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계시록> 스틸컷
넷플릭스
연상호 감독의 영화 <계시록>은 사람들이 굳게 믿고 있는 '믿음'의 실체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비록 기독교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이는 특정 종교만의 병리 현상을 다루려는 영화는 아니다. 종교인이든 비종교인이든, 사람은 누구나 '믿음'과 '신념'을 가지고 산다. 그것은 불확실한 세계를 헤쳐 나가기 위한 나침반이자 삶의 동력이 되기도 한다.
문제는 그 믿음과 신념이 자기 자신에게는 성찰과 성장을, 타인에게는 공감과 연대를 가져오는 건강한 기반이 되는가, 아니면 혐오와 폭력, 광기를 낳는 도구로 작용하는가 이다.
영화 <계시록>은 표면적으로는 출소한 성범죄자 권양래(신민재 분)가 한 여중생 아영(김보민 분)을 납치한 사건을 둘러싼 범죄 추리극의 형식을 띤다. 권양래는 우연히 '사명의 나라 교회' 예배에 참석하고, 공교롭게도 그날 그 교회에 다니던 여중생 아영이 실종된다.
권양래는 험상궂은 외모 탓에 보는 이들로 하여금 직감적으로 '악마'처럼 느끼게 한다. 더욱이 그는 성범죄자로 전자발찌를 찬 사람이다. 반면 교회 목사인 성민찬(류준열 분)은 언뜻 착한 인상에 강한 책임감과 배려심, 사명감을 지닌 신실한 목회자처럼 보인다.
하지만 영화는 중후반부에 이르러 이 같은 선입견을 여지없이 무너뜨린다. 권양래는 악마가 아니었고, 성민찬은 천사 같은 사람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 영화는 우리가 흔히 빠져드는 선악의 이분법 자체가 얼마나 왜곡된 인식인지 드러낸다.
심지어 주요 등 인물 중에 성찰적이고 이성적인 인물로 보이는 형사 이연희(신현빈 분)마저, 환각에 이끌려 판단이 자꾸 흐려지는 모습이 보인다. 연희는 권양래의 강간 피해자이자 그 트라우마로 목숨을 끊은 이연주(현지연 분)의 언니다. 그런데 동생 환각에 시달려 복수심에 사로잡히다 보니 권양래의 본모습을 제대로 보지 못한다. 이는 인간의 불완전성과 나약함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다.
영화 속 이낙성 교수(정신과 전문의)는 "이 형사는 '자기 잘못', 목사 성민찬은 '신의 계시', 권양래는 '외눈박이 괴물'을 말하지만, 사실 이 셋은 같은 방식으로 사고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어 세 사람 모두 "비극의 원인을 하나의 뚜렷한 대상으로 몰아가려는 심리 상태에 빠져 있다"고 말한다. 깊이 헤아려볼 만한 통찰이다.
이 교수는 "세상의 비극은 대부분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복합적 원인에서 발생한다"며, "악마나 괴물 같은 존재는 인간이 이해와 통제를 위해 스스로 만들어낸 편의적 허구"라고 말한다.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분석이지만, 이를 받아들이는 것은 쉽지 않다. 자기 신념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어야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서로를 악마화하는 이들
▲<계시록> 스틸컷넷플릭스
건강한 믿음과 신념은 삶의 원동력과 버팀목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그것이 지나치거나 왜곡되면, 자신과 다르다는 이유로 타인을 악마화하고 수많은 희생을 낳을 수 있다. 중세 유럽의 마녀사냥, 미국의 매카시즘, 한국의 '빨갱이 사냥'은 대표적인 그 광기의 역사적 사례다.
조금만 생각해 보면 세상은 선과 악으로 칼로 무 자르듯 나뉘지 않는다.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아도 온갖 모순과 복잡한 생각들이 얽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우리와 그들", "선과 악"이라는 이분법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단순화하고, 그러한 믿음에 갇혀 살아가곤 한다. 이는 비판적 성찰보다 선동과 맹목에 더 쉽게 동조하는 인간의 심리적 경향에서 비롯한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인상 깊다. 성민찬 목사는 감방의 벽면 얼룩에서 예수의 얼굴을 본다. 과거 같았으면 그는 그 얼굴에서 신성한 신의 계시를 느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이번에는 눈물을 흘리며 그 얼룩을 걸레로 닦기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예수 얼굴은 점점 일그러지고, 마침내 악마의 형상으로 바뀐다.
이 장면은 예수든 악마든, 결국 그것이 자신의 마음속에서 만들어낸 허상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저 벽의 '얼룩'이었을 뿐이다. 민찬은 '없는 데서 뭔가를 본다'는 심리가 강한 사람(Apophainein)이다. 그러나 마지막엔 그 허상을 지우려 애쓰는 모습을 통해, 스스로의 상태를 어느 정도 자각했음을 암시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여수솔샘교회 목사입니다. '정의와 평화가 입맞추는 세상' 함께 꿈꾸며 이루어 가기 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