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기술 및 지자체로 보건복지부가 선정한 결과.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기술 및 지자체로 보건복지부가 선정한 결과.
ⓒ 보건복지부

관련사진보기

 
돌봄로봇, 디지털 기술, 인공지능(AI) 등 혁신기술이 결합된 사회서비스를 지역에서 제공하도록 지원해 기술의 실증과 상용화를 유도하고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추진되는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에 참여할 6개 복지기술과 이를 활용할 5개 지자체가 선정됐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16일 "사회서비스에 혁신기술을 활용해 서비스의 가치를 높여(Value-up) 나가겠다"면서 "2024년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에 참여할 복지기술과 사업을 수행할 지역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복지부는 "최종 선정된 6개 기업에는 보유한 기술, 제품이 결합된 사회서비스를 지역 주민에 시범 제공할 수 있는 기회와 함께 과제당 1억~2억 원의 지원이 이루어진다"면서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로 ▲강원 홍천군 ▲경북 안동시 ▲충남 당진시 ▲충남 금산군 ▲경기 동두천시 등 5개 지역을 선정했다고 알렸다. 

복지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입증한 기업에는 상용화 및 판로개척 등에 활용 가능한 실증결과 확인서가 제공되며, 실증을 거친 서비스 모델은 별도 절차를 거쳐 지역사회서비스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서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은 지역주민에 혁신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시범사업에 활용될 복지기술
 시범사업에 활용될 복지기술
ⓒ 보건복지부

관련사진보기

 
그동안 사회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제공방식을 효율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복지기술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나 취약계층을 주 대상으로 하는 복지기술의 특성상 개발된 기술의 활용을 위한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12월 '제1차 사회서비스 기본계획(2024-2028)'을 통해 복지기술과 관련된 연구, 개발을 확대함과 동시에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현장 실증과 활용을 지원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지난 2월 시범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복지기술 보유기업을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한 결과, 총 65개의 기업이 참여를 희망했다. 이후 2차례의 기술 심사와 지방자치단체 모집을 거쳐 6개의 복지기술과 이를 활용할 5개 지역이 최종 선정됐다. 사업은 매칭된 지역과 기업 간의 협약 체결 및 세부 사업계획 수립을 거쳐 6월부터 본격 추진된다. 

김현준 인구정책실장은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은 민간의 창의적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이용자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서비스 제공방식의 효율성을 높여 서비스 제공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면서 "정부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으로 복지기술 실증과 상용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시범사업에 활용될 복지기술
 시범사업에 활용될 복지기술
ⓒ 보건복지부

관련사진보기


태그:#보건복지부, #스마트사회서비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