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수 2억6500만 회, 시청시간 22억 시간.
넷플릭스 시리즈 콘텐츠 부문 역대 1위 작품의 기록이다. <웬즈데이>, <기묘한 이야기 시즌4> <다머> <브리저튼> <퀸스 갬빗> <종이의 집 파트4> 등 쟁쟁한 작품들이 시청수와 시청시간 TOP10에 이름을 올린 가운데, 공고한 1위를 지키고 있는 건 놀랍게도 한국에서 제작한 순수 한국 작품이다. 바야흐로 K콘텐츠 전성시대를 활짝 열어젖힌 시리즈물 <오징어 게임>이 그 주인공이다.
몇 년 전 해외 OTT서비스 업체 관계자와 만나 대화를 한 적이 있다. 그는 서구 작품들에선 좀처럼 만나기 어렵던 만화적 세계관이 있는 작품들, 이에 더하여 시공간을 알 수 없는 배경에서 전개되는 기발한 이야기가 한국 작품 가운데 단연 눈에 띈다 하였다. 일본 애니메이션에서나 볼 수 있을 것 같던 파격적 전개를 한국 콘텐츠가 실사 작품으로 해낸다는 점이 특히나 인상적이라고. 그가 아시아, 또 한국 콘텐츠를 얼마나 보았을지는 알 수 없겠으나, 한국 콘텐츠에 대하여 격찬을 하도록 한 데 <오징어 게임>의 존재가 결정적 역할을 하였음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었다.
<오징어 게임>은 <도가니>부터 <수상한 그녀>를 거쳐 <남한산성>까지 꽤나 잘 만든 작품들을 연달아 내었음에도 상업적으로는 고전을 면치 못했던 황동혁의 2021년 작이다. 한국에 막 상륙한 넷플릭스와 손을 잡고 만화적 상상력을 유감없이 펼쳐낸 작품으로 화제를 모았다. 각각의 이유로 신용불량자로 전락한 막장 인생들의 사연이 시대상을 그대로 반영했다는 긍정적 평가부터 <도박묵시록 카이지>를 위시한 비슷한 설정의 작품이 여럿이란 점에서 약간의 변주에 불과한 아류작이 아니냔 비판까지 일었다. 그 모두는 공개 즉시 <오징어 게임>이 거둔 어마어마한 성공과 긴밀히 관계를 맺고 있을 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