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제 '아파트', 지드래곤 '파워' 싱글 표지
로제 '아파트', 지드래곤 '파워' 싱글 표지더블랙레이블, 갤럭시코퍼레이션

여느 분야와 마찬가지로 케이팝 역시 다사다난했던 2024년을 보냈다.

​'Power', 'Home Sweet Home'을 앞세우고 화려하게 컴백한 지드래곤을 필두로 관록의 음악인부터 이제 막 데뷔한 신예들이 쉴새 없이 양질의 작품을 내놓으며 선전을 펼쳤다.

이에 반해 뉴진스 vs 하이브로 대표되는 계약 분쟁과 이를 둘러싼 공방전이 대중들의 피로도를 높이기도 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2024 케이팝을 대표 아티스트들을 중심으로 재정리해봤다.

에스파, '쇠맛' 케이팝의 진수

 에스파
에스파SM엔터테인먼트

4인조 걸그룹 에스파가 데뷔 4주년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지난 5월 발표된 첫 정규 음반의 타이틀곡 'Supernova'는 공개와 동시에 인기 순위 정상의 자리에 우뚝 올라섰다. 써클차트(구 가온차트) 11주간 1위, 멜론 주간 순위 5주간 1위 등 폭염으로 뜨거웠던 지난 여름을 더욱 달아오르게 만들었다.

기세를 모아 하반기 들어선 'UP'(카리나 솔로)을 비롯해서 'Whiplash' 역시 좋은 반응을 얻었다. 그 결과 각종 음악시상식 대상의 영예는 에스파의 몫이 됐다. 한때 주줌거리는 시기도 있었지만 이내 틀을 정비한 에스파는 지난해 이후 쉼없는 투어와 음반 활동으로 '쇠맛'으로 정의되는 특유의 색깔을 확실하게 팬들에게 각인시켰다.

여성 솔로, 그룹의 대약진

 비비 '밤양갱', 이영지 '16 Fantasy' 표지
비비 '밤양갱', 이영지 '16 Fantasy' 표지필굿뮤직, 메인스트림

꾸준히 음원 순위를 중심으로 여성 솔로 및 걸그룹의 강세가 지속된 2024년이었다. '음악 잘하는 아티스트' 정도로 각인되었던 비비는 장기하의 작품 '밤양갱'으로 상반기 돌풍의 주역이 됐다. 고등 래퍼 이영지는 'Small Girl'을 통해 예능 못잖은 성과를 이번 년도에 달성했다.

​기존 소속사 YG에서 독립한 블랙핑크 멤버 중 제니와 로제의 행보는 눈 여겨 볼만했다. 지코의 'SPOT' 피처링으로 가볍게 몸을 푼 제니는 하반기 'Mantra'를 통해 여전히 건재함을 과시했다. 그리고 로제는 브루노 마스와의 협업 'APT'로 연말 음악계를 넘어 대중문화계 전반을 뒤흔드는 돌풍을 일으켰다. ​

에스파를 필두로 여러 걸그룹들의 맹활약 역시 올해의 주목할 만한 대상 중 하나였다. (여자)아이들은 타이틀곡도 아닌 수록곡 '난 아픈 건 딱 질색이니까'를 통해 전화위복의 인기 몰이에 성공했고 후반기 '클락션' 역시 선전을 펼쳤다. 잡음은 있었지만 멤버 전원이 원 소속사와 재계약을 하면서 팬들의 성원에 보답했다. 트와이스, 아이브 등은 글로벌 초대형 투어 및 각종 대형 페스티벌 무대에서 케이팝 그룹의 위상을 높이는 데 일조했다.

선배들 위협하는 신예 팀들의 선전

 투어스, 라이즈, 베이비몬스터, 아일릿 (맨위 왼쪽부터 시계방향)
투어스, 라이즈, 베이비몬스터, 아일릿 (맨위 왼쪽부터 시계방향)플레디스, SM, YG, 빌리프랩

이른바 세대교체의 바람이 불어온 것 역시 2024년의 주요 움직임 중 하나였다. 이제 데뷔한지 1년 안팎의 신예 그룹들이 귀를 자극하는 음악들로 존재감을 뽐내며 새로운 시대의 등장을 예고했다. ​

좀처럼 보이그룹이 맥을 추지 못했던 음원 순위에서 투어스의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 라이즈의 'LOVE 119', 플레이브의 'WAY 4LUV' 등은 강력한 힘을 발휘했다. 선배 그룹들이 군입대 등으로 공백기를 맞이한 사이 신예 보이팀들이 빈 자리를 성공적으로 채운 것이다.

​이에 뒤질세라 'Magnetic'을 앞세운 아일릿, YG의 야심작 베이비몬스터, 프로듀서 테디가 선보인 미야오 등 신인 걸그룹들은 다양한 색깔로 인상적인 활약을 펼쳐 향후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밴드의 시대...데이식스, QWER

 데이식스, QWER
데이식스, QWERJYP엔터테인먼트, 타마고프로덕션

상반된 이미지의 록그룹도 팬들을 사로 잡았다. 올해로 데뷔 10년차가 된 데이식스는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예뻤어' 등을 뒤늦게 히트시킨데 이어 'Welcome To The Show' 'Happy', '녹아내려요' 등의 신곡들로 연달아 음원 순위를 석권했다. 단독 콘서트 매진 및 각종 페스티벌 헤드라이너 출연 등의 성과를 올리는 등 데뷔 이래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한 것이다.

인터넷 크리에이터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QWER이 이처럼 큰 사랑을 받으리라고 예상한 이들은 거의 없었다. 지난해 말 'Discord'로 가볍게 몸을 푼 이들은 올해 '고민중독', '내 이름 맑음' 등을 앞세워 한국에선 좀처럼 성공할 수 없다는 여성 록그룹의 한계를 뛰어 넘었다는 평가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김상화 칼럼니스트의 블로그( https://blog.naver.com/jazzkid )에도 실립니다.
케이팝 2024년결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