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상 가동될 당시의 클레이 디노몬 홈페이지(왼쪽)와 운영자가 종적을 감춘 후 접속이 안 되는 화면.
 정상 가동될 당시의 클레이 디노몬 홈페이지(왼쪽)와 운영자가 종적을 감춘 후 접속이 안 되는 화면.
ⓒ 한림미디어랩 The H

관련사진보기

  
지난 3월 19일 오후 8시쯤 국내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클레이 디노몬' 프로젝트 운영자가 가상자산을 개발한다며 수억원대의 투자자금을 모은 후 종적을 감추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사이트에 가입한 회원은 500명으로, 이들은 약 3천 개의 NFT를 구입했다. 1차 판매가가 40클레이튼(약 5만 원), 2차 판매 가격은 이보다 훨씬 비싼 330클레이튼(약 40만 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운영자는 최대 8억원 가량의 투자금을 챙겨 사라졌다.

1인당 평균 6개, 많으면 50개까지 클레이 디노몬을 보유한 사람도 있어 투자자별로 200만 원~2천만 원대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종 투자 대상으로 NFT에 대한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사회적 관심을 악용하는 사례가 등장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NFT 사기란

NFT란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이라는 뜻으로,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대표하는 토큰을 말한다.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경우, A라는 사람과 B라는 사람이 각각 1개의 코인을 가지고 있을 때는 서로 바꿔도 가치는 같지만, NFT의 경우는 A의 NFT와 B의 NFT는 서로 다른 가치를 갖게 된다.

NFT의 투자는 디스코드나 트위터 같은 소셜미디어에서 NFT 프로젝트를 찾아 해당 NFT 구입 날짜를 확인 후 그 날짜에 NFT 전용 웹사이트를 방문, 구입함으로써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수법의 사기 행각이 이뤄진다.

그 대표적인 방식이 스캠과 러그풀이다. 스캠은 가짜 사이트를 만들어 고객의 투자를 유인하는 것이고, 러그풀은 고수익 등을 미끼로 투자금을 모은 뒤 프로젝트를 중단하는 투자회수 사기다.

꼭 알아야 할 사기 유형 

투자자들 사이에서 잘 알려진 스캠 사례는 바로 미캣(Mee Cats) NFT 프로젝트 스캠 사건이다. 10명 이상이 200만 원 가량의 사기를 당한 것으로 알려진 이 사기 사건의 피해자들은 공식 사이트가 아닌 진짜와 똑같이 만들어진 사이트에 방문했다가 피해를 봤다.
    
NFT 판매소에서 가장 대표적인 사이트로 알려진 오픈씨의 검색창에 뜨는 미캣(Mee Cats) NFT 관련 목록들. 빨간 줄 표시가 공식 사이트이고, 파란 줄 표시는 스캠이다.
 NFT 판매소에서 가장 대표적인 사이트로 알려진 오픈씨의 검색창에 뜨는 미캣(Mee Cats) NFT 관련 목록들. 빨간 줄 표시가 공식 사이트이고, 파란 줄 표시는 스캠이다.
ⓒ 한림미디어랩 The H

관련사진보기

 
위 사진은 세계 최대 NFT 거래소 오픈씨(OpenSea) 검색창을 캡처한 화면이다. 스캠을 구분하려면 미켓 옆에 기재된 판매 NFT 수를 보면 된다.

공식 사이트의 경우 2700개 NFT가 있고, 스캠에는 NFT가 991개이다. 이 경우, 판매 수가 적은 사이트를 의심하고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

포털사이트 창에 NFT 프로젝트를 검색 후 공식 사이트에 들어가 입장하는 방법도 있다. 스캠에 속아 피해를 보는 경우는 대부분 디스코드, 트위터에서 스캠사이트를 유포하는 사람들에게 속아 넘어가기 때문이다. 

공식 사이트에서는 쪽지나 메시지를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지하면, 스캠 사기에 당할 확률이 줄어든다.     NFT 사기의 또 다른 방식은 이른바 '소매 넣기'로 불리는 수법이다. 말 그대로 타인의 지갑에 거래하지 않은 NFT를 넣는다는 뜻이다.

사지도 않은 NFT를 무료로 받게 되면 좋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지갑에 들어온 NFT를 무심코 확인했다간 지갑 전체가 해킹 당할 수도 있다. 해당 NFT에 악성 코드가 심어져 있어 지갑 안에 있던 다른 작품들도 같이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소매 넣기 사기 사례. 기자가 실제 구입한 카이카스 지갑에 든 NFT(왼쪽)와 기자가 구입하지 않았는데도 담겨 있는 NFT들(오른쪽) 이다.
 소매 넣기 사기 사례. 기자가 실제 구입한 카이카스 지갑에 든 NFT(왼쪽)와 기자가 구입하지 않았는데도 담겨 있는 NFT들(오른쪽) 이다.
ⓒ 한림미디어랩 The H

관련사진보기

   
위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자신이 사지 않은 NFT가 들어와 있다면 해당 NFT에 문제의 소지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세 번째 사기 수법으로는 무료 경품과 같이 사용자가 거부할 수 없는 유혹으로 사람들을 속이는 경우이다. 무료 경품을 주겠다고 말하며 경계의 벽을 허문 뒤 자신들의 NFT를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가짜 경품 사기의 경우, 계좌 번호를 요구하는데 절대로 응하지 말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NFT가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것은 맞지만 아직은 위험요소가 많다"며 "NFT 시장에 들어가려는 사람들은 자신이 투자하려는 프로젝트의 계획서를 면밀히 검토하고 신뢰가 가는 프로젝트인지 제대로 확인을 하고 들어가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우상원 대학생기자

덧붙이는 글 | 우상원 대학생기자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대학생기자가 취재한 것으로, 스쿨 뉴스플랫폼 한림미디어랩 The H(www.hallymmedialab.com)에도 게재됩니다.


태그:#NFT, #스캠, #러그풀, #신종 사기, #가상자산
댓글

The H는 한림대 미디어스쿨 <한림미디어랩>의 뉴스룸입니다.학생기자들의 취재 기사가 기자 출신 교수들의 데스킹을 거쳐 출고됩니다. 자체 사이트(http://www.hallymmedialab.com)에서 새로운 '미디어 패러다임'을 실험하는 대학생 기자들의 신선한 "지향"을 만나실 것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