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대전이 이제 막 끝난 1919년, 패전국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기근이라 해도 좋을 궁핍함을 겪고 있었다. 전란이 지속된 5년여의 시간 동안 막대한 전비를 감당한 건 물론, 돌보지 못해 황폐해진 토지며 승전한 연합국 측의 경제제재로 금융과 무역까지 봉쇄돼 일반 시민의 삶은 눈 뜨고 보기 어려울 만큼 끔찍했다. 파리 강화회의와 베르사유 조약으로 패전국이 영토할양은 물론, 막대한 배상금까지 부담케 되며 정부가 적자를 면하고자 화폐를 마구 찍어낸 것은 자국 경제에 치명타를 입혔다.
경제가 무너지면 그 사회의 가장 약자가 큰 타격을 입게 마련이다. 아동,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어린 아이들이 처한 상황이 꼭 그와 같았다. 당장 먹을 것이 없는 상황에서 수많은 아이들이 배를 곯았다. 아사자가 속출하고 영양실조는 놀라울 것 없는 질병처럼 취급됐다. 그러나 이는 패전국의 문제일 뿐, 역시 경제 재건에 여념이 없던 승전국 측은 저들의 원수였던 이들을 굳이 돌아보려 하지 않았다.
이 시절, 영국의 상징이라 해도 좋을 런던 트라팔가 광장 복판에서 전단지를 돌리던 여성이 있다. 여성에게 참정권도 없던 그 시절, 불과 몇 년 전까지 총칼을 맞대고 싸웠던 패전국의 아이들을 구해야 한다며 관심을 독려하는 전단이었다. 전단지엔 기아 상태에 놓인 아이 사진과 함께 이들을 구해야 한다는 호소가 담겨 있었다. 여자의 이름은 에글렌타인 젭, 아동권리와 관련해 대표적인 세계적 비정부기구(NGO)가 되는 '세이브더칠드런'의 창시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