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연극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살다 보면 기쁨도 있고 화도 나고 때로는 슬픔도 겪는 게 인생이지만 그중 가장 오래가는 감정은 슬픔이 아닐까 한다. 가까운 사람 또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나면 한동안 아무것도 할 수가 없게 된다. 그저 창밖을 멍하니 바라보며 이런 후회를 할 뿐이다. '살아 있을 때 한 마디라도 더 나눌걸, 그때 내가 따뜻한 말 한마디라도 더 해주었으면 좋았을 텐데......' 그런데 그런 바람을 이룰 수 있는 곳이 바로 연극이다.
죽은 사람과도 자유롭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건 연극을 만드는 작가나 연출가, 배우들이 가진 특권인 것이다. '2024 창작산실 올해의신작'으로 무대에 올린 배해률 작가·윤혜진 연출의 연극 <목련풍선>은 이런 따뜻한 상상력에서 출발한 아름다운 작품이다.
교통사고로 사망한 손녀
▲무대 사진연극 <목련풍선> 무대사진.
편성준
원래 개화 시기인 봄이 아닌 가을에 느닷없이 피어난 목련꽃들이 만발한 날 뺑소니 교통사고로 사망한 손녀 연서의 혼이 외진 마을 외딴집에 혼자 사는 할머니 분옥을 찾아온다. 분옥은 유령 또는 혼이 된 영서가 하나도 무섭지 않고 반갑기만 하다. 영서는 곧 손님이 찾아올 거라며 그에게 잘해주라고 말한다. 사람 그림자 하나 없는 집에 갑자기 웬 손님일까? 그러나 걱정 말라며 손녀를 안심시키는 할머니. "여기는 니 증조할머니 때부터 대문 활짝 열어 놓고 오는 사람 누구에게든 '밥 먹고 가라, 자고 가라, 살다 가라'라고 하고 살던 집"이라고 웃으면서 말이다.
둘째 딸 현성 내외와 손자가 찾아온다. 얘들이 손님인가? 그런 것 같지는 않다. 성격이 괄괄하고 종잡을 수 없는 큰 딸 현정의 딸 아라도 온다. 얘도 아닌 것 같고. 그러다 배낭을 멘 영서가 찾아온다. 저 이 집에서 좀 머물다 가려고 왔어요, 라면서. 영서는 죽은 연서의 동성 애인이었다. 그걸 알고 있는 아라는 영서를 차갑게 대한다. 연서가 죽기 직전 마지막으로 자기의 이름을 자꾸 부르길래 왜 그런가 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그녀가 애타게 부른 건 연서가 아닌 '영서'였던 것이다. 무작정 할머니 집으로 찾아온 영서도 괴롭긴 마찬가지다. 그녀는 개명을 할 거라며 연서와의 인연을 그만 지우려고 하지만 그게 마음대로 되진 않는다.
▲커튼콜연극 <목련풍선> 출연 배우들.
편성준
연극 제목인 '목련풍선'은 목련 꽃잎으로 풍선 부는 법을 누군가에게 배운 적이 있는 배해률 작가의 경험 덕분에 탄생했다. 그는 "바닥에 떨어진 채 썩기 만을 기다리는 꽃잎에 작은 숨을 불어넣는 그 미약한 행위가 부재한 이들이 돌아오기를 바라는 마음과 닿아있지 않을까 싶었다"라고 집필 동기를 밝혔다. 할머니 분옥에게 연꽃풍선 부는 법을 배우는 등장인물들은 그 기이한 애도행위를 통해 왜 목련꽃이 가을에 피어났는지 어렴풋이 짐작하게 된다.
연서 역을 맡은 신윤지 배우의 하늘하늘함과 할머니 분옥 역을 맡은 홍윤희 배우의 열려 있는 캐릭터 연기의 시너지가 참 좋다는 생각을 하며 꽉 찬 두 시간을 보냈다. 언제나 믿고 보는 권은혜 배우도 좋았지만 이번 공연의 수확은 아라 역을 맡은 라소영 배우였다.
오랜만에 보는 김광덕 배우도 반가운 얼굴이었다. 죽은 이가 등장하는 연극이기에 당연히 만가(挽歌·輓歌)도 등장하는데 '구이임'의 경기소리와 구음들은 극을 한층 더 고급지고 사랑스럽게 만든다. 미니멀한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클래식하고도 따뜻한 연극이었다. 18일 첫 공연이었으니 지금 예매하시면 볼 수 있다. 주관을 맡은 '윤무아'는 윤혜진 작가 본인의 또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에서 1월 26일까지 공연한다. 시간 되면 꼭 보시기 바란다.
▲인물관계도홈페이지에서 구한 사진.아르코
작 배해률 연출 윤혜진
연출부 정혜정
드라마터그 이홍이
음악 구이임 (구민지, 이채현, 임정완)
출연 홍윤희 김광덕 윤현길 이윤재 권은혜 신윤지 라소영 김하람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관 윤무아
협력 페미씨어터&플레이포라이프
공동기획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카피라이터 출신 작가. 『부부가 둘 다 놀고 있습니다』 『읽는 기쁨』 등 네 권의 책을 냈고 성북동과 보령을 오가며 살고 있습니다. 유머와 위트 있는 글을 지향하며 출판기획자인 아내 윤혜자, 말 많은 고양이 순자와 삽니다.
죽은 사람과 말할 수 있다면? 이 연극이 준 행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