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용산역 3번 출구 보행교와 텐트촌
 용산역 3번 출구 보행교와 텐트촌
ⓒ 이현우

관련사진보기


12일 오전 10시, 홈리스행동과 서울시 용산역 홈리스 텐트촌(이하 텐트촌) 주민들이 텐트촌에서 주거대책 촉구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인근 보행교 공사 과정에서 용산구와 시공사 측에서 텐트촌 주민의 적절한 주거 대안을 마련하지 않고 졸속 처리하려는 정황이 포착되었기 때문이다. 

용산역 3번 출구로 나가려면 흔히 구름다리라고 불리는 보행교를 지나가야만 한다. 3번 출구 바로 옆에는 30층을 훌쩍 넘는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이하 SDC)이 있다. 그리고 보행교 아래에는 홈리스 텐트촌이 있다. 이곳에 사람이 살고 있다.

텐트촌은 쪽방, 고시원, 비닐하우스 등과 같이 열악한 주거 환경이다. 냉난방 시설은 물론 위생시설이나 주방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다. 용산역 홈리스 텐트촌은 2000년대 중반 무렵 노숙인들이 모여 비닐과 천막 등으로 집을 지어 살고 있는 곳이다.
 
텐트촌은 쪽방, 고시원, 비닐하우스 등과 같이 열악한 주거 환경이다.
 텐트촌은 쪽방, 고시원, 비닐하우스 등과 같이 열악한 주거 환경이다.
ⓒ 이현우

관련사진보기


이원호 빈곤사회연대 활동가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기자회견에는 텐트촌 주민들과 홈리스행동 활동가들, 설혜영 정의당 용산구의원, 박인호 철도노조위원장이 참석했다. 텐트촌 주민은 ▲ 적절한 주거 대안 없이 이뤄진 퇴거 예고 즉시 중단 ▲ 민간 시행사와 시공사 아닌 용산구청이 직접 나서서 주거 및 이주대책 마련 ▲ 공사 완료 후 모든 텐트촌 주민들의 거주 안정 보장 등 세 가지 사항을 요구했다.
   
지난 3월 2일, '용산역-드래곤시티호텔 간 공중 보행교량 신설사업'이 결정되고 텐트촌 주민 일부는 "오는 15일까지 공사구간 내 텐트들을 치워줘야 한다"라고 구두로 전달받았다. 졸속 처리하려는 시공업체 측 정황이 포착되면서 텐트촌 주민들은 날벼락을 맞았다. 더군다나 이 소식을 전한 이가 신분이나 성명을 명확히 밝히지 않아 시공사 측 관계자로만 추정할 뿐이다. 

설혜영 의원은 용산구가 "(시공)업체에 공사구간에 해당하는 천막 3개 동의 이전 대책을 마련하라고 전달"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용산구는 손을 놓고 있는 상태이고 텐트촌 주민들은 대책 마련과 관련된 내용을 고지받지 못한 상황이다. 텐트촌 초입 게시판에 '공사구간 지장가옥 이주협의'라는 글귀만을 남기고 간 게 전부라서 협의 대상과 내용에 대해 전혀 전달받지 못한 것이다.

"갑자기 나가라고 하면 우리는 어디로 가냐고요"
 
주거하향은 대책이 될 수 없다는 텐트촌 주민
 주거하향은 대책이 될 수 없다는 텐트촌 주민
ⓒ 이현우

관련사진보기

   
기자회견에서 홈리스행동 안형진 활동가는 "현재 주민들에게 주어진 선택지는 텐트촌 내 다른 구역으로 이전하는 것과 노숙인 임시주거지원을 통해 고시원이나 쪽방 같은 거처로 이전하는 것뿐"이라며 "유사시에 거절할 수 없는 선택이 될지언정 이는 온전한 주거의 수평이동이라고 말하기엔 어렵다"라고 말했다. 

이어 "공사구간 내 주민들에 대한 적절한 대책 수립과는 별개로 공사 완료 후 모든 텐트촌 주민들의 거주 안정성 보장을 위한 사전 조치"를 요구했고 "2017년 말 호텔타운 개장과 함께 기존 공중 보행교의 관리를 SDC 측이 맡게 되면서 공중 보행교를 잠자리로 이용하던 홈리스들이 아무런 조치 없이 퇴거된 바가 있는데 향후 텐트촌 주민들의 거주 안정성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하순철 텐트촌 공사구간 내 주민 대표자는 "여기서 사는 사람들은 10년이 넘었습니다. 제가 제일 막내입니다. 갑자기 나가라고 하면, 우리는 어디로 가냐고요"라고 호소했다. 이원호 빈곤사회연대 활동가는 "여기 있는 텐트는 물리적으로 10초 만에도 부술 수 있는 설치물일지 모르겠지만, 말씀하셨듯 짧게는 5~6년, 길게는 20년 이상 이곳에 뿌리를 내려온 이분들의 삶이 바로 텐트입니다"라고 말했다.
 
보행교 건설 안내 현수막
 보행교 건설 안내 현수막
ⓒ 이현우

관련사진보기


설혜영 의원은 "갑자기 시작된 공사에 이 왜소한 텐트촌마저도 빼앗길, 내몰릴 처지에 있다는 것이 굉장히 안타깝다. 용산구청은 이 모든 것을 시공사에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라면서 "용산구 의원으로서 굉장히 부끄럽고 죄송스러운 마음이다"라고 말했다. 발언 말미에는 "의원으로서 이 분들(주민)과 함께 이 일을 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텐트촌 주민과 활동가들은 '2017년 악몽'이 재현되는 건 아닌지 불안에 떨고 있다. 보행교에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편안하고 아름다운 보행 육교를 건설하겠습니다"라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최소한의 주민 주거권도 보장되지 않는 이곳에서 누구의 안전을 이야기하는 걸까.

텐트촌 지역은 용산 정비창 부지에 포함되는 국공유지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용산 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겠다고 공언한 부지이자, 2020년 국토부에서 주택공급대책 일환으로 1만 호 주택공급 계획을 발표한 부지이다. 이곳에 주택이 들어선다면 누구에게 가장 먼저 공급되어야 할지 곰곰이 생각해봐야 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브런치에도 실립니다.


태그:#홈리스, #텐트촌, #용산역텐트촌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타자에게 덜 폐 끼치는 동물이 되고자 합니다. 그 마음으로 세상을 읽고 보고 느낀 것을 씁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