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수원 삼성-FC서울 경기 장면.
연합뉴스
비록 서울로 연고지가 바뀌었어도 모 기업과 선수단은 그대로였기에 양팀간 라이벌 의식은 여전한 상태였다. 여기에 연고 이전의 정당성을 둘러싼 축구 팬들간의 갑론을박과 감정싸움까지 쌓이며, 이후 서울과 수원의 대결은 과거의 지지대 더비 시절을 뛰어넘는 전쟁같은 분위기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지금의 '슈퍼매치'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후반부터다. 프로구단에서 배포하는 홍보용 보도자료나 언론 기사를 살펴보면 대략 2008년경부터 서울-수원의 경기를 두고 슈퍼매치라는 표현이 나오기 시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는 두 팀이 나란히 당대 최고의 호화 멤버들을 앞세워 인기와 성적 모두 K리그 패권을 다투던 최전성기였다.
K리그에서도 리그 흥행 차원에서 두 팀의 라이벌 구도를 부각시켰고, 어느 정도 슈퍼매치라는 표현이 보편화된 2010년부터는 양 구단이나 주류 언론들도 공식적으로 양팀의 경기를 의미하는 명칭으로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2007년 K리그 첫 맞대결에선 서울 월드컵경기장에 무려 5만5397명의 최다 관중을 수립하기도 했으며, 국제축구연맹(FIFA)에서 발표한 세계 7대 더비에도 선정되는 등, 명실상부 K리그를 대표하는 가장 치열하고 유명한 라이벌전으로 인정받았다.
악연이 많다보니 사건사고도 끊이지 않았다. 지지대 더비 시절인 2002년에는 안양 서포터들이 후반 25분경 그라운드로 살아있는 닭을 투척하는 돌발행동을 저지르기도 했다. 2002시즌 안양에서 뛰었다가 이듬해 수원으로 이적한 외국인 선수 뚜따는 안양전에서 골을 넣은후 불화가 있었던 조광래 감독 앞에서 다가가 주먹감자 세리머니를 하기도 했다.
1군 경기 중에 있었던 일은 아니지만, 2007년에는 서울월드컵경기장 보조구장에서 열린 서울과 수원간 2군 경기에서 안정환이 일부 서울 팬들의 지속적인 인신공격성 야유에 격분하여 관중석으로 난입하여 언쟁을 벌이는 사건도 있었다. 2018년에는 서울의 레전드 스트라이커였던 데얀이 수원으로 이적하여 양팀 팬들을 충격에 빠뜨리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세월이 흐르고 K리그 응원 문화도 많이 성숙해지면서 양 구단과 팬들도 예전만큼 과격한 적대감을 드러내거나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경우는 많이 줄어들었다.
슈퍼매치의 역사는 지지대 더비 시절을 포함하면 24년이지만, 일부 축구팬들은 연고지 이전 이후 안양 LG와 FC서울을 별개의 역사라고 주장하며 반감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후 안양에는 2003년부터 새롭게 안양FC가 등장하며 지지대 더비가 다시 부활하게 됐다. 안양과 수원의 대결은 '오리지널 클라시코'라는 표현이 자주 쓰이며, 서울과는 공식적인 명칭은 없지만 연고지 이전의 악연 때문에 적대관계가 강하다. 하지만 안양이 2부에 머물고 있어서 FA컵이 아니면 수원-서울과는 만날 기회가 별로 없는 실정이다.
슈퍼매치의 인기는 2010년대 중반을 거치며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양팀 모두 축구단에 대한 투자가 급감하고 스타 선수들의 유출이 이어지며 서서히 성적이 내리막길을 걸었다. 자연히 슈퍼매치의 경기력도 K리그 최고의 라이벌이라는 명성이 무색하게 팬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못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4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양팀의 90번째 맞대결은 벌써부터 역사상 가장 초라한 슈퍼매치로 불리우고 있다. 서울은 3승 6패로 9위, 수원은 2승 2무 5패로 10위, 나란히 하위권을 전전하고 있다. 2010년대까지만 해도 최소한 한 팀은 상위권을 지켰던 것과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오죽하면 팬들사이에서도 더 이상 슈퍼매치라는 민망한 이름보다, 차라리 '슬픈매치' '멸망전'이라는 이름으로 대체하자는 자조섞인 농담이 나올 정도다.
설상가상 최근의 양팀 분위기도 좋은 편이 아니다. 수원은 가뜩이나 부진한 성적 속에 팀 내 몇 안 남은 스타였던 국가대표 풀백 홍철마저 최근 바이아웃으로 울산으로 떠나보내야 했다. 에이스 염기훈은 하필 슈퍼매치를 앞두고 지도자 연수 일정 문제로 결장하게 되며 맥이 빠졌다. 서울도 최근 구단 역사상 25년 만에 처음으로 5연패의 부진에 허덕이다가 지난 9라운드에서 최하위 인천에게 1-0으로 간신히 승리했지만 내용은 여전히 역대급 졸전이라는 혹평을 받았다.
양팀의 역대 전적에서는 FC서울이 34승 23무 32패로 근소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 다만 최근 5년간으로 범위를 좁히면 서울이 수원을 상대로 16경기 연속 무패(9승 7무)로 우위가 뚜렷해진다. 수원은 지난 2015년 4월 이후 서울을 한번도 이겨보지 못하고 있다.
슈퍼매치의 흥망성쇠는 곧 K리그의 현 주소와도 직결된다. 최근에는 전북이나 울산이 최근 K리그의 주도권을 이어가고 있지만 국내에서 가장 큰 시장과 팬덤을 갖춘 수도권 인기 구단들의 동반 침체는 K리그 흥행에 악재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선수와 감독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모 기업 측에서 K리그를 선도하는 구단이라는 책임감과 야망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때 K리그 최고의 라이벌전으로 꼽히는 슈퍼매치가 이제는 누가 이길까라는 긴장감보다는 '누가 더 못하냐'를 겨뤄야 하는 초라한 상황이 된 것은 축구팬들을 위하여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 관점이 있는 스포츠 뉴스, '오마이스포츠' 페이스북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