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정숙 여사가 1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모하메드빈라시드(MBR) 도서관에서 열린 한-UAE 지식문화 교류식에서 모하메드 살람 알마즈루이 MBR 도서관장에게 훈민정음 해례본 복간본(영인본)을 기증하고 있다.
 김정숙 여사가 1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모하메드빈라시드(MBR) 도서관에서 열린 한-UAE 지식문화 교류식에서 모하메드 살람 알마즈루이 MBR 도서관장에게 훈민정음 해례본 복간본(영인본)을 기증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중동 3개국을 순방 중인 김정숙 여사가 지난 16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중동에서 가장 큰 도서관인 무함마드 빈 라시드 도서관(MBR 도서관)에 <훈민정음 해례본> 복간본(영인본)을 기증했다고 한다(왜 필자가 복간본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는지는 글의 중반부에 설명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훈민정음 학자로서 매우 기쁘고 자랑스러운 일이다. 필자는 이번에 기증된 <훈민정음 해례본> 복간본(영인본)의 학술책임자였다.

청와대에 따르면, 김정숙 여사는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해 "모든 국민이 글자를 쓰고 읽을 수 있도록 쉽고 과학적으로 만든 한글의 원리가 담겨 있다"라고 설명하고 "세상의 모든 지식과 지혜가 활발히 공유되고, 누구라도 평등하게 환대하는 도서관의 정신을 훈민정음에서 만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고 한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김정숙 여사의 말처럼 '누구나 책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나누게 한' 훈민정음을 해설한 책으로 인류 문명의 패러다임을 바꾼 책이기도 하다. 단순한 문자 해설서가 아니다. 지금 시각으로 봐도 음성과학, 문자과학, 언어학, 문자철학 등 다양한 학문이 융합된 놀라운 사상서이자 인류의 고전 중의 고전이다. 1997년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돼 그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바 있다.

여섯 가지 제안

이번 기회에 필자는 <훈민정음 해례본> 복간본(영인본) 학술책임자로서 기증과 선물에 관련해 몇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대통령은 해외 순방이나 외국 국빈을 맞이할 때나 한결같이 <훈민정음 해례본>을 선물하길 권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이는 일이며, 인류의 빛나는 유산을 함께 나누는 일이다. 그 어떤 선물보다 값지다.

둘째, 해외 모든 나라의 주요 도서관에 <훈민정음 해례본>을 기증해야 한다.

셋째, 해례본은 한문본이므로 이 가운데 세종대왕이 직접 저술한 '정음편'을 언해한 '언해본'을 함께 기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기증할 때 복간본(영인본, 2015)과 함께 펴낸 영문 번역본을 첨부하고, 궁극적으로는 각 나라말로 번역해 해당 나라의 번역문 역시 함께 기증하는 것이 좋다.

다섯째, 정부는 <훈민정음 해례본> 반포를 기리는 한글날에 해례본 관련 국제학술대회를 매해 열어야 한다.

여섯째, 인천공항에 외국인을 위한 <훈민정음 해례본> 특별 전시관을 만들고, 번역문과 함께 전시해 해례본의 가치를 전 세계인들과 함께 나눠야 한다.

요즘 한류 열풍으로 한국어와 한글이 한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류 한글은 <훈민정음 해례본> 정신을 바탕으로 하거나 훈민정음 가치 확산과 더불어 이뤄져야 한다.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1443)도 기적이었지만,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 등 여덟 명과 함께 펴낸 <훈민정음 해례본>도 기적이었다. 기적은 나눌 때 진정한 가치가 있다.

영인본보다 복간본이라 불리는 것이 합당하다
  
2015년 훈민정음 해례본(간송본) 최초 복간본과 1940년 소장 당시의 간송 전형필
▲ 훈민정음 해례본 최초 복간본과 전형필 2015년 훈민정음 해례본(간송본) 최초 복간본과 1940년 소장 당시의 간송 전형필
ⓒ 간송미술문화재단

관련사진보기

 
2015년 10월 6일 '훈민정음 해례본 최초 복간 기념 기자간담회' 현장 모습. 설명을 하고 있는 맨 오른쪽이 필자다. 그 왼쪽은 현 전인건 간송미술관 관장.
▲ 2015년 훈민정음 해례본 최초 복간본 기자회견 2015년 10월 6일 "훈민정음 해례본 최초 복간 기념 기자간담회" 현장 모습. 설명을 하고 있는 맨 오른쪽이 필자다. 그 왼쪽은 현 전인건 간송미술관 관장.
ⓒ 교보문고

관련사진보기

 
필자가 이 글에서 김정숙 여사가 기증한 해례본에 '복간본'이라는 표현을 썼다. 이제 그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번에 기증된 해례본은 2015년 간송미술문화재단과 교보문고가 2015년에 한정판으로 펴낸 것이다. 필자는 이 해례본을 '영인본'이라고 정의하면 해례본 기증품의 격을 스스로 떨어트리는 것이라고 본다. 정확한 용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영인본은 원본을 복사 수준에서 복제한 것이라면, 복간본은 색깔, 크기, 제본 방식 등까지 원본과 똑같이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MBR 도서관에 기증된 해례본은 책 크기와 첨단 사진을 통해 원본과 같도록 복제했고, 이 원칙에 따라 전통 인쇄용 한지를 이용해 인쇄했다는 특징이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1446년에 초간본(원본)이 발간된 이후 1940년에 경상북도 안동에서 이용준에 의해 발견돼, 전형필이 소장해 그 원본을 2015년에 최초로 복간한 것이다. 영인본은 1946년에 조선어학회에서 다듬은 형태로 최초로 나왔다. 1957년에는 통문관에서 사진본 형식의 영인본이 이상백, 김민수 단행본 부록으로 나왔다. 이러한 영인본은 <훈민정음 해례본> 연구와 보급에 많은 기여를 했다. 그러나 원본을 그대로 복간한 것과는 격이 다르다.  
 
1946년에 조선어학회에서 펴낸 훈민정음 해례본 영인본 표지와 첫 쪽
▲ 훈민정음 해례본 최초 영인본 1946년에 조선어학회에서 펴낸 훈민정음 해례본 영인본 표지와 첫 쪽
ⓒ 김슬옹

관련사진보기

 
2007년 문화재청이 국어사학회와 함께 복원한 언해본 첫 장 .
▲ 훈민정음 언해본의 문화재청 복원본 2007년 문화재청이 국어사학회와 함께 복원한 언해본 첫 장 .
ⓒ 문화재청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글을 쓴 김슬옹씨는 현재 세종국어문화원 원장입니다.


태그:#훈민정음 해례본, #김정숙 여사, #훈민정음 언해본, #세종대왕, #전형필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훈민정음학과 세종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