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권력은 쥘 수는 있어도 내려놓을 수는 없다고 말한다. 권력이 인간으로 하여금 집착과 욕망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란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 수천 년, 아니 멀리 갈 것도 없이 민주화된 이 나라 안에서조차 스스로 권력을 내려놓고 물러나는 지도자를 찾을 길 없다. 총칼로 집권한 군부독재가 헌법까지 바꿔가며 집착하는 것이 권력이고, 몇 년 되지 않는 집권 기간 동안 한 줌 남은 지지자조차 등 돌리게 한 무능한 정권이 내란을 꿈꾸도록 하는 것이 또한 권력이다.
그러나 모든 이가 권력 앞에 집착하는 것은 아니다. 세상의 어느 지도자는 스스로 권력을 내려놓고 국가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갈 수 있도록 지원했던 것이다. 그가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부탄의 5대 국왕이다. 그는 부탄을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만들고자 행복정책을 펼쳤던 지그메 싱계 왕축의 아들로, 행복한 국민이 행복한 나라를 만든다는 꿈을 2대에 걸쳐 마침내 이뤄냈다.
물론 지그메 싱계 왕축이 워낙 훌륭한 국왕으로 국민적 존경을 받고 있었기에 그와 그 아들의 민주화 시도가 장벽에 부닥친 것도 사실이다. 국왕이 국민을 일깨워 스스로를 통치하도록 하려 하고, 국민은 '당신 같은 지도자가 없다'며 그에 반대하는 웃지 못할 진풍경이 펼쳐졌을 정도. 그러나 지그메 싱계 왕축이 급작스레 아들에게 양위하고, 다시 그 아들마저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민주주의를 알린 뒤 선거를 강행하니, 마침내 부탄은 전제군주제에서 입헌군주제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민주주의 역사 가운데 국왕이 주도하여 국민을 계몽하고 그 삶과 정서를 안정되게 한 뒤 마침내 통치권을 이양한 믿기 힘든 사례가 아닐 수 없다.
부탄의 이야기는, 그러나 다른 나라에선 그저 해외토픽 단신 뉴스처럼 회자되어온 게 사실이다. 이는 국방력과 경제규모를 중심으로 뉴스의 중요성을 따지는 언론의 태도 때문으로, 우리는 부탄이 이룩한 위대한 변화에 대하여 깊이 알 수 있는 기회를 얼마 갖지 못하였던 것이다. 우리가 채택한 체제인 민주주의 역사 가운데 손꼽을 만큼 뜻깊은 사건이었음에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