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민제안 TOP 10
 국민제안 TOP 10
ⓒ 국민제안

관련사진보기


청와대 국민청원을 폐지한 윤석열 정부가 대국민 소통 창구로 국민제안을 신설했다. 6월 23일에 개설된 국민제안은 국민들이 민원·제안·청원을 접수하면, 민간·공직 전문가 11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10건의 우수 제안을 선정하고, 대국민 온라인 투표를 통해 가장 많이 득표한 3건은 대통령실에서 정책으로 현실화할 계획이다. 22일 기준으로 탑 3에는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 9900원 K-교통패스(가칭) 도입, 휴대전화 모바일 데이터 잔량 이월 허용이 올라와 있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가 투표 시작 이후 줄곧 투표율 1위에 올라오면서 의무휴업 폐지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2012년 유통산업발전법이 개정됨에 따라 대형마트는 월 2회 의무휴업을 하고 있다. 대형마트의 의무휴업은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을 살리자는 취지에서 제정됐지만, 의무휴업이 소비자들의 발길을 전통시장으로 돌리지 못한다는 점에서 실효성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의무휴업 폐지를 원하는 쪽에서는 다양한 주장들을 제기하며 의무휴업 폐지에 힘을 싣고 있다. 특히 최근 쿠팡, 마켓컬리 등 이커머스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대형마트의 의무휴업이 되려 온라인 쇼핑몰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 오프라인 쇼핑몰은 규제하는 역차별이라고 주장한다.

확실히 최근의 유통산업 구조는 과거 '전통시장 대 대형마트' 보다 '온라인 대 오프라인'으로 변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의무휴업이 온라인 마트에 대항하는 오프라인 마트를 발목 잡는다라고 주장하기에는 다소 지나친 부분이 있다고 본다. 과연 의무휴업을 없앤다고 한들 대형마트가 이커머스 산업에 맞설 수 있을까? 그보단 미래 마트의 모습은 온라인으로 넘어갔다고 진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의무휴업 폐지, 대형마트 살리는 근본 방법 아냐

저렴한 가격과 편리한 배송 시스템으로 무장한 이커머스는 하루가 다르게 소비자를 대형마트로부터 빼앗아 오고 있다. 이커머스에 비해 대형마트는 존재만으로도 엄청난 비용을 내야 한다.

엄청난 부지를 보유한 것에 따른 종합부동산세와 시설을 운영하면서 드는 각종의 비용들은 대형마트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2019년 이마트의 종부세 규모는 100억 원대로 알려졌다. 여기에 최근 전기, 원자재값 등이 인상되면서 대형마트의 부담은 더욱 가속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마트는 1993년 창사 이후 첫 적자를 기록했다. 이마트뿐만 아니라 롯데마트, 홈플러스도 적자를 기록했으며 세 회사 모두 점포를 정리하고 있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2년에는 이마트 안산점이 문을 닫았고, 2017년에는 울산 학성점이 폐점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년에는 홈플러스가 안산점, 대전탄방점, 대산둔산점을 매각했고, 롯데마트는 8곳을 폐점했다. 2012년 3대 대형마트의 매출액은 34조 원이었던 반면 2019년에는 32조 원으로 줄어들었다.

상황은 해외도 마찬가지다. 미국에서는 아마존이 온라인 쇼핑 산업을 평정한 가운데 온라인 산업으로 전환하지 못한 오프라인 쇼핑센터들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면서 줄줄이 도산했다. 118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의 중저가 백화점 체인 J.C 페니를 포함한 대형 소매회사가 2020년에만 4곳이 파산 신청을 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의무휴업 폐지가 이커머스에 맞서 대형마트를 살릴 수 있을지 의문이다. 매출이야 올라가겠지만 이커머스를 상대하는 근본책이 될 순 없다. 그보다는 대형마트가 온라인 시대에 살아남는 방법을 꾀어내야 한다.

스마트폰이 익숙한 MZ세대는 온라인에 익숙하다. 화상 강의가 익숙하고, SNS와 메타버스에서 친구들을 만나는 MZ세대는 당연히 쇼핑도 온라인에서 한다. 음식 배달부터 옷, 식료품 구매 등 온라인에서 가장 많이 구매하는 세대가 바로 2030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4050 세대의 온라인 구매력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4월 21일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4050 세대의 온라인 업종 이용 증가율은 2030보다 높았다.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전이었던 2018년 미국의 월마트는 온라인 쇼핑몰 업체 다수를 인수하며 체질 변화에 나섰다. 그 결과 아마존이 미국 온라인 쇼핑 점유율 57%를 차지하며 1위를 달리는 가운데서도 월마트는 온라인 매출 성장률이 40% 넘는 기염을 토했다. 이후 펜데믹 시국으로 접어들면서 타격을 입긴 했지만 월마트 주가는 코로나 전을 넘어 승승장구하고 있다. 이는 아직까지도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하지 못한 이마트와는 대조적이다.

미래 마트 산업은 온라인으로

대형마트 이해 관계자들은 마치 의무휴업이 대형마트를 죽이고 이커머스를 살리는 것처럼 호도한다. 유통산업이 '대형마트 대 전통시장'에서 '오프라인 대 온라인'으로 옮겨갔으니 의무휴업을 폐지해달라고 주장한다. 이는 얄팍한 꼼수일 뿐이다. 월 2회 의무휴무를 없애달라고 할 것이 아니다. 대형마트들도 일 년 내내 판매할 수 있는 유통채널(온라인)을 다져야 한다.

미래 마트 산업의 방향은 온라인으로 정해졌으며, 이에 적응하지 못하는 대형마트들은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폐점하고 있다. 의무휴무 폐지는 온라인 소비자들의 발길을 돌리기보단 전통시장을 향하던 오프라인 소비자들을 다시 데려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결코 온라인 시장을 상대하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없다. 이커머스를 핑계 삼아 다시 골목상권을 침해하려는 꼼수로는 미래 마트 산업에서 살아남을 수가 없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 이성윤씨는 미래당 서울시당 대표입니다. '정치권 세대교체'와 청년의 목소리가 의회에 좀 더 반영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2016년 12월 청년정당 미래당 공동 창당준비위원장을 맡았고, 2017년에는 만 23살의 나이로 1기 공동대표를 맡았습니다. 청년정치와 미래산업에 관한 글을 쓰고 있습니다.


태그:#미래당, #이성윤, #대형마트, #의무휴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