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수화기 너머로 노회찬이라는 이름을 들었다. 영화과를 졸업한 지 6개월, 당시 지도교수였던 민환기 감독님의 목소리를 통해서였다. 여름날의 녹음만큼 익숙한 이름 석자였기에 그를 알고 있었냐는 감독님의 말에 "네" 하고 툭 대답을 내놓았다. 그리고 그의 얼굴을 떠올리려 노력했다. 그런데 외모를 포함해 어떠한 형태의 이미지조차 떠오르는 게 없었다. 말 그대로 이름만 아는 정도의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날을 시작으로 나는 이름만 알고 있던 한 사람의 일생을 1년 동안 들여다보게 됐다.

그에 관해 아는 게 없으니 일단 무작정 머리에 집어넣어야 했다. 처음으로 노회찬 전 의원의 일기를 엮은 책 <노회찬의 진심>을 구매해 읽어보았다. 간결한 문체에 힘 있는 문장들이었지만 정치 문제에 대한 소견들을 적어 놓은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내용 자체를 온전히 이해하는 게 쉽지 않았다. 그중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2004년 들어서서 가장 좋은 하루를 보냈다'라는 제목의 일기였다. 광릉수목원에 다녀온 날의 기록이었다.
 
차가 수목원 정문을 지나 서울로 향하자 권우석 보좌관이 5시 뉴스를 듣기 위해 라디오를 켠다. 라디오를 끄도록 했다. 숲향기, 피톤치드가 아직 콧잔등에 남아 있는데  '동물의 뉴스'는 나중에 들어도 된다.

바쁜 일정을 소화하는 중에 편안함을 느끼던 두 페이지짜리 쉼이 인상 깊었다. 설명을 잘하고 자연을 사랑하는 감수성이 있는 사람, 나에게는 그것이 노회찬 전 의원의 첫인상이었다. 책과 함께 그를 공부하기 위해 보았던 것은 2004년 MBC에서 한국의 진보 정치를 다룬 다큐멘터리였다. 3부짜리 긴 내용이었는데, 교과서처럼 잘 정리된 느낌이었다. 

그의 일생을 그리는 작업
 
 다큐 영화 <노회찬 6411>의 한 장면.

다큐 영화 <노회찬 6411>의 한 장면. ⓒ 명필름-노회찬재단

 
하지만 과연 그의 일생을 그리는 작업을 함께 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었다. 감독님을 만나 그러한 고민을 이야기 했고 감독님은 글로 읽는 것과 이야기로 듣는 것은 달라서 인터뷰를 하면서 듣는 것이 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이야기해주셨다. 

몇 차례의 구성안 회의를 진행하고 난 후, 지난해 9월 16일 노회찬 재단의 박규님 실장을 처음 만나 사전 인터뷰를 진행했다. 자신의 이야기를 조심스럽게 꺼내놓는 인터뷰이들의 긴장된 표정과 목소리가 아직도 기억난다. 

사전 인터뷰이로 노회찬 전 의원과 인천지역(인민노련)에서 노동운동을 함께 했던 최봉근 선생님을 만나기도 했는데, 전에 봤던 MBC 다큐멘터리에 등장했던 분이어서 괜히 반가운 마음이 들기도 했다. 최 선생님은 사전 인터뷰 때 녹음기가 틀어져있다는 사실도 잊을 만큼 재밌는 이야기를 많이 들려주셨다. 

특히 노회찬 전 의원과의 만남, 그가 맡았던 중요한 역할에 대해 이야기해주셨다. 당시 상황을 선명하게 기억하고 유려하게 설명해주시는 모습에서 노 전 의원을 정말 좋아하고 믿고 따랐던 사람이구나 하는 인상을 받았다.  

본 촬영의 주요 공간은 에무시네마(에무아트스페이스)였다(공간을 무료로 대여해주었으며 조명에 대한 통제가 가능했다). 촬영장에 들어와 앉은 최 선생님은 사전 인터뷰 때와는 상반되게 유난히 긴장한 모습으로 자리에 앉으셨다. 사실 질문 자체는 사전 인터뷰 때와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그때 물어보지 않았던 부분들이나 노회찬 전 의원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카메라 앞에서 이야기하는 게 무척 긴장되셨던 것 같다.

다른 인터뷰이들도 다 기억에 남지만 유독 최 선생님이 기억에 남는 이유는 따로 있다. 최 선생님은 카메라 앞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굉장히 부담스러워하셨다. 자신이 이야기하는 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고 자신의 이야기가 다큐를 만드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다는 게 이유였다. 하지만 반대로 제작진 입장에선 그러한 개인적인 견해들이 더 소중했다. 노회찬 전 의원을 만난 적 없는 사람들에게 그를 알릴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이다. 여러 시도 끝에 최 선생님의 인터뷰는 영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장면들로서 담기게 됐다.

최 선생님과 반대로 사전 인터뷰 때 오히려 긴장하시고 촬영 때 카메라 앞에서 자연스럽게 인터뷰하시는 분도 있었다. 문제없이 흘러가는 인터뷰 촬영만큼 마음이 편안한 순간이 없다. 이렇게 예측과 반대로 흘러가는 상황 속에서 인터뷰이들이 가장 조심스러워했던 것은 노회찬 전 의원의 죽음을 이야기하던 순간이었다. 

노회찬, 그리고 죽음
 
 노회찬 전 의원과 노동운동의 선배이자 부인인 김지선 현 노회찬재단 이사.

노회찬 전 의원과 노동운동의 선배이자 부인인 김지선 현 노회찬재단 이사. ⓒ 명필름-노회찬재단

 
그의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식은 다양했다. 누군가는 그의 고민을 마지막 순간 나누지 못했다고 아쉬워했고, 누군가는 개인적인 마음의 짐 때문에 힘들어하기도 했다. 

한 사람당 평균 4-5시간 정도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길게 하신 분은 며칠에 걸쳐서 하기고 했고 짧아도 2-3시간이 기본이었다. 인터뷰이들이 어떤 마음으로 인터뷰에 참여하고 이야기를 꺼내는지 온전히 알지는 못하지만 인터뷰 촬영이 끝난 후 작게 미소 지으며 "이런 이야기를 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들었을 때는 마음속에서 뜨거운 무언가가 올라오기도 했다.

비슷한 경우로 상영회에서 영화를 보신 분들이 "노회찬 의원님을 조금은 떠나보낼 수 있게 된 것 같다"라는 이야기를 해주시기도 했다. 영화를 제작하는 것이나 관람하는 것이 애도의 시간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인 이야기일 수 있지만 노회찬 전 의원에 대한 글이나 기사에 악플을 다는 이들에게 이 영화의 티켓을 선물로 주고 싶다. 물론 나도 노회찬이란 사람을 잘 알지 못할 때는 나만의 잣대로 그를 평가하고 실망하기도 했다. 하지만 잣대를 들이대는 일이 얼마나 부질없는 일인지 영화를 보면 알 수 있다.

영화를 본다면 어떤 면에선 그가 새삼 얼마나 평범한 인간이었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소심하지만 유머러스한 한 사람이 자신이 옳다고 생각했던 것을 계속하려고 분투했던 모습을 본다면, 어떤 분의 말처럼 그의 행동을 미화할 순 없지만 그의 선택을 존중해줄 수는 있지 않을까. 
덧붙이는 글 글쓴 김지수씨는 다큐 <노회찬 6411> 조연출입니다.
노회찬 6411 진보정당 노회찬 조연출
댓글9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편집부의 뉴스 아이디

top