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상영작 <헨젤 : 두 개의 교복치마> 스틸컷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상영작 <헨젤 : 두 개의 교복치마> 스틸컷서울독립영화제

*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01.
"점수 안 깎는 게 어디니? 노래자랑 하고 싶으면 얼마든지 환영해."

한슬(홍정민 분)은 쉬는 시간마다 화장실을 가야 한다. 청소년 요실금을 앓고 있어서다. 자신에게 어떤 질환이 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다만 남들보다 자주 요의를 느끼는 탓에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느끼고 친구들의 눈치가 보인다. 실제로 같은 반 아이들도 그런 그가 묘하게 거슬린다며 입방아에 올린다. 그때마다 어색하게 웃음을 지어보지만 이제는 웃는 것만으로도 핀잔을 준다. 다른 의도가 있어서 그러는 것도 아니고, 화장실만 몇 번 더 가는 것뿐인데 자꾸 위축된다.

한편, 음악 선생님(강진아 분)은 수업 시간마다 벌칙으로 장기 자랑을 시킨다. 필요한 준비물을 챙겨오지 않았거나 집중하지 않고 딴짓할 때마다 교실 앞으로 불러낸다. 한슬은 친구들 앞에서 혼자 장기 자랑을 하는 일이 죽기보다 더 싫다. 가뜩이나 화장실을 자주 간다고 눈치를 받고 있는데, 이런 일로 주목을 받는 것은 어떻게든 피하고만 싶다. 늦잠으로 지각을 하게 된 어느 날, 음악 수업 시간에 리코더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급하게 나서느라 가져오지 못한 준비물. 이대로라면 친구들 앞에서 장기 자랑을 해야 하는 것이 분명하다.

임지선 감독의 영화 <헨젤 : 두 개의 교복치마>에는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드러내기 어려워하는 인물 한슬이 있다. 남들과 다른 자신의 어떤 모습이 마음의 짐처럼 여겨지는 감수성 풍부한 때의 사춘기 소녀다.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화장실을 자주 찾아야 하는 그는 음악 시간의 장기 자랑이라는 피할 수 없는 순간을 직면하게 된다. 두려움도 잠시, 경험을 통해 그동안 자신이 어려워했던 시간과 자리가 생각보다 별것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과정은 일종의 '성장'을 도모한다.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상영작 <헨젤 : 두 개의 교복치마> 스틸컷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상영작 <헨젤 : 두 개의 교복치마> 스틸컷서울독립영화제

02.
사실 영화 속 인물인 한슬에게 주어진 남들과 다른 환경은 청소년 요실금이라는 병증에만 있지 않다. 이 증상이 조금 더 직접적으로 드러나고 청소년 시기의 부끄러움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소재이기에 부각되고 있을 뿐이다. 가장 큰 차이는 가정 환경에 있다. 외국에서 일하는 엄마와 떨어져 외갓집에서 외할머니(정애화 분)와 함께 생활하는 한슬의 일상은 또래의 삶과 많은 부분이 다르다. 함께 생활하는 할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는 탓이다.

강요되는 것은 아니지만 때때로 할머니의 허리 디스크도 신경 써야 한다. 아직 누군가에게 의지하고 싶은 구석이 많을 나이이지만 마음 편히 그럴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는 뜻이다. 문화적으로도 그렇다. 영화 속에서 한슬이 요즘 유행하는 음악을 듣거나 연예인을 좋아하는 장면은 하나도 등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할머니의 오래된 가요를 듣고 부른다. 좋은 집에 살고 있는 서울 외삼촌 집으로 가야 하는데 자신 때문에 가지 못하고 있다는 할머니의 혼잣말 또한 신경이 쓰인다. 정작 외삼촌 가족은 할머니를 반기는 것 같지도 않은데.

03.
"나는 할 수 있다. 나는 긍정적이다. 나는 나를 믿는다."

집에서도 학교에서도 언제나 누군가의 눈치를 보는 한슬의 성격을 이제 짐작할 수 있다. 정해진 규칙에서 벗어나지 않고 크게 모나지 않는. 하지만 이제 결단이 필요하다. 죽기보다 싫은 음악 선생님의 장기 자랑을 피하기 위해서다. 다른 반 친구들은 입을 대야 하는 리코더를 빌려주려고 하지 않고, 건강을 이유로 조퇴를 허락해 줄 양호 선생님은 자리를 비운 상태에서 이제 남은 방법은 단 하나다. 몰래 학교 담을 넘어 집에 있는 리코더를 가지고 돌아오는 것. 문제는 그 순간 요의가 느껴진다는 사실이다.

화장실도 참고 집으로 달려가던 한슬의 교복이 조금씩 젖어오기 시작한다. 소변이 새기 시작한 것이다. 어렵사리 집에 도착해 리코더를 챙겨보지만 교복 치마는 이미 모두 젖어 다시 학교로 돌아갈 수 없다. 장기 자랑을 얼마나 하고 싶지 않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같은 학교를 졸업한 엄마의 오래된 치마를 찾아 입고 수업에 들어가 보지만 늦어버린 상황, 어쩔 수 없이 단상 앞에 서서 반 친구들을 마주하게 된다. 더 이상 이 장기 자랑을 피할 방법은 없다. 두 눈을 감고 땅을 향해 고개를 숙인 채로 할머니가 자주 듣던 오래된 가요를 부르기 시작한다.

이 장면에 대한 긴 설명이 필요했던 이유는 작품의 타이틀인 '두 개의 교복치마'에 대한 의미를 뚜렷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다. 한슬은 두 가지 상황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화장실을 가는 대신 친구들 앞에 서거나, 화장실을 포기하고 집에 놓고 온 리코더를 챙겨 오는 일이다. 전자를 선택하면 자신의 교복 치마를 지킬 수 있지만 장기 자랑을 해야 하고, 후자를 선택하면 교복 치마를 버리는 대신 (엄마의 교복 치마를 입고) 장기 자랑을 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자신의 치마도 버리고, 장기 자랑도 해야만 하는 최악의, 모두 피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지만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주어진 어떤 중요한 행동을 스스로 결정하고 나아갔다는 사실이다.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상영작 <헨젤 : 두 개의 교복치마> 스틸컷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상영작 <헨젤 : 두 개의 교복치마> 스틸컷서울독립영화제

04.
끝나지 않을 것 같던 장기 자랑이 끝나고 한슬은 예상하지 못한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그의 노래를 들은 반 친구들이 다가와 자신에게 관심을 보이는 것이다. 심지어 그동안 듣지 못했던 예쁘다는 말까지 건넨다. 어쩌면 그동안 상황을 어렵고 불편하게 만들어 왔던 것은 자신의 소극적이고 회피적인 태도가 아니었을까? 그렇게 피하고 싶던 자리가 조금씩 편안해진다. 요실금이 치료된 것도 아니고, 할머니와 단둘이 살고 있는 환경이 달라진 것도 아닌데.

영화의 마지막에서 한슬은 청소년 질병 자가 진단을 통해 자신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청소년 요실금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97%의 높은 확률이다. 치료 방법을 검색함과 동시에 인터넷 연결이 끊어지며 이 영화의 러닝타임 속에서는 해당 여부를 알 수 없게 되지만, 더 이상 중요한 것이 그런 문제가 아니라는 것쯤은 알 수 있다. 친구들 앞에 서서 노래를 부르는 일 역시 분명한 용기였을 테지만, 어떤 선택 앞에서 자신의 의지와 믿음을 갖고 나아가는 일을 배우는 일만큼 중요한 것은 또 없을 것이니 말이다. 어쩌면 우리는 가장 평범한 순간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성장하게 되는지도 모르겠다.
영화 헨젤두개의교복치마 서울독립영화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영화가 숫자로 평가받지 않기를 바라며 글을 씁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