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국 교사들이 쓰는 학교 컴퓨터에 떠 있는 '대통령 서한문'.
 전국 교사들이 쓰는 학교 컴퓨터에 떠 있는 '대통령 서한문'.
ⓒ 교육언론창

관련사진보기


전국 초중고 학교시스템(교육행정정보시스템) 화면에 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의 '스승의 날' 서한문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따뜻한 말씀으로 격려해주셨던 선생님, 회초리를 들고 꾸짖어주셨던 선생님, 얼굴이 떠오른다. 제게 사람을 대하는 자세를 가르쳐주셨고..."란 내용에서 '회초리' 부분에 대해 시대에 맞지 않는 표현이란 비판 의견이 나오는 반면, 비유적인 표현일 뿐이란 의견도 나오고 있다.

지난 15일, 윤석열 대통령은 스승의 날 서한문에서 "나이가 들수록 어린 시절 저를 길러주신 선생님들이 많이 생각난다"면서 "따뜻한 마음으로 격려해주셨던 선생님, 회초리를 들고 꾸짖어주셨던 선생님, 한 분 한 분의 얼굴이 떠오른다"고 밝혔다.

이어 윤 대통령은 "제게 사람을 대하는 자세를 가르쳐주셨고, 나라에 대한 애국심을 길러주셨고,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심어주셨다"면서 "그 고마우신 선생님들이 계시지 않았다면 오늘의 저도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윤 대통령의 서한문은 16일 현재, 전국 교원들이 보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첫 화면에 '팝업창'으로 걸려 있다.

이에 대해 윤명화 서울시교육청 학생인권위원장은 교육언론[창]에 "'스승의 날 편지' 가운데 '회초리' 운운은 퇴행적인 사고를 보여주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면서 "학생인권조례 제안은 체벌문제가 시작이었고 학교안의 체벌을 금지하려는 노력으로 조례제정이 시작됐는데, 학생인권조례 폐지 논란이 한창인 이 때, 대통령이 '회초리' 운운한 것에 화가 난다"고 말했다.

반면, 또 다른 교육계 인사는 "회초리란 표현은 지금도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비유적인 표현이며, 대통령이 '회초리 선생님'을 칭송한 것도 아닌 것으로 보인다"면서 "윤 대통령이 '스승의 날'을 맞아 자신이 경험한 스승들에 대한 고마움을 나타내고, 대한민국 선생님들을 격려하려는 편지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정혜영 서울교사노조 대변인은 교육언론[창]에 "편지 속 '회초리' 표현은 비유로도 볼 수 있지만, 굳이 교사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시대에 맞지 않는 교육방법인 '회초리 선생님'을 언급할 필요가 있었나 하는 의문이 생긴다"면서 "지금 학교엔 회초리 체벌은 사라진 지 오래다. 이런 점에서 대통령이 학교 현장을 잘 모르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교육전문언론 교육언론[창](www.educhang.co.kr)에서 제공한 것입니다.


태그:#회초리, #대통령 서한문, #교육언론창 윤근혁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언론다운 언론, 교육다운 교육 교육언론 독립선언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