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수원시가 20년 후 미래 수원의 청사진인 '2030 수원도시기본계획'을 시민들과 함께 재정비하고, 구상 단계에서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에 주민들이 참여하는 시민 계획단 제도의 전국최초 도입과 '버튼식 투표방식' 채택, 그리고 인터넷 생중계 등을 도입키로 했다.

수원시는 2030년 미래 도시 밑그림이 될 '2030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 시민계획단 운영 ▲ 버튼식 투표방식 및 인터넷 생중계 ▲ 시민설문조사 및 정책제안 접수 등으로 기존의 행정중심에서 벗어나 시민참여형으로 대폭 확대, 실시하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수원시의 미래는 시민의 다양한 생각으로 계획하고 시민의 손으로 만들어간다'는 취지로 마련된 시민참여형 도시계획단은 총 120명으로 구성될 계획이며, 전문가, 주민, 기업체 및 자영업자, 사회적 약자, 학생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할 수 있으며 시 홈페이지와 동주민센터, 그리고 이메일(suwonupd@korea.kr) 등으로 통해 오는 2월 6일까지 공개모집한다.

시민계획단은 2030수원도시기본계획안이 확정되는 올 7월까지 운영되며 월 2회 회의에 참석하며, 적극적 참여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주요의사결정시 '버튼식 투표방식'으로 채택되며, 최종 총괄회의 내용은 모든 시민들에게 공개하기 위해 수원 iTV를 통해 인터넷 생중계할 예정이다.

또한 수원시는 2030년 수원의 밑그림을 그리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민설문조사와 인터넷을 통한 정책제안제도도 병행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중순까지 한 차례 수원시민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있으며, 올해 기본계획 수립 전까지 추가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시민들의 설문조사와 정책제안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시 홈페이지 뿐만 아니라 민원이 자주 방문하는 시청과 구청 종합민원실에 조사원을 배치하고, 주민자치센터를 통해 반상회 등 각종 회의를 통해 설문조사와 시민정책제안을 확대할 계획이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그동안 도시계획은 행정기관 주도의 수립으로 인해 시민공감의 부족 등으로 사업추진시 많은 민원발생으로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한 것이 사실"이라며 "전국최초로 도시기본계획수립단계부터 시민계획단 제도의 도입과 동시에 '버튼식 투표방식' 채택, 그리고 인터넷 생중계를 통해 시민들의 지혜와 힘을 적극 반영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혔다.

한편, 2030 도시기본계획은 2020 기본계획을 토대로 경기도의 장기비전 종합계획을 반영하고, 도시의 물적ㆍ공간적 측면 뿐 아니라 환경ㆍ사회ㆍ경제적인 면을 모두 포괄해 주민생활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20년 장기계획으로, 휴먼도시 조성을 위한 기본 인프라 구축 등 도시의 미래상과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이다.

덧붙이는 글 | 김타균 기자는 수원시 정책홍보전문위원입니다.



태그:#수원시, #도시기본계획, #염태영, #시민참여도시계획, #2030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