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즈비언의 장례식은 레즈의 손으로!

마이 퍼스트 퓨너럴 스틸컷
마이 퍼스트 퓨너럴스틸컷이은혜

가까운 이의 죽음을 예비하여 미리 가상의 장례를 치러보는 다큐멘터리가 이제껏 여럿 나왔다. 개중 말기암 진단 뒤 제 죽음을 준비하는 스나다 마미의 2011년 작 <엔딩 노트>, 온갖 방식으로 아버지의 죽음을 재현한 뒤 가상의 장례식에 이르는 커스틴 존슨의 2020년 작 <딕 존슨이 죽었습니다>가 정점이라 할 수 있겠다. 자신과 가까운 이의 죽음을 다큐라는 형식으로 담아 세계적 화제가 됐으니 이후 등장한 비슷한 작품을 그 자장 아래 놓였다 해도 틀리지는 않을 테다.

한국에도 이와 같은 흐름이 없지는 않아서 근 몇 년 유사한 형식의 작품을 몇쯤 마주할 수 있었다. 제2회 반다페 선정작 <굿바이 트라우마, 우리들의 장례식 - 너에게 이름을 줄게>가 그랬고, 여기 이은혜의 <마이 퍼스트 퓨너럴>이 또한 그러하다.

아직 오지 않은 죽음을 진실로, 또 가상으로 준비한다는 점에서 앞의 작품들과 한 데 묶일 영화다. 그러나 그들과는 다른 삶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저만의 차별점 또한 가진다. 말하자면 주인공인 감독 자신이 저의 내밀한 삶을 얼마나 진솔하고 감각적으로 내보일 수 있는가에 영화의 가치가 달려 있었다 하겠다.

레즈비언, 그중에서도 정도가 센 축에 든다며 포문을 열어젖힌 영화다. '호모포비아가 준비한 레즈비언의 장례식'에 저를 놓아두고 싶지 않다는 감독은 직접 친구들과 제 장례식을 준비하기 시작한다. '사회는 성소수자와 여성의 불편함을 그저 개인의 일로 소모되고 사라지도록 열심히 포장해왔다'는 감독은 '아무도 소수자를 기억하지 않으려는 세상에서, 우리의 존재를 지워내려는 사회에서 할 수 있는 것이 기록을 남기는 일'이라는 일념 아래 영화를 찍기를 선택한다.

마이 퍼스트 퓨너럴 스틸컷
마이 퍼스트 퓨너럴스틸컷이은혜

환대받지 못하는 이들이 만든 스스로의 자리

이은혜 감독의 첫 연출작 <마이 퍼스트 퓨너럴>은 저 자신을 가장 잘 이해하는 이들이 정작 제 장례식에선 환대받지 못하리란 우려로부터 출발한다. 호모포비아의 예식 가운데 여성, 또 성소수자가 설 자리가 없다는 걸 보여준 뒤 성소수자가 직접 챙기는 장례식의 결행으로까지 이어진다. 성소수자가 놓인 차별이야 한국사회에서 수없이 다뤄져온, 그러나 여전히 유효한 영역이니 그대로 나름의 승부수가 될 수 있겠다.

시작은 역시 사회적 고리다. 한국에서 상주 역할을 할 수 없는 여성, 그중에서도 결혼해 배우자의 법적 지위를 가질 수 없는 레즈비언이 놓인 부조리한 상황을 영화는 인터뷰로써 드러낸다. 상주의 역할도, 상주의 정식 복장도, 또 운구도 거부당하기 일쑤인 이들의 이야기가 실제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는 날 것 그대로의 사실이란 게 아프게 전해진다.

이어 영화는 감독 자신이 직접 제 장례를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마치 청첩장을 돌리듯 친구 하나하나에게 장례식 초대장을 전하는 장면, 직접 장례를 준비하며 겪는 어려움을 토로하는 모습까지가 고스란히 이어붙어 마치 한 편의 장례식 메이킹필름을 보는 듯하다.

레즈비언의 장례를 이성애자들의 갇힌 시선 아래 두고 싶지 않다는 저항의 표출, 영화 내내 선명히 느껴지는 감상이 바로 이것이다.

마이 퍼스트 퓨너럴 스틸컷
마이 퍼스트 퓨너럴스틸컷이은혜

아쉬움과 가치의 선명한 교차

다만 아쉬운 점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레즈비언이 놓인 고난은 영화 내내 오로지 인터뷰로써 비친다. 제 장례식을 현실 장례가 치러지는 절차가 아닌 가상으로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부조리가 드러날 여지 또한 상당부분 상실된다.

무엇보다 장례 그 자체를 가까이서 비추지 않는단 건 아까운 대목이다. 편지를 읽는 친구들, 상주를 맡은 이들, 관 안에 누운 주인공 자신의 모습이 비치긴 하지만 거기까지다. 표출되는 감정을 넘어 그 목소리를, 뜻을, 의지를 생생히 전달할 장치를 감독은 얼마 고민하지 않은 듯하다. 여성과 레즈비언이 놓인 부조리함을 선명히 들추거나 전위적 저항에까지 이를 수 있는 순간이 없지 않았을 것이기에 차마 만족한다 평할 수가 없다.

다만 <마이 퍼스트 퓨너럴>의 가치는 기록할 만하다. 어째서 여성은 상주를 할 수 없는가. 왜 여성과 여성 간 가족관계는 맺어질 수 없는가. 인간이 제 본연의 모습으로 살아갈 자유를 국가며 낡은 문화가 가로막고 있는 오늘의 상황을 우리는 어찌하여 아직까지 그대로 놓아두고만 있는가. 충분히 가까이 다가서지 못한 카메라 너머로, 이 영화를 찍고 찍히기로 결정한 이들의 마음이 여실히 느껴지는 건 치이고 다치기만 해온 여린 사람들의 공감대가 분명한 힘을 발하고 있는 덕분일 테다.

그리하여 나는 <마이 퍼스트 퓨너럴>이 여전히 유효한 작품이라 적을 밖에 없다. 한국의 민망한 현실, 그 가운데 놓인 이들의 진심이 적어도 얼마쯤은 담겨 있는 때문이다.
덧붙이는 글 김성호 영화평론가의 브런치(https://brunch.co.kr/@goldstarsky)에도 함께 실립니다. '김성호의 씨네만세'를 검색하면 더 많은 글을 만날 수 있습니다. goldstarsky@naver.com
마이퍼스트퓨너럴 이은혜 다큐멘터리 퀴어 김성호의씨네만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작가.영화평론가.서평가.기자.3급항해사 / <자주 부끄럽고 가끔 행복했습니다> 저자 / 진지한 글 써봐야 알아보는 이 없으니 영화와 책 얘기나 실컷 해보련다. / 인스타 @blly_kim / GV, 강의, 기고청탁은 goldstarsky@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