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 스틸컷
영화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 스틸컷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화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 (이하 보고타)은 IMF 직후, 새로운 희망을 품고 지구 반대편 콜롬비아 보고타로 향한 국희(송중기)가 한인 사회의 실세 수영(이희준), 박병장(권해효)과 얽히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파산한 아버지(김종수)는 베트남에서 인연이 있는 박병장을 찾아 무작정 콜롬비아로 왔다. 그는 주문처럼 "콜롬비아는 미국으로 가는 톨게이트일 뿐이야"라고 말하지만, 결국 아메리칸드림의 실패로 이곳에 정착한다.

고국에 돌아갈 시간만 기다렸지만 무능력한 아버지와 무기력한 어머니(김호정) 사이에서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던 국희는 점점 변해 간다. 빈민가 1구역에서 시작해 가장 높은 6구역으로 올라가기 위해 전력 질주하는 사람은 국희뿐이다.

콜롬비아 '한인 이민 역사'

 영화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 스틸컷
영화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 스틸컷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영화는 국희의 12년을 통해 그가 어떻게 모진 풍파를 겪으며 뿌리내리고 자생했는지 담아낸다. '돈'을 벌어 금의환향을 꿈꿨지만 '돈' 때문에 돌아가지 못한 야심 많은 청년의 성장사가 펼쳐진다. 그 배경에는 대기업인 대우에서 파견된 주재원, 주무관, 유학생 등 각자 계획과는 다르게 눌러앉게 된 사람들이 있다.

흔히 남미를 배경으로 한 영화에는 '마약'이 단골로 등장하지만, <보고타>는 '동대문 란제리 밀수'를 배경으로 한다. 현지 상인과 세관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입지를 다져간 한인 사회의 역사와 그늘도 담긴다. 고국에서 떠밀려 간 사람들이 어떻게든 살아보려 발버둥 치는 이전투구가 드라마틱 하게 펼쳐진다. 되는 일도 없지만, 안 되는 것도 없는 나라'에서 벌어지는 혼란이 개성 강한 인물들의 충돌로 시너지를 뿜어낸다.

한국이 싫어서 떠난 사람들이 마지막으로 선택한 기회의 땅은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현지인들은 박병장을 철저히 이방인으로 생각한다. 앞에서는 웃으며 호형호제하지만, 뒤에서는 다른 말을 한다. 멕시코 민중가요 '라 쿠카라차(La Cucaracha 스페인어로 바퀴벌레)'로 그를 조롱하는 게 대표적이다. 흥겨운 리듬 속에 멕시코 혁명에 담긴 구슬픈 애환의 역사와 가난한 농민을 은유하는 노래는 끈질긴 생명력을 품은 한인의 상징과도 맞물린다.

송중기의 얼굴에 담긴 시대

 영화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 > 스틸컷
영화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 > 스틸컷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영화는 삶의 열정을 쏟는 치열한 사람들을 세세히 비추며 사람 냄새나는 이국적 풍광을 쫓는다. 한국인에게는 다소 낯선 나라 콜롬비아의 현지 생활은 신선하게 다가온다.

한국 영화 최초 콜롬비아 로케이션을 하며 담아낸 이색적인 풍경은 볼거리다. 카리브해의 휴양도시 카르타헤나, 지중해의 섬나라 사이프러스 등을 담은 생생함이 살아 있다. 당초 올 로케이션을 목표로 했으나 팬데믹으로 촬영 중단됐다. 영화 속 송중기는 굴곡진 한인 이민 개척사를 성공적으로 표현한다.

송중기는 최근 어둡고 스산한 현실을 특징으로 하는 <화란>·<로기완> 등에 이어 보고타에 출연했다. 이는 마치 '송중기의 청춘 성장 삼부작'처럼 보이기도 하다. 특히 <보고타>에서는 부모님과 낯선 땅으로 이민 온 19세 국희부터 20대와 30대의 얼굴도 선보인다. 촬영 당시 35세라는 나이가 무색할 정도 다채로운 얼굴을 드러낸 한 인물의 존재감으로 가득찬 영화가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이다.

보고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보고 쓰고, 읽고 쓰고, 듣고 씁니다. https://brunch.co.kr/@doona9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