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애시드 레인: 죽음의 비> 스틸 이미지
(주)엔케이컨텐츠
전대미문의 비상상황이지만, 할리우드 유사 장르와 달리, 정부 역할과 기능은 위태롭긴 해도 여전히 가동되는 중이다. 군대와 경찰은 지역을 통제하고, 민간인 대피 시설과 구호소를 꾸려간다. 할리우드 영화라면 대개 믿을 건 우리 식구밖에 없다는 걸 강조하기 위해 공공서비스는 무기력할 만큼 순식간에 초토화되지만, 유럽의 시스템은 그 정도로 허술하지 않음을 증명하는 듯하다. 사회적 참사 때마다 반복되는 상상 이하 대처에 절망하던 한국 관객에겐 제법 신선한 풍경일 정도다.
그러나 미셸이 보호관찰에 이르게 된 과정으로만 보였던 노사분쟁은 복선으로 기능하기 시작한다. 미셸은 공권력과 사회 체제에 대한 불신이 가득하다. 동료의 억울한 사정을 해결하기 위해 나서지만, 경찰과 법원은 사용자 편만 들어 사회적으로 매장당했다고 여긴다.
그는 노동계급 정체성을 자랑스러워하지만, 투쟁의 대가로 이혼당하고 직장을 잃은 것에 대한 분노만 남았다. 그러니 매사에 공격적이고 유사시에 준수해야 할 공공규범 어기는데 거리낌이 없다. 영화 속에서 그 울분이 이해되는 측면도 있지만, 감정에 치우치고 극단적 이분법으로 세상을 판단하는 미셸의 편향은 자신이 지키려는 이들과 관계를 불편하게 만드는 건 물론, 편견에 기초한 판단으로 일행을 위험에 빠지게 만든다.
전처와 딸은 미셸에게 의지하지만, 한편 이게 최선일까, 과연 제대로 보호할 수 있나 줄곧 의구심을 품는다. 세상 물정 잘 알고 유력한 지인들이 많은 오빠(외삼촌)에게 의지하는 게 더 낫겠다는 기대감은 곧 남편(아빠)에 대한 푸념으로 전환된다. 그에 대한 미셸의 대응은 자격지심과 피해의식이다. 마음을 모아도 시원찮을 판에 비아냥대거나 적대감을 표명하며 사람들을 난처하게 만든다.
미셸이 계속 감정적 판단을 내리는 바람에 불신은 한층 심각해진다. 물론 그의 가족을 수호하려는 의지는 진정성을 의심할 게 없는데도, 정작 본인이 지키려는 이들은 그의 진심을 온전히 믿지 않는다. 미셸의 독선과 아집, 가부장적 권위주의가 이를 조장한 셈이다.
그가 가족을 지키기 위해 보이는 이기적 태도는 가족들에게 신뢰 대신에 두려움으로 다가온다. 그로선 가족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획득하고, 외부의 위험요소를 배제하기 위한 지극히 현실적인 결단이지만, 문명사회에 익숙한 다른 가족에게 미셸의 난폭한 태도는 공포와 의혹으로 비칠 따름이다. 가족을 먹일 식료품을 남의 집에서 약탈하거나 타인의 차량을 무단으로 절취하는 건 미셸에겐 부자의 것을 돌려받는 셈이지만, 타인에겐 약탈자로만 비칠 뿐이다.
아내와 처남에 대한 계급적 갈등에 이어, 한창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던 딸 셀마와 세대갈등도 만만찮다. 부녀관계는 기본적으로 나쁘지 않다. 그렇지만 아버지와 딸은 가족으로서 유대관계를 기본적으로 형성하면서도 서로 너무 오래 떨어져 지냈다. 이혼한 전처와 유복한 처가에 대한 억하심정이 있다 보니, 아빠는 딸에게 엄마와 외삼촌 비난에 여념이 없고, 청소년 세대가 자신들의 미래를 걱정하며 긍정적으로 참여하는 기후위기 대응을 부정한다. 노동자-자본가 대립을 희석하려는 '부르주아의 음모' 정도로 인식하는 것이다. 반대로 딸은 아빠의 무조건 강요하며 윽박지르는 태도가 이해되지 않는다.
상당수 관객에게 셀마는 흔히 재난영화에서 반드시 등장하게 마련인 '민폐' 캐릭터 정도를 가뿐히 초월해 '발암'의 근원으로 보일 판이다. 그만큼 셀마는 그래도 어떻게든 자식을 지키려는 마음에 협력하는 아빠와 엄마는 물론, 자신까지 굳이 안 겪어도 될 위기에 수시로 빠지게 만든다.
그렇게 자기 입장을 발악하듯 토해내지만, 아직 어린 그로선 막상 난국에 처하면 그저 부모에게 구해달라 소리치는 것 이외엔 아직 방도를 모른다. 그런 상황이 사실 현실이라면 너무나 당연할 테지만, 자식을 지키려는 부모 입장에 공명한 관객들이라면 화면 속으로 뛰어들어 딸의 멱살을 쥐고 싶어질 지경이다.
위기의 징후는 사회적 불신에서 출발한다
▲영화 <애시드 레인: 죽음의 비> 스틸 이미지
(주)엔케이컨텐츠
산성비의 위력이 지나치게 과장되긴 했지만, 영화는 소행성 충돌이나 좀비 창궐 같은 현실 가능성이 희박한 위기가 아니라 인간 스스로 제 무덤을 파는 환경 파괴가 가져올 재앙을 소환하고, 자업자득으로 닥친 재난 앞에서 상호불신과 사회적 합의의 붕괴로 순식간에 무너지는 세계의 초상을 화면 가득 재연한다. 거기에 기성세대와 미래세대 사이 기후위기 시각 차이를 가미해 현실과 접속한다. 문제 환기를 넘어 사회적 해법 마련의 경각심을 높일 시도다.
물론 국가의 기본 역할과 기능은 붕괴하지 않았지만, 사회 전체에 깊어진 갈등과 적대로 인해 혼선이 대거 초래된다. 미셸 가족이 영화 내내 겪는 (보는 이들 속이 타고 짜증을 유발하는) 집안싸움은 그런 위태로운 사회의 축소판으로 그려진다. 한편, 필수 공공서비스가 제대로 유지되지 않는 것만으로도 가공할 재앙이 된다는 점 역시 작품 속에 실감 가득 구현된다. 우리가 당연한 혜택처럼 사고하는 수도나 전기, 교통편이 끊어지는 순간 어떤 위험이 닥치는지, 재난 상황에서 상대적 약자 – 환자와 노약자 - 들이 가장 먼저 생명의 위협을 겪는다는 특징이 제대로 그려진다.
소통의 부재와 사회적 적대가 재난 피해를 기하급수적으로 확산하는 핵심으로 작용한다. 얼핏 위기 상황을 헤쳐나가는 미셸의 독재가 해법으로 보일 수 있지만, 표면적으론 사태를 악화시키는 것처럼 그려지던 셀마의 박애와 연민이 결과적으론 근본 해법이라는 게 증명되는 아이러니는, 재난영화를 통해 지금 프랑스 사회, 나아가 유럽과 세계 전체가 처한 난국에 대한 이 영화의 입장일 테다. 관객이 바라는 해피엔딩 대신에 결말이 선보이는 음울한 초상은 프랑스 국민배우 기욤 까네를 비롯한 출연진의 열연과 가공할 공포로 구현된 산성비에 힘입어 묵시록적 경고를 전한다.
▲영화 <애시드 레인: 죽음의 비> 포스터 이미지(주)엔케이컨텐츠
[작품정보]
애시드 레인: 죽음의 비
Acid (Acide)
2024|프랑스|현실 재난 스릴러
2024.11.27. 개봉|100분|15세 관람가
감독/각본 쥐스트 필리포
출연 기욤 까네, 라에티샤 도슈, 파스장스 문헨바흐
수입 ㈜엔케이컨텐츠
배급 ㈜디스테이션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대구사회복지영화제 프로그래머. 돈은 안되지만 즐거울 것 같거나 어쩌면 해야할 것 같은 일들을 이것저것 궁리합니다.
옷 녹인다는 산성비, 경찰은 지역 통제... 믿을 건 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