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의도에는 50명 이상 못 들어간다"

[기름유출 현장] 태안군, 사고 초반 지원책마저 전면중단

검토 완료

정대희(kaos80)등록 2008.03.20 14:01
@IMG@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103일째를 맞은 태안. 섬 지역과 외진 지역을 중심으로 기름제거 복구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섬 지역의 방제를 위해 동원할 수 있는 하루 최대 인력이 50여 명인 것으로 밝혀져 도서 지역에 대한 방제계획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미처 제거하지 못한 섬 주변의 기름이 바다로 흘러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근 해변과 항·포구로 기름이 떠밀려 오는 2차 오염이 우려되고 있어 피해지역 주민들은 관계기관이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태안군 유인도의 대표격인 가의도에서는 아직도 사고 초반의 모습을 간직한 채 지역주민과 일부 자원봉사자만이 기름제거 복구작업을 하며 힘겨운 기름과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방제가 더뎌지면서 가의도가 입은 피해의 심각성이 여러 언론을 통해 알려졌지만 지금은 사고 초반 지원되던 유람선 유류비마저 끊긴 상태다.

여객선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유람선은 최대 400여 명이 승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유류비가 지원되지 않아 운행할 수 없다는 것이 관계자의 말이다. 따라서 현재 가의도 지역으로 자원봉사를 희망하더라도 여객선의 총 승선 인원인 50명을 넘을 수 없다.

@IMG@
또한, 50여명 이내의 자원봉사자들이 가의도로 가기를 원하더라도 하루 두 번 다니는 여객선 운항시간에 맞춰 오전 8시 30분 이내에 선착장에 도착해야만 승선을 할 수 있다. 만약 오전 배를 놓쳤을 경우에는 오후 4시 30분경에나 다음 여객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음날 오전 9시가 돼야만 다시 육지로 나올 수 있다.

따라서 기름제거 작업의 장기화로 인해 기업이나 단체 등의 참여도가 높아지고 있는 요즘 관광버스 서너 대에 해당하는 대규모 인원이 가의도에 배정될 확률은 낮다.

이러한 불편함과 제약이 뒤따르면서 가의도를 기름제거 복구작업 지역으로 희망하는 자원봉사자 수도 차츰 줄어 현재는 거의 전무한 상태다. 일부 자원봉사단체만이 자신들끼리 방제활동비를 거둬 유람선 이용료를 지불하고 가의도를 찾아 방제활동을 하는 실정이다.

가의도로 자원봉사를 희망해 다녀왔다던 김모씨는 "(가의도의 주민) 70명도 태안군민"이라며 "배값 때문에 봉사자가 못 가게 된다는 게 말이나 되냐"고 태안군청 홈페이지에 불만을 토로했다.

자원봉사자뿐만 아니라 피해주민들의 불만도 만만치 않다. 기름유출 사고로 인해 마땅한 돈벌이가 없어 기름제거 복구작업에 참여하고 인건비를 지급받아 생계를 이어왔지만 이마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가의도와 인접한 신진도 주민 200여명은 사고 발생 이후 지난 2월 12일까지 유람선을 이용해 가의도 방제작업에 참여하고 기름제거 복구작업 방제인건비를 청구할 수 있었으나 태안군이 유람선 운행에 필요한 유류비 지원을 전면중단하면서 사실상 방제구역을 할당받지 못해 이제는 방제인건비도 청구할 수 없게 됐다.

신진항 유람선 관계자는 "가의도를 비롯한 섬 지역의 방제작업을 위해 신진도 주민 200여명을 싣고 사고 이후 인근 도서 지역으로 지난달 12일까지 매일 같이 유람선을 운행했으나 군에서는 지난해 12월 유류비중 일부분만 지원했다"면서 "피해정도가 심각한 섬 지역의 방제작업을 위해서는 유류비만이라도 지원해주어야 유람선을 운행할 수 있지, 아무런 지원이 없다면 계속해서 빚만 쌓이게 되어 그럴 수도 없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IMG@

태안군의 도서지역 방제지원책 전면중단과 달리 보령시에서는 도서지역 방제를 위한 시예산 18억원을 긴급 투입해 섬 지역 방제작업에도 전력을 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령시 관계자에 따르면 사고 피해 발생 이후 시 예산 중 예비비 18억원을 도서 지역 방제활동비로 편성하고 섬 지역을 찾는 자원봉사자들의 물품과 유람선 유류비 등에 지원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해당면 관계자는 "사고 초반 군에서도 예비비를 편성하여 유람선 유류비 지원 등을 실시했지만 지난 2월 12일부로 지원이 전면중단 됐다"면서 "상급기관에 이러한 상황을 얘기했지만 아직까지 지원책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