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에밀리아 페레즈> 스틸컷
영화 <에밀리아 페레즈> 스틸컷그린나래미디어(주)

(*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화 <에밀리아 페레즈>는 여자로 다시 태어나고 싶은 멕시코 마약왕 후안 마니타스 델 몬테(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의 이야기를 다룬다. 아내 제시(셀레나 고메즈), 변호사 리타(조이 샐다나)등 영화에 등장하는 세 여성은 각자의 자유를 향한 욕망을 드러낸다.

독특한 뮤지컬 형식의 자유분방함은 영화의 주제와 맞닿아 있다. 자크 오디아르 감독은 6년 전 보리스 라종의 소설을 잃다가 수술을 원하는 트랜스젠더 마약상을 끄집어내어 장편 시나리오를 완성했다. 누아르, 멜로드라마, 뮤지컬, 텔레노벨라 등의 장르를 섞어 풍요로운 캐릭터를 만들었다.

전형적인 뮤지컬과 다르고 경험해 본 적 없는 뮤지컬 영화다. 심각한 내용이지만 엇박자의 비트와 역동적인 춤사위는 마음먹은 대로 흘러가지 않는 인생과 닮았다. 음악은 적재적소 타이밍에 밀물처럼 들어왔다가 썰물처럼 빠져나간다. 몸의 언어로 승화된 안무는 자연스럽게 관객에게 말을 건다.

모든 것의 중심에 에밀리아가 있다. 그는 실제 트랜스젠더 배우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이 연기했다. 스토리텔링과 캐릭터라이징의 조합이 이끌어낸 완벽한 사례다. 마치 자전적인 소재를 영화로 만든 것처럼 성전환 후 삶의 변화가 그대로 영화 속에 투영됐다.

조이 샐다나의 연기, 노래, 춤 실력을 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하다. 영화 <아바타>의 '네이티리',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가모라' 등 주로 외계인을 맡아 독특한 필모그래피를 쌓아왔던 조이 샐다나는 물 만난 고기처럼 펄떡인다. 자신을 괴롭혔던 난독증과 불안증을 이겨내고 혼신의 연기를 펼쳐 낸다. 이를 인정받아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세 여성의 욕망 분출과 시너지

 영화 <에밀리아 페레즈> 스틸컷
영화 <에밀리아 페레즈> 스틸컷그린나래미디어(주)

리타는 변호사지만 직업윤리와 급여 사이에서 갈등한다. 그는 범죄자의 변호를 맡아 구제해 주는 일에 흥미를 잃어버린 지 오래다. 돈이라도 벌 수 있어 겨우 붙어 있었지만 무시당하는 상황이 잦아져 고민에 빠져 있다. 그때 델 몬테가 거액의 돈을 제시하며 자신의 성전환을 조력해 달라고 요청한다.

제시는 남편과 불같은 사랑이 식어 버린 지 오래였다. 무섭기도 했고 지루하기도 했다. 하지만 어마어마한 권력과 힘을 가진 남편의 굴레에 벗어나지 못해 불만이었다. 결국 정부를 만들어 관계를 이어갔다. 자신도 모른 채 커진 몰래 한 사랑은 남편이 사라진 후 마음대로 할 수 있어 외려 즐거운 상태다. 하지만 모든 사실을 알게 된 옛 남편이자 현 고모 아멜리아가 제시의 경제적 지원을 끊어버려, 갈등이 고조된다.

에밀리아는 태어날 때부터 강요된 남성성과 과잉 폭력, 범죄에 노출된 채 살았다. 동성애자 아들보다 차라리 범죄자가 되길 바라는 완고한 부모 밑에서 자랐다. 결혼해 아내와 두 아들을 거느린 가장이자, 갱단의 악명 높은 보스가 됐지만 돌연 모든 것을 내버리고 진짜 삶을 찾아 종적을 감춘다.

성전환 수술에 앞서 의사는 '성형수술 말고 생각을 바꾸라'고 조언한다. 본성은 바뀌지 않는 진실이라는 뜻이다. 몸을 바꾼다고 진짜가 되는 게 아니며, 여자의 몸을 가진 남자의 내면으로 더 괴로워질 수 있다는 경고였다. 하나의 몸에 두 욕망이 득실거리니 문제가 생기지 않는 게 이상하다는 조언이다.

이에 에밀리아는 리타의 입을 빌려 "사회적 인식 즉, 생각이 바뀌면 모든 게 변하지만, 몸을 바꿔야 생각이 바뀐다. 생각이 바뀌면 사회가 바뀌니, 일단 몸을 바꾸고 싶다"고 주장한다. 주변의 만류에도 결국 에밀리아가 됐지만, 여전히 마음은 델 몬테라였다. 여기서 문제가 생긴다. 동시에 이는 영화의 복선처럼 작용해 결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는 성전환 수술 후 향수병에 시달리다 델 몬테의 고모 에밀리아가 되어 멕시코로 돌아온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두 아이를 극진히 살피며 제2의 인생을 꿈꿨지만 상황은 뜻대로 흘러가지 않았다.

과거가 카르마

 영화 <에밀리아 페레즈> 스틸컷
영화 <에밀리아 페레즈> 스틸컷그린나래미디어(주)

안타깝게도 <에밀리아 페레즈>는 완성도와는 별개로 외적인 논란이 생겨 몰입을 방해한다. 프랑스인이 자크 오디아르 감독이 멕시코 역사와 문화를 그저 대상화하기 바빴다는 비판과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의 언행을 피하기엔 쉽지 않아 보인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로 반드시 작용하는 인과응보 루틴이 영화의 연장선 같다.

그럼에도 영화 속 에밀리아는 끝내 성녀가 된다. 온갖 속박을 벗어던지고, 새장을 탈출해 비로소 자유를 얻는다. 남자로 태어나 여자가 되었고 여성으로 성장해 정점에 올랐다.

그러나 과거가 부메랑으로 되돌아오면서 무너졌다. 필모그래피의 정점에서 한순간에 무너진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의 실제 삶과 겹친다. 마치 성별을 바꾼 후 새로운 인생의 반짝임을 잠시나마 누렸던 에밀리아와 평행이론 인생이다. 과거에 무엇을 했건 돌고 돌아 현재의 업보가 되어 자신을 덮쳐버린 결과다. 새삼 말과 행동의 무게를 되돌아보게 한다.
에밀리아페레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보고 쓰고, 읽고 쓰고, 듣고 씁니다. https://brunch.co.kr/@doona9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