁박 신경호교육감 규탄한다!>이었다.
ⓒ 전교조 강원지부

관련사진보기

 
이에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강원지부는 8월 31일 신경호 교육감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서에서 전교조는 "49재 추모를 방해하고 학교 공동체의 결정과 학교의 재량을 탄압하는 신경호교육감을 규탄한다"라고 밝혔다.

전교조는 "학교 공동체의 논의와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통해 9월 4일을 학교장재량휴업일을 지정하기로 결정하였으나, 결국은 학교장이 … 심의 결과를 뒤집는 일"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전교조 강원지부는 ▲ 9월 4일 49재 추모 보장, ▲ 학교장재량휴업일 보장 ▲ 교사 휴가권 보장 ▲ 서이초 49재 추모 방해 신경호교육감 사과 등 네 가지를 요구했다.
누리꾼과 함께하는 팩트체크 :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아래 6단계 이미지를 클릭시 피노키오 지수가 올라갑니다.
17
0
0
0
0
0

태그:#서이초 교사 추모, #9월 4일 공교육 멈춤의 날, #임시 재량 휴업일, #신경호 교육감, #호소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육과 사회의 배치를 바꾸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