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하이파이브> 장면(주)NEW
영춘(신구/진영)은 나이가 많은 사이비 교주다. 이미 많은 신도들을 거느리고, 부를 쌓았으며, 사회적 영향력도 갖춘 인물이다. 하지만 그는 젊어지고 싶다는 욕망을 버리지 못한다. 심장 이식을 계기로 초능력을 얻게 되자, 그는 다른 초능력자들의 능력을 흡수하고자 한다. 더 강해지고, 더 젊어지기 위해.
그의 욕망은 선을 넘는다. 딸과의 관계마저 무너뜨릴 정도로, 그는 모든 인간관계를 철저히 수단화한다. 하이파이브 멤버들을 철저히 깔보고, 조롱한다. 그는 권력자다. 그리고 자신이 무너질 리 없다고 믿는다. 하이파이브와의 대결은 그래서 흥미롭다. 순수한 욕망과 진심어린 연대가 부딪칠 때, 관객은 자연스레 후자에 응원을 보낸다.
영춘의 욕망은 단순한 악당의 클리셰가 아니라, 우리가 사회에서 자주 마주치는 탐욕의 얼굴이다. 나이를 먹어도 끝나지 않는 소유욕, 상대를 수단으로 여기는 방식, 그리고 거기서 오는 파괴. 이 영화는 초능력이라는 장치를 통해 욕망의 파괴력과 순수함의 회복력을 대비시킨다.
가볍게 볼 수 있는 소시민 히어로 영화
<하이파이브>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보통 사람들에게 초능력이 생겼을 때 벌어지는 일을 보여준다. 선과 악의 구도는 단순하지만, 그 단순함이 오히려 통쾌함을 준다. 평범한 이들이 결국 권력자를 이기는 설정은 고전적이지만, 여전히 유효하다. 그리고 이 설정이 가진 재미를 영화는 유쾌하게 잘 살려낸다. 특히나 사이비 교단의 일과 함께 그들의 활약을 보여주는데, 이미 사이비 교단에 세뇌된 평범한 사람들을 평범한 인물들이 구한다는 설정이 꽤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써니>를 연출한 강형철 감독의 연출은 이번에도 빛난다. 유쾌하고 통통 튀는 리듬감, 캐릭터들의 매력을 살리는 방식, 그리고 만화적인 설정을 자연스럽게 녹여낸 톤이 훌륭하다. CG는 다소 어색한 부분도 있지만, 이 장르의 특성상 수용 가능한 범위다. 가족 단위의 관객이 보기에도 부담이 없고, 후속편도 기대해볼 만한 영화다.
이 영화를 극장에서 봐야 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우선, 강형철 감독 특유의 리듬감 있는 연출 덕분이다. 그의 영화는 장면 하나하나가 박자처럼 흐른다. 캐릭터들이 서로 부딪히고, 대사를 주고받는 장면에선 웃음이 터지고, 액션이 펼쳐지는 순간엔 딱 만화책을 펼쳐본 듯한 쾌감이 있다. 이건 작은 화면보단, 제대로 된 사운드와 넓은 스크린에서 느껴야 더 짜릿하다. 무엇보다도 영화의 정서 자체가 유쾌하고 명랑해서, 관객이 많을수록 더 힘을 받는 영화다.
또 하나는, 배우들의 디테일한 표정과 리듬감 있는 몸짓 때문이다. 이재인 배우의 완서는 외로운 표정과 밝은 표정을 오가며 관객의 마음을 이끈다. 무엇보다 치사량의 귀여움이 영화 내내 분출된다. 그리고 박진영 배우가 연기하는 영춘은 과장된 듯하면서도 소름끼치는 욕망을 화면 가득 퍼뜨린다.
다른 하이파이브의 멤버인, 안재홍, 라미란, 김희원, 유아인의 연기도 흠잡을 곳 없이 자연스럽게 녹아있다. 그들의 감정이 그대로 잘 느껴진다. 그런 감정의 미세한 결들이 얼굴과 몸짓으로 살아있는 영화라, 집에서 보기엔 조금 아쉬울 수밖에 없다. <하이파이브>는 결국, 큰 화면에서 관객과 함께 웃고 몰입할수록 더 힘이 나는 영화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여러 영화와 시리즈가 담고 있는 감정과 생각을 전달합니다.
브런치 스토리와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서 영화에 대한 생각을 전달하고 있어요.
제가 쓰는 영화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저의 레빗구미 영화이야기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서 더 많은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같이 영화가 전달하는 감정과 생각을 나눠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