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지'라는 장르는 흔히 현실과 동떨어진 내용으로 치부되지만, 허무맹랑함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실제 세계에선 가능하지 않은 소재나 배경을 활용하면서도 작품 속 세계관이 일관되고 개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판타지 장르라면 논리나 상식을 벗어나도 되는 도깨비방망이를 연상하지만, 실제로 높은 평가를 얻는 판타지 명작은 현실의 정치/경제/사회적 맥락을 수준 높게 고증한 것을 금방 깨닫게 한다. 피터 잭슨의 <반지의 제왕> 3부작이 그 대표적 사례다.
현실 못지 않게 가상의 세계관을 구축하는 것이, 판타지 장르의 덕목이지만 이를 변주해 현실과 가상 세계를 연결하는 구성의 판타지도 종종 등장한다. 이를 가볍게 변형하면 흔한 '이세계' 물이 되지만, 수준 높은 장르 변주의 경우 양산형 이세계물과는 차원이 다른 난이도를 요구한다. 현실의 난제는 가상 세계에서 해법을 찾을 수 있지만, 그 돌파구는 막상 현실에선 온전히 해소될 수 없거나 서로 충돌하기 때문이다. 양산형 판타지 장르물에선 전가의 보도처럼 남용되는 마법은 판타지 고전이라 인정받는 명작들에선 극도로 사용이 제한되거나 대가를 치러야 하는 제약이 걸리게 마련이다.
그런 난이도 탓에 현실과 가상 세계를 오가며 영향을 주고받는 경우는 제대로 이야기를 풀어가기 참 어렵다. 성공 사례도 드물다. 작품성까지 인정받은 판타지 영화가 무척 희귀하지만, 그 중에도 특히나 찾기 힘든 편이다. 길예르모 델 토로의 <판의 미로> 정도가 드문 사례일 테다. 스페인 내전의 실제 역사와 켈트-이베리아 신화를 연결하는 환상 세계의 신비하고 잔인한 아름다움에 판타지는 그저 아이들 대상이란 편견을 바꾸게 하는 수작이다. 그리고 타셈 싱의 <더 폴: 오디어스와 환상의 문>이 그 반열에 들 만하다. 하지만 본작은 여러 곡절 탓에 온전히 소개되지 못한 구석이 많았다.
오디어스에 대한 복수를 위해 뭉친 전사들의 환상 모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