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명 앞에 숲이 있었고 문명 뒤에 사막이 남는다"라는 말은 꽤 알려져 있다. 프랑스 문호이자 외교관이었던 샤토 브리앙이 한 말이다. 인류 문명 발생 이후 지구 산림의 반이 사라졌다고 한다. 2020년 세계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지구 산림 면적은 40억ha 정도다. 원래 지구에는 80억ha의 숲이 있었다고 볼 수 있겠다.

지구의 나이는 45억년이라고 한다. 지구 초기 대기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이 살기 적합하지 않았다. 이산화탄소가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인류가 지구에서 살 수 있게 된 건 식물 덕택이다. 식물이 이산화탄소, 물, 햇빛을 가지고 광합성이란 걸 하면서 대기 중에 산소를 공급했기 때문이다. 그 식물의 대표가 나무고 나무들이 모여 있는 게 숲이다.

숲은 문명 성쇠를 함께했다. 나무는 문명을 지탱하는 기반이었다. 사회를 움직이는 건축, 제조, 연료는 나무였다. 통치자에게 숲을 이용하고 통제하는 기술은 꼭 필요한 자질이었다. 이에 성공한 문명은 융성했고 그렇지 못한 문명은 멸망했다.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이집트, 황허 인류 4대 문명과 그리스 로마의 흥망은 이를 보여주는 교과서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치산(治山)'은 왕의 중요한 덕목이었다. 하지만 숲은 유한한 자원이다. 적어도 통일신라 때부터 인구가 늘고 숲은 꾸준히 줄었다. 17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찾아온 '소빙기'는 온돌 보급을 대폭 증가시켰고 숲은 빠르게 줄었다. 조선 후기, 사회 기강이 문란해지고 왕이 '치산'을 할 수 없게 되자 숲은 황폐해졌다. 이런 황폐화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1960년대까지 이어졌고 우리의 숲에는 나무는 없고 흙만 보였다.

1967년 농림부의 산림국이 산림청이 되었다. 1973년까지 1차, 1987년까지 2차 치산녹화가 진행되었다. 'K-산림정책'은 효과가 있었다. 300년이 넘는 산림 황폐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 냈다고 볼 수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1953년부터 2022년까지 인구는 2배, 국민소득은 540배 늘었다. 나무도 거의 30배 늘었다. 우리는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이 된 유일한 나라다. 황폐한 지경에서 '산림 전환'을 이룬 첫 번째 나라다.

하지만 우리 숲의 미래를 보면 장밋빛이 아니다. 1987년 2차 산림녹화가 끝나고 1988년 산림 예산이 20분의 1로 줄었다. 이제 이만하면 되었다고 안심했던 모양이다. 숲의 공익가치는 259조이고 국내 GDP의 13.3%에 해당한다. 국토의 63%는 산림이다. 산림청의 예산은 전체 예산의 0.4%다. 한때 한해 47만ha까지 나무를 심었는데 이제는 2만ha도 심지 못한다. 2020년 기준 10~20년생 이하가 거의 없다.

우리 숲이 늙어 가고 있다. 나이든 나무는 많은데 젊은 나무가 적다. 고령화는 인간 사회 뿐 아니라 나무 사회에서도 이슈다. 어떤 생태계든 균형을 잃는다는 건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걸 의미한다. 우리는 '정이품송' 편견을 갖고 있는 듯하다. 나무라면 정이품송처럼 몇 백 년은 되어야 하고 그래야 가치가 있다고 말이다. 비과학적 사고라 할 수 있다. 나무는 자라서 제 나이에 그 가치를 갖는다. 사정에 따라 50~60년 이거나 70~80년 일 수도 있다.

숲은 많을 쓸모를 가지고 있다. 인류의 생존에 필요한 것들이다. 기후 위기 시대, 탄소저장은 많은 쓸모 중에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청년 숲이 없는 우리 숲은 1998년부터 탄소흡수량이 정체였다. 2008년부터는 감소하고 있다. 숲은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31%를 흡수한다. 2021년 EU는 이 비중을 2050년까지 10% 더 늘리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우리는 이대로라면 현재 수준에서 10% 더 감소할지 모른다.

교육은 '백년대계'라 말한다. 아이들은 더디 자란다. 하지만 자란 아이들이 다음 세대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책임을 진다. 사회의 동량이 된다. 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백년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세워야 하는 이유다. 우리 숲도 마찬가지다. 생태계의 안위와 지속가능을 위해 '대한민국 숲, 미래 100년', 백년대계를 세워야 할 때다.

태그:#샤토브리앙, #치산녹화, #산림청, #이산화탄소흡수, #백년대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기후 숲 생태 전문 미디어 '플래닛03' 편집인

이 기자의 최신기사기후 위기와 지방정부의 역할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