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디에스(DS)부문 수장을 전격 교체했다. 최근 반도체 실적 부진 등에 따른 사실상 경질이라는 시각이 많다. 삼성 위기설과 함께, 이재용 회장의 리더십 부재까지 거론되는 상황에서 향후 삼성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21일 전영현 미래사업기획단장(부회장)을 DS부문장(사장)에 위촉한다고 밝혔다. 기존 경계현 DS 부문장은 미래사업기획단장으로 옮긴다. 삼성전자쪽은 이날 "이번 인사는 불확실한 글로벌 경영 환경 아래에서 대내외 분위기를 일신해 반도체의 미래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조처"라고 밝혔다.

반도체 실적 부진에 따른 사실상 경질... '올드보이의 귀환'
 
삼성전자는 21일 미래사업기획단장 전영현 부회장을 DS부문장에 위촉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1일 미래사업기획단장 전영현 부회장을 DS부문장에 위촉했다고 밝혔다.
ⓒ 삼성전자

관련사진보기

 
  새롭게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맡게된 전영현 부회장은 지난 2000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로 입사해 디램(DRAM)·낸드플래시 개발, 전략 마케팅 업무 등을 했었다. 이후 지난 2014년부터 메모리 사업부장을 역임했고, 이후 2017년 삼성에스디아이(SDI)에서 5년 동안 대표이사를 지냈다. 올해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으로 위촉된 후, 5개여월만에 반도체 수장을 다시 맡게 됐다.

회사쪽에서는 "신임 전영현 부회장은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와 배터리 사업을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성장시킨 주역"이라며 "그간 축적된 풍부한 경영노하우를 바탕으로 반도체 위기를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인사는 지난해 최악의 실적을 낸 반도체 부문에 대한 사실상 인사조치로 평가된다. 그동안 재계에서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 부문 파운드리 등에서 경쟁사인 대만 티에스엠씨(TSMC)와의 격차를 좁히지 못했다는 점과 인공지능(AI) 반도체의 핵심으로 꼽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에서 에스케이(SK) 하이닉스에게 시장 주도권을 빼앗겼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었다.

대만 TSMC, SK 하이닉스 등 경쟁사에 뒤쳐져... 이재용 리더십 도마위에
 
   이재용(삼성전자 회장). 2023년 3월 26일. 중국 텐진 사업장.
  이재용(삼성전자 회장). 2023년 3월 26일. 중국 텐진 사업장.
ⓒ 삼성뉴스룸 제공.

관련사진보기


이같은 상황에서 지난해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이 15조 원에 달하는 사상 최대의 적자를 기록했다. 물론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경기불황 등으로 인한 반도체와 휴대폰 등의 수요가 줄어든 측면도 있지만, 미래 먹거리 사업에 대한 선제적인 기술 투자와 경쟁사와의 격차를 줄이지 못한 것에 대한 우려가 컸다.

이에 글로벌 투자자와 시장에선 삼성 위기설이 흘러 나오기도 했다. 일부에선 이재용 삼성 회장의 리더십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대한 선제적인 투자 결정과 압도적인 기술력을 앞세워 시장을 선도했던 과거 이건희 선대 회장의 리더십과 비교됐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 삼성 내부 신상필벌의 인사 원칙도 흔들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경계현 사장의 사실상 경질과 함께 신임 전영현 부문장의 복귀 역시 '올드보이의 귀환'이라는 의견도 있다. 10여년 전 반도체 호황기 때와는 전혀 다른 인공지능시대의 고성능 신기술에 과연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HBM 반도체에서 SK 하이닉스에 뒤쳐져 있다. 올들어 뒤늦게 조직개편을 통해 HBM 전담 조직을 만들고, 차세대 HBM3E 12단 제품 개발에 착수한 상태다. 

이재용 회장을 둘러싼 사법 리스크도 여전한 가운데, 삼성전자가 인사쇄신을 통해 위기를 극복해 나갈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태그:#전영현미래사업기획단장, #경계현사장, #삼성위기설, #이재용리더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공황의 원인은 대중들이 경제를 너무 몰랐기 때문이다"(故 찰스 킨들버거 MIT경제학교수) 주로 경제 이야기를 다룹니다. 항상 배우고, 듣고, 생각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